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세정제는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 제품을 마시는 것은 인체에 치명적이다.

미국 보건 관계자는 지난 5월과 6월 애리조나와 뉴멕시코 주에서 성인 15명이 손 소독제를 마신 뒤 독성에 중독돼 4명이 죽고 3명은 지속적인 시력 장애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두 메탄올이나 목재 알콜이 함유된 세정제를 마신 것으로 확인됐다.

보통 살균제의 세균을 죽이는 활성 성분은 에틸 알코올이다. 그러나 일부 회사들은 부동액에 사용되는 독성 메탄올로 대체, 심각한 독성을 지니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6월 멕시코산 손 세정제 젤에 대해 메탄올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후 FDA는 이 리스트를 공개했다. FDA는 메탄올이 함유된 손세정제 수십 종을 확인했으며 제조사와 유통업체들에 의해 회수됐다고 말했다.


캐나다 전국의 레바논 출신 이민사회가 대형 폭발사고로 재난을 당한 고국 베이루트를 돕는 구호 활동을 위한 기금 모으기에 나섰다. 토론토의 레바논인 커뮤니티 리더들도 기금을 모으기에 동참, 이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파라마운트 파인푸드의 설립자 겸 CEO인 모하마드 파키 씨는 87일 기자회견에서 조국의 참상을 비통히 여긴다며 고국을 돕기위한 레바논계 캐나다인 연합을 발표했다. 모하마드 씨는 "나는 자랑스러운 캐나다인 이지만 항상 레바논의 아이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이번 주 베이루트 항에서 일어난 폭발은 비극과 불행이다, 우리가 돕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베이루트에서는 지난 4일 저녁, 2,750톤에 달하는 질산암모늄의 발화로 촉발된 연쇄 폭발들이 항구 인근 건물들을 폐허로 만들며 도시를 충격에 빠트렸다. 지진학자들은 폭발현장에서 9킬로미터 떨어진 국제공항의 창문을 날려버릴 정도였던 이 폭발을 규모 3.3의 강진과 맞먹는 것으로 측정했다. 폭발로 150명 가까운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관계자들은 그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한 약5,000명의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으며 적어도 3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캐나다 레바논인 연합은 전국적으로 250만 달러를 모금해 피해자들에게 필요한 의료, 식량, 피난처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베이루트 돕기 기부는 자선 세금 영수증을 받을 수 있으며 웹사이트(https://humanitariancoalition.akaraisin.com/ui/crisisinlebanonfundraising/participant/6117594)에서도  할 수 있다.


8월 7일 밴드 혁오의  소속사 두루두루 아티스트 컴퍼니는 최근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의 패션쇼에 밴드 혁오의 음악이 사용 되었다고 밝혔다.

8월 6일 저녁에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맨즈 스프링-서머 2021 쇼 인 상하이' (Men's Spring-Summer 2021 Show in Shanghai of Louis Vuitto) 패션쇼에서 하늘색 수트를 입은 모델들이 워킹을 시작하자 밴드 혁오의 음악이 흘러나왔다. 사용된 곡들은 '헬프', '실버헤어 익스프레스', '헤이 선' 등 총 3곡이며 2월 발매한 앨범 '사랑으로' 수록곡 들이다. 이번 행사는 유튜브로도 생중계됐다.

루이비통의 남성복 아트 디렉터 버질 아블로는 '사랑으로' 앨범이 발매됐을 때 자신의 SNS에 "이건 꼭 들어야한다 (You must listen to this)라고 포스팅하며 혁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 왔다. 이번 패션쇼 음악 사용에 대해서도 아블로가 혁오에게 직접 문의했다는 후문이다.

청춘의 다양한 감정과 상념을 노래해온 혁오는 유니크한 패션 스타일로도 유명해 일명 "혁오 패션"을 유행시키기도 하였다. 앨범 '사랑으로' 를 포함해 새 앨범을 낼때마다 앨범 전 곡을 차트에 진입시키는 등 음원 강자로 꼽히고 있다.

올해 '혁오 2020 월드투어 사랑으로'라는 이름으로 아시아·유럽·북미 등 42개 도시를 도는 투어를 계획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취소되었다.


▼ 패션쇼에 밴드 혁오 음악 나온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