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지역 참상·어린이고통 알린 기독 언론인

IS(이슬람국가)에 의해 억류되어 있다 참혹하게 숨진 일본인 인질 고토 켄지(後藤健二) 씨는 기독교인으로 일본기독교단 덴엔쵸후(田園調布) 카나자와교회 교인이다. 일본 교단은 그의 무사 석방과 시리아의 평화를 위한 기도 모임을 갖기도 했다. 덴엔쵸후교회는 고토 씨가 인질로 잡혔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부터 매주 수요일과 일요일 전 교인이 모여 기도를 드렸다. 하지만 지난 2월 1일 아침, IS가 억류하고 있던 고토 켄지 씨를 참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고토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로 전 세계 분쟁 지역을 돌며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취재해 왔다. 반복된 IS의 참수에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분노하며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있다.


고토는 언론인의 꿈을 안고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일본으로 돌아와 다큐멘터리 등의 TV 프로그램 제작자로 활동하다 독립 통신사인 ‘인디펜던트프레스’를 세웠다. 그는 홀로 시에라리온·르완다·시리아·아프가니스탄 등을 누비며 분쟁 지역의 아이들 이야기를 주로 보도했다. 찍은 영상과 사진들을 NHK 등 주요 방송사에 제공했다.
고토의 눈길을 끈 이들은 어려운 환경에 처한 전 세계의 아이들이었다. 고통받는 아이들이 있는 곳이라면 그는 카메라를 들고 달려갔다. 4년 전부터 내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시리아를 오가며, 아이들 눈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알리기 위해 힘써 왔다.
영상뿐만 아니라 틈틈이 책도 집필했다. <다이아몬드보다 평화를 원한다 ― 어린 병사 무리아의 고백>은 서아프리카의 오랜 내전 국가 시에라리온에서 소년병으로 살 수밖에 없는 아이들의 이야기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만난 소녀들의 이야기는 <혹시 학교에 갈 수 있다면>이라는 제목으로 펴냈다. 고토는 기독교인이지만 이슬람 사람들을 ‘형제’라고 불렀다.


<도쿄신문>은 고토가 일본에 머물 때, 평화와 아동 인권 중요성을 강연하러 다녔다고 전했다. 2005년부터 매년 5월에는, 도쿄 기독교 학교 타마가와성학원에서 중학교 3학년에게 평화를 주제로 수업했다. 고토가 IS에 억류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이후 이 학교의 학생 700명은 매일 아침 그를 위해 기도했다. 참수 소식이 전해진 후 학교는 홈페이지에 이런 글을 남기며 그를 추모했다.“고토는 우리에게 이런 메시지를 전해 주셨습니다. 아무리 비참한 현실에 있다 해도 분노와 증오를 부풀릴 것이 아니라, 사실을 사실로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처한 자리에서 평화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우린 이제 그 의미를 되묻고 싶습니다.”


참수 소식이 전해진 2월 1일, 고토의 아내 린코는 프리랜서 언론인 지원 단체인 Rory Peck Trust에 다시 한 번 글을 올렸다. “가족들의 슬픔이 크다. 우리는, 두 딸의 아버지이며 한 아내의 남편이자 부모의 사랑스러운 아들을 잃었다. 분쟁 국가에서 살아가고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전하기 위해 힘쓴 남편의 삶이 자랑스럽다” 슿픔에 젖은 어머니 이시도 준코도 “아들 켄지는 전쟁 없는 세상을 꿈꿨고 분쟁과 가난으로부터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서 일했다”며 “슬픔이 증오의 사슬을 만들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고토를 위해 기도한 가나자와 교인들과 이노카와 목사는 “IS는 고토를 통제하려 했지만 그의 영혼은 굴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2월4일은 입춘(立春)입니다.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봄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캐나다는 아직 한겨울이지만, 대한민국의 산하는 입춘이 되면 겨울바람이 약해지면서, 봄기운이 조금씩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면, 이 날에는 마을 집안마다 어른들이 먹을 갈아 붓으로 화선지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고 써서 대문에 붙이며, 새로 오는 봄을 희망으로 맞이했습니다. 이날에 햇살이 화창하게 내리면 얼어있는 땅을 뚫고 새싹이 금방 돋아날 것 같은 온기를 느끼며 아이들은 뛰어 놀았습니다.
아직은 겨울 추위가 끝나지 않았지만, 입춘은 이제 곧 봄이 오리라는 희망을 줍니다. 그 희망의 의지는 입춘의 뜻에서 잘 나타납니다. 입춘의 립(立)의 뜻은 ‘똑바로 서다, 확고히 세우다’ 입니다. 지금은 겨울의 차가운 땅속에 웅크리고 있지만, 이제 곧 그 동토를 뚫고 일어설 봄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그러므로 입춘은 봄이 일어서는 날입니다. 겨울 추위가 아무리 혹독하더라도, 그 겨울의 터널 끝에 봄의 기운이 일어나고 있음을 입춘은 알려줍니다.


