온타리오도 알버타 시행결과 지켜본 뒤 도입여부 결정

캐나다에서 알버타 주정부가 해외에서 오는 방문객들의 의무적 14일 자가 격리를 대체할 COVID-19 신속 테스트 프로젝트를 발표한 가운데 온타리오 주 더그 포드 수상도 그렇게 할 의지가 있다고 발표했다.

포드 수상은 22일 온타리오 내의 각종 인프라 사업 건설에 관련한 법 개정안을 발표하면서 알버타 주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언급했다. 그는 제이슨 케니 알버타 수상과 대화를 해보았다. 나를 포함한 다른 수상들은 캘거리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알버타의 시범 프로젝트는 연방정부 및 캐나다 여행업계와 제휴해 개발됐으며 오는 11월부터 캘거리 국제공항과 쿠츠 국경(Coutts border crossing)에서 개시 될 예정이다.
알버타 주 정부에 따르면, 앞으로 이 프로젝트 시행으로 국제 여행객들은 캐나다에 입국하고 격리에 들어가기 전에 COVID-19 검사를 받게 된다. 만약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그 여행객들은 격리에서 벗어날 수 있으나, 처음 도착일로 부터 6~7일 후에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의무사항은 아니며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들은 대신 14일간의 격리를 감수해야 한다.
포드 수상은 알버타의 새 프로그램과 유사한 조치를 온주에서도 시행할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먼저 알버타의 시범 프로젝트의 결과를 봐야 한다고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 교포사회 "법안을 통해 시민 모금으로 공공장소에 건립"

 

                                              팰리세이드 파크에 세워진 미국 최초의 위안부 기림비

 

2010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뉴저지주() 팰리세이드 파크시에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지자 일본은 외교채널을 총동원해 철거 로비에 나섰다.

뉴욕의 일본 총영사관은 2012년 당시 팰리세이드 파크 시에 일본의 벚꽃과 책을 기증하겠다는 의사와 함께 기념비 철거를 요구했다.

또한 일본 의회에서도 대표단이 파견돼 팰리세이드 파크 시의회 의원들에 대한 설득에 나섰다.

그러나 팰리세이드 파크시는 "미국 시민들이 세운 기념비를 철거할 이유가 없다"고 단칼에 거절했다.

당시 위안부 기림비 운동을 주도했던 김동석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 대표는 22(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로비가 통하지 않았던 이유를 설명하면서 "기림비 건립을 앞두고 국제사회에서 홀로코스트(나치의 유대인 대학살) 홍보 운동을 하던 유대인들로부터 조언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기림비 앞에서 건립 과정을 설명하는 김동석 미주한인유권자연대 대표

유대인 사회의 조언은 '기념비나 조형물은 공공장소에 세워져야 하고, 건립예정지의 의회 등을 통해 법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하고, 비용은 시민의 모금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세 가지 원칙이었다.

공공장소가 아닌 사유지에 세워진다면 기념비나 조형물의 의미가 반감되고, 법적 근거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향후 철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시민의 모금은 공공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이 같은 조언에 따라 김 대표는 팰리세이드 파크 시의 시립도서관 경내에 위안부 기림비를 세웠다.

이 과정에서 팰리세이드 파크 시의회를 설득해 기림비 건립에 대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김 대표는 "법안을 통해 기림비를 건립한 것이기 때문에 일본이 아무리 철거 로비를 한다고 해도 철거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는 한 기림비를 없애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최근 논란이 된 독일 소녀상의 예를 들었다. 베를린 미테구()가 소녀상의 설치를 허가했지만, 일본 측의 반발이 거세지자 입장을 바꿨다. 법적인 근거가 있었다면 미테구도 입장을 바꿀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와 함께 김 대표는 기림비의 내용에도 교육적인 가치를 담으려고 노력했다고 소개했다.

