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건강관리

낮 최고기온이 연일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여름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무더운 날씨 탓에 발생하는 열사병, 열탈진, 열실신 등 ‘온열질환’은 자칫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다.
흔히 더위에 지켜야 할 건강관리는 잘 아는 상식에 속하면서도 자칫 소홀히 하면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 속에서 건강을 지키려면 충분한 수분섭취와 더불어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폭염 속 지켜야 할 건강수칙을 재정리 해본다.

◇목마르지 않아도 물 마셔야
무더운 날씨에 우리 몸이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땀을 분비하는 것이다. 땀은 피부 표면에서 기화되는 순간 열을 뺏기며 체온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뜨거운 태양 아래서 야외활동을 하게 되면 비 오듯 땀이 흘러내리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렇게 땀을 많이 흘렸을 때 수분과 염분을 채워주지 않으면 일사병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폭염 속에서는 갈증이 나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셔 몸속에 수분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땀으로 인해 염분 손실이 일어나는 만큼 염분이 포함된 스포츠음료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만, 알코올이 포함된 음료는 피해야 한다.

◇야외활동 피하고 실내는 서늘하게
무엇보다 폭염에는 더위를 피하는 게 상책이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며 더위를 이기기 위해 무리한 야외활동을 하거나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금물이다.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전 11시~오후 2시에는 야외활동을 삼가고 실내를 서늘하게 유지해야 한다. 에어컨 등 냉방장치가 작동되는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다만, 바깥과 실내의 온도 차이가 심하면 냉방병 등 다른 질병에 걸릴 수 있는 만큼 실내온도는 적정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옷도 몸에 달라붙는 옷은 체온을 낮추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헐렁하고 가벼운 옷을 입는 게 더위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두통·어지럼증 있으면 충분히 휴식
폭염에 두통, 어지럼증 등 이상징후가 느껴졌다면 방치하지 말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이런 증상은 몸이 온도에 적응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보내는 경고다.
특히 무더위에 취약한 어린이, 노인과 더불어 평소 고혈압, 당뇨, 심장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각별한 주의가 당부 된다.
더위로 인한 증상이 호흡곤란, 구토 등이 나타날 정도로 심각해졌다면 병원을 찾아 수액주사 등을 통해 수분과 염분을 보충해야 한다.
만약 환자가 의식이 없다면 물을 포함한 음식물을 먹여서는 안 되고 즉시 911에 신고해 도움을 받아야 한다.


기준없는 부동산 가격

● Biz 칼럼 2016. 8. 2. 07:28 Posted by SisaHan

졸속 계약 말고, 완급조절 최상 오퍼로

오랫동안 쓰고 싶었던 글이다.
그러나 자신의 편견이 섞여들지 않을까 고심하며 망설이던 중, 독자에게는 제대로 알려야한다는 사명감이 앞선다. 요즈음 부동산 시장이 매우 뜨겁다. 주위 분들에게서 집이 하루만에 팔렸다느니, 이틀만에 팔렸다느니, 그것도 리스팅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팔렸다며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으로 보았을 때 그분들이 그렇게 좋아하실 일이 결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단지 며칠 만이라도 더 시간을 끌며 좀더 많은 바이어들에게 집을 보여주고 경쟁을 유도했더라면 훨씬 더 좋은 거래를 했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판단 때문이다.
꺼꾸로, 집을 사는 것 역시 마찬가지 논리이다. 100만$짜리 집을 어떤 이는 80만$에 살 수도 있고, 어떤 이는 120만$에 사기도 한다.
예를 들어, 100만$ 가치의 집이 $89만9,000 에 리스팅 되었다고 가정하고 그집이 팔리는 몇가지 경우를 상정해보자.

1) 부동산 중개인과 집주인이 시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거나 중개인이 집주인의 입장이 되어주지 못하고 되도록이면 빨리, 확실하게 팔려고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리스팅 가격에 근접한 오퍼가 들어오면 집주인으로 하여금 기꺼이 사인을 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복수 오퍼에 대한 어떠한 준비도 없이…이러한 집을 구매하는 바이어는 몇 만불 내지는 몇 십 만불 이익을 챙기는 대신, 파는 사람은 손해보고 있는 것을 인지하지도 못한다. 바이어 입장에서는 이런 좋은 거래 (?)를 하기 위해서는 매우 서둘러야 한다. 리스팅 된 지 하루 이틀 내로 오퍼를 넣고 빨리 끝내야 한다. 다른 오퍼들이 들어오기 전에 말이다.

2) 시세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중개인과 집주인이 복수 오퍼를 유도하기 위해 오퍼를 받는 시점을 특정한 후 많은 바이어들이 집을 보도록 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경우 “PRE-EMTIVE OFFER MAY BE ACCEPTED” 라는 구절이 삽입되어 있다. 즉, 좋은 오퍼가 들어오면 특정한 날짜 이전이라고 해도 오퍼를 받을 수 있다는 말이다. 100 만$ 받기를 기대했던 집이라 해도, 자신감이 없는 중개인과 집주인이라면 갑자기 95 만 $짜리 오퍼가 들어오면 사인해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좀더 기다렸다가 특정한 날에 복수오퍼를 받아서 훨씬 더 좋은 거래를 할 수도 있었는데도 말이다. 바이어 입장으로서는 이 또한 노려야 할 포인트이다.

3) 특정한 날자를 정하여 복수 오퍼를 받는 경우에도 중개인과 집주인의 지혜가 총동원 되어야 한다. 몇 개의 오퍼에 경쟁을 부친 후, 최종가격이 어느 정도 도출이 되었다고 해도 이에 만족하지 말고 매우 조심스럽고 지혜롭게 가격을 올리는 테크닉이 필요하다.
만약 당신이 바이어라면, 무조건 경쟁에서 이기려고 빠져들지 말고 나름대로 상한선을 정한 후 과감하게 포기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 셀러의 입장에서,항상 복수오퍼의 전략이 좋은 것 만은 아니므로 마켓과 매물의 조건에 따라 현명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 김종욱 - 부동산 리얼터, Golden Ridge Realty Inc. >
문의: 416-409-9039


호남향우회(회장 김종천) 2016 친선골프대회가 7월23일 오후 볼톤의 칼레돈 우즈 골프장에서 120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려 향우들이 기량을 겨루며 우정을 다졌다.
샷건 방식으로 진행된 이날 대회는 한인사회에서는 처음으로 홀인원 파3 홀을 2개나 지정, 도요타 자동차 1대가 걸린 홀 외에 Investers그룹이 주는 현금 5천 달러와 PGA 마스터즈대회 개최지인 오거스타 골프장(Agusta National G.C.) 숙박·갤러리권 포함 1만3천 달러 상당의 홀인원 상 등 2개 홀에 골퍼들의 큰 관심이 쏠렸으나 아쉽게도 홀인원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이날 통합 챔피언에 8순을 눈앞에 둔 70대 박기순 향우(고문)가 73타로 영예를 차지, 후배 골퍼들에게 큰 용기와 도전을 주며 화제가 됐다.
이날 대회 후에는 클럽하우스에서 시상식을 겸한 만찬과 호남퀴즈, 항공권을 포함한 경품추첨 등 여흥의 시간도 있었다.


< 문의: 905-580-3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