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 총리 사임 예총리 관저 통상의 건강검진

 

건강 이상설에 시달리고 있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운데)가 지난 17일 오후 일본 도쿄 게이오대학병원에서 검진을 받은 뒤 자택으로 돌아가고 있다. 도쿄/교도 연합뉴스

         

건강이상설에 휩싸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7시간 넘게 병원 검진을 받으면서 일본 정가는 어수선한 분위기다. 일각에선 총리 사임 가능성까지 나오고 포스트 아베로 거론되는 정치인들의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포스트 아베중 한명인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은 총리가 병원 검진을 받은 지난 17일 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해 아베 총리의 건강 문제와 차기 총리에 대해 언급했다고 <산케이신문>18일 보도했다. 기시다 정조회장은 아베 총리 건강에 대해 코로나19 대책에 따른 격무가 계속돼 피로가 쌓여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건강 이상설엔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차기 총리를 염두한 듯 헌법 개정에 의지를 보였다. 그는 헌법은 나라의 기본이며 시대의 변화와 함께 생각해야 한다만약 총리가 된다면 헌법의 문제도 확실히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정조회장은 아베 총리가 후계자로 꼽고 있는 인물이지만 여론조사에선 지지율이 한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아베 총리의 병원 검진을 두고 관저는 여름휴가를 이용해 검진을 받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건강 이상설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 증폭되고 있다. 아베 총리가 예고 없이 게이오대 병원을 찾은 데다, 같은 병원에서 정밀 검진을 받은 지 두 달여 만에 또 7시간 이상 검사를 받아서다. 아베 총리는 제1차 집권 말기인 20079월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악화를 이유로 1년 만에 사임한 바 있다.

<교도통신>총리의 사임도 시야에 넣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는 자민당 의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1야당인 입헌민주당의 한 간부는 총리의 몸 상태가 어떤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고, 또 다른 신진 의원은 혹시 정말로 몸 상태가 나쁜 것이라면 총리를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 김소연 기자 >

 


채권 이자 18억원 보내야하는데 2100억원 송금

수령 기업 원금 일부 상환으로 간주반환 거부

 

미국 대형 투자은행 시티그룹이 채권 이자를 실수로 100배 이상 송금한 뒤 반환 소송을 거는 굴욕적인 상황에 놓였다.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 타임스>17일 시티그룹이 지난 13일 헤지펀드 브리게이드 캐피털에 채권에 대한 이자 150만달러(18억원)를 보내야 하는데 실수로 17600만달러(2100억원)를 송금했다고 전했다. 시티그룹은 우리는 즉각 지급 실수를 파악하고 추가 지급액 반환을 요구하는 조처를 취했으나 돈을 되돌려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티그룹은 17일 뉴욕 법원에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시티그룹의 변호사는 소장에서 브리게이드 캐피털은 이 액수를 원금 일부 상환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근거 없는주장을 펴고 있다고 밝혔다. 소장은 또 브리게이드의 행동은 단순히 부도덕한 것이 아니라 관련 행정 기능과 금융 시스템의 신뢰까지 위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순 송금 실수가 소송으로 번진 배경에는 문제가 되는 채권의 발행사인 화장품 회사 레블론과 채권단 사이의 소송이 얽혀 있다. 이 채권은 2016년 레블론이 화장품 회사 엘리자베스 아덴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한 것인데, 코로나19 여파로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졌다. 이 채권의 시장 가격은 올해 초 1달러당 77센트였는데, 최근엔 26센트까지 내려갔다.

이런 상황에서 채권단은 레블론이 자사의 지적 재산권을 2019년과 2020년 다른 채권 발행용 담보물로 부당하게 사용했다며 지난주 초 소송을 제기했다. 채권단은 소장에서 레블론이 2016년 발행 채권의 담보물을 훔쳐갔다고 주장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시티그룹이 이 문제를 연방은행 등 관련 규제기관과도 논의하고 있으며 브리게이드는 아무런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 신기섭 기자 >

 


홍콩보안법 관련 금융거래 제한 홍콩 고위직들 우려

가족들 은행계좌 폐쇄 등도 가능, 달러권에서 배제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홍콩/로이터 연합뉴스

 

캐리 람 행정장관을 비롯해 미국의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홍콩 당국자들은 물론 그 가족들까지도 은행 계좌 폐쇄나 신용카드 취소 등의 어려움에 봉착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18달러화를 앞세워 국제 금융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의 제재 대상으로 지정되면 금융 거래와 관련해 예상치 못한 난관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제재 대상자는 물론 그 가족들의 해외 은행 계좌가 폐쇄되거나, 발급 은행이 신용카드를 취소시킬 수도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보험사들도 제재 대상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아마존을 비롯한 미국계 기업과의 거래도 차단될 수 있으며, 미국계 호텔에 숙박하는 것도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재무부 출신 제재 전문가는 신문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는 건 사실상 미국의 달러화 체제에서 배제하겠다는 뜻이라며 제재 대상자들이 국제거래를 통해 결제를 하려면 미국 금융 시스템과 단절된 금융기관을 통해 달러화 이외의 통화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실제 은행 등 금융기관은 제재 대상은 물론 그 주변 인물까지 기피하기 마련이다. 단순 실수로라도 제재를 위반하면 막대한 금전적 손실은 물론 미국 금융 시스템 접근이 차단될 수도 있는 탓이다. 실제 홍콩 행정장관 자문기구인 행정회의 위원인 버나드 찬은 제재 대상이 아님에도 지난 3월 그간 사용해온 미국계 은행 계좌 폐쇄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홍콩 주재 외국계 은행들도 이번 제재 발표 이전부터 잠재적 위험이 있는 고객에 대한 검토작업을 벌였다고 전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 8홍콩의 자치를 훼손하고 홍콩 시민의 자유권을 억압하는 데 관여했다며 람 장관을 비롯한 홍콩 정부 고위인사 8명과 뤄후이닝 홍콩 주재 중국 중앙정부 연락판공실 주임 등 중국 관료 3명 등 모두 11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또 이들은 물론 그 가족들의 미국 입국도 금지시켰다. <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