인생에도 겨울이 있습니다. 청년층이든, 중장년층이든, 노년층이든 누구나 겨울을 맞습니다. 취업 실패, 가정의 위기, 육체와 마음의 병 등 여러 가지 찬바람이 우리 인생에 겨울을 불러옵니다. 인생의 겨울이 왔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꽁꽁 얼어붙은 땅 같은 그 혹독함에 괴로워하며 절망합니다.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온다는 자연의 이치는 알고 있지만, 인생의 겨울 한가운데에도 그 동토 아래에서 봄이 일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가수 김광석의 노래 ‘일어나’는 인생의 겨울을 맞은 사람들의 막막함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검은 밤의 가운데 서 있어/ 한치 앞도 보이질 않아/ 어디로 가야하나/ 어디에 있을까/ 둘러봐도 소용없었지’
요한복음 5장에 38년간 병을 앓고 있던 한 병자가 치유되는 사건이 나옵니다. 그는 자신의 병이 낫기를 바라며 베데스다 연못가에 누워 있었지만, 오랜 기간 병을 앓아 이젠 일어날 기운도 없었고, 기어갈 힘도 없는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38년간 인생의 겨울을 겪어 이제는 아무런 희망 없이 누워있던 그를 만난 예수님은 그에게 말씀했습니다. “일어나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 그가 예수님의 말씀을 믿고 다리에 힘을 주었을 때, 놀랍게도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만나고 예수님의 말씀을 믿었을 때, 얼었던 땅을 뚫고 새싹이 돋아나듯이, 그의 육체가 일어났고, 그의 인생이 일어선 것입니다.


로마서 1장 18절은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복음은 하나님의 능력, 하나님의 힘입니다. 성경에는 이 복음의 힘으로 인생이 절망에서 일어선 사람들의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이 복음의 힘은 겨울을 만난 우리들의 인생을 봄의 새싹처럼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해주십니다.
김광석의 노래 ‘일어나’는 인생의 겨울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면서 마칩니다. ‘일어나 일어나/ 다시 한번 해보는 거야/ 일어나 일어나/ 봄의 새싹들처럼.’ 예수님의 복음은 38년된 병자를 일으키셨듯이, 겨울 추위 같은 막막하고 혹독함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봄이 왔음을 알려주며 그들의 인생을 일으켜 세우십니다. 예수님은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일어나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