단순히 한일관계를 기술하는 것보다는 인권이라는 가치에 맞춰 위안부 문제를 설명했기 때문에 미국인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었고, 영구적인 조형물로 남게 됐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최근 한국에서 위안부 운동을 둘러싸고 논란이 발생해 안타깝다""기본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 2007년 미국 하원이 일본 정부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책임을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물밑 작업을 주도한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가다.


러시아 군사행사 영상이 양측 미사일 교전으로 둔갑

교전 시작 사흘 만에 교전 관련 트위트 21만개 폭증

아르메니아 총리 현 상황에서 외교적 해법은 불가능


 

최근 트위터에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교전 상황이라며, 국경 지역에서 하늘로 미사일이 날아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이란인들의 모습이 담긴 동영상 하나가 올라왔다. 온라인에서 이 동영상은 25만번이 넘게 재생됐다. 하지만 동영상 장면을 역추적해보니, 해당 장면은 지난해 11월 러시아에서 이뤄진 군사 행사 중 하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처음 영상을 올린 사람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트위터 상에선 아직도 이 영상이 유포되고 있다.

분쟁 지역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둘러싸고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교전이 한 달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상에서 유포되고 있는 가짜뉴스들이 상황 악화에 기름을 붓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이 21일 보도했다. 기자들의 최전방 접근이 제한되는 전시 상황에서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소식이 유포되는 일이 이례적인 것은 아니지만,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가짜뉴스 범람 속에서 양국의 휴전 합의가 번번이 휴짓 조각이 되며 상황이 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군사 전술게임 아르마3’ 속 장면을 갖고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교전 장면이라고 주장하는 게시물도 트위터, 유튜브, 틱톡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인도의 한 뉴스 채널은 이 영상이 실제 아르메니아군이 아제르바이잔 항공기를 격추하는 장면인 줄로 착각하고 보도에 사용하기도 했다고 <BBC> 방송은 전했다.

가짜 교전 영상 뿐만 아니라, ‘교전에 외국인 용병이 가세하고 있다는 주장도 온라인 상을 통해 퍼지고 있다. 이라크 거주 소수민족 예지디족이 아르메니아 쪽에 가세해 싸우고 있으며, 터키가 아제르바이잔 군을 돕기 위해 시리아 용병을 모집하고 있다는 인데, 근거가 되는 영상 등의 진위 여부는 잘 확인되지 않고 있다.

양국의 긴장 관계가 고조되면서, 온라인은 양쪽을 지지하는 이들의 대리 선전장이 되고 있다. 6700만명이 넘는 팔로어를 거느린 아르메니아계 미국 연예인 킴 카다시안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양국 교전 상황을 알리고 있는 게 한 예다. 오스트레일리아 소재 국제사이버정책센터(ICPC)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교전 시작 이후 단 사흘 만에 트위터 상에서 양국 교전과 관련된 해시태그를 포함한 게시물 206116개가 집중적으로 올라왔다고 밝혔다.

또 지난 한 주간 페이스북에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이란 국가명이 각각 2천만건, 1700만건씩 회자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우리는 승리할 것’(#WeWillWin) ‘아르메니아를 믿지마라’(#Don’tBelieveArmenia) ‘아제르바이잔의공격을멈추자’(#StopAzerbaijanAggression) 등의 해시태그가 수많은 나라의 언어로 번역돼 온라인에서 유통된 것이다.페이스북엔 아르메니아를 지지하기 위한 해시태그 달기 운동 등을 펼치자고 주장하는 사이버 군대’ ‘미디어 전사등의 그룹도 만들어졌는데, 2주 전 만들어진 아르메니아 지지자 페이지엔 무려 10만명이 참여하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7일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시작된 양국의 교전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지난 10일과 18일 러시아의 중재로 두 차례 휴전 합의가 이뤄지긴 했지만, 두 나라가 상대방이 휴전 합의를 위반했다며 싸움을 계속하고 있어, 사상자는 늘어가고 있다. 급기야 이날 아르메니아의 니콜 파쉬냔 총리는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는 현 상황에서 외교적 해결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정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