< 이진우 목사 - 낙원장로교회 담임목사 >



새 집 구입시 주의할 점

온타리오의 60~70%에 이르는 부분이 그린벨트여서 집을 지을 땅이 부족하다고 한다. 수요는 많으나 공급 부족으로 주택가격은 그칠 줄 모르고 상승하고 있다.
요즈음, 특히 토론토 북쪽 리치몬드힐과 오로라 지역 주택개발사업이 매우 한창이다. 많은 Builder들이 새 주택들을 성황리에 분양하는데, 결정을 못해 며칠 뒤에 다시 가보면 이미 ‘SOLD OUT’ 사인이 붙어있다 한다. 그런데, 대체로 First Time Buyer(첫 구매자)들의 꿈을 심히 훼손시키는 사례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사례) 이제 막 결혼한 20대 A씨 부부는 리치몬드힐의 몇몇 분양사무실을 방문한 후, 마침내 정착지가 될 꿈의 보금자리에 대한 마음의 결정을 내려 계약서에 서명을 끝냈다.
60만불 초반대의 단독주택 A와 B타입 중 B타입을 선택하게 된다. 메인 플로어 스케치를 보니 부엌과 다이닝룸 맞은편에 11x16 Foot의 패밀리룸과 11x9 Foot의 덴이 있고 가스 벽난로가 패밀리룸 중앙에 자리잡고 있었다. A씨 부부는 패밀리룸과 덴 사이의 벽을 허물고 11x25 Foot의 하나의 긴 패밀리룸으로 만들기를 원했다. 또 가스 벽난로는 위치의 불균형을 피하기 위해 25 Foot 벽면의 중앙으로 옮기기를 원했다. 마침내 분양사무실에서 추가 비용없이 변경사항에 합의, 오퍼에 첨부된 Floor Plan에 이를 표시하여 Builder와 A씨 부부가 함께 스케치에 이니셜하였다. 또한 Purchaser Extra 라고 명명된 첨부서류에 ‘패미리룸과 덴 사이 벽을 없애고 벽난로를 벽면 정중앙에 설치한다’ 라는 문구를 명기하였다.


그 후, 공사현장을 확인한 A 씨 부부는 뭔가가 잘못되어 가는 것을 발견한다. 그들의 실수로 A타입의 주택을 짓고 있었던 것이다. 몇 차례 항의를 거쳐 건축은 중단되고, A타입 프레임과 외부벽을 허물어 낸 뒤 다시 B타입으로 바꿔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부어놓은 Foundation 때문에 벽난로가 벽면 중앙이 아닌 코너에 치우칠 수 밖에 없는 형편임에도, Builder는 재공사를 거부했다. A 씨 부부는 울며 겨자먹기로 원치않는 구조의 주택을 구매할 수밖에 없게된다. 억울함에 변호사를 찾아보았지만 계약서를 검토한 변호사는 Builder의 계약위반이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면 계약서에 첨부된 EXTRA PAGE의 맨 아랫부분에 아주 작은 글씨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The vendor will undertake to incorporate the work covered by the sales extra in the construction of the house but will not be liable to purchaser in any way if for any reason the work covered by the extra is not carried out. In that event, any monies paid in connection with the same shall be returned to the purchaser, without interest.」 즉 Builder에게는 아무 책임이 없고, 추가로 받은 돈이 있으면 그냥 돌려주면 된다는 설명이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이번 사건과는 관련이 없지만, 또 하나의 매우 불리한 조항이 아주 작은 글씨체로 EXTRA PAGE 하단을 장식하고 있었다.
「If for any reason the transaction of purchase and sale is not completed, the total cost of extras ordered is not refundable to the purchaser」 이는, 심지어 Builder의 귀책사유라고 하더라도, CLOSING이 되지 않았다면 EXTRA WORKS(추가시키기로 합의한 작업)를 위해 추가로 지불한 돈,즉 하드우드를 깔기 위한 것 혹은 몰딩을 설치하는 것 혹은 기타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지불한 돈은 되돌려 주지 않아도 된다는 조항이었다.


결론) Builder들의 OFFER FORM 은 거의 대부분이 대동소이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일방적인 것이라면 Buyer는 얼마든지 변경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물론 모든 서명이 끝나기 전이라면…. 울며 겨자먹기로 원하지도 않는 구조의 주택을 사야만 하는 억울함은 피해야 하겠다.

< 김종욱 - 부동산 리얼터, Golden Ridge Realty Inc. >
문의: 416-409-9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