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여 청중참석 성황… 엉뚱한 질문자 소동도

한국의 아프리카 TV 생방송 시사수다방(http://afreeca.com/gtv7) 진행자인 ‘망치부인’ 이경선 씨가 미주지역 초청 강연의 일환으로 토론토에 들러 12월14일 오후 노스욕 시티센터에서 강연, 세월호 참사를 비롯한 모국 시사이슈들을 명쾌히 진단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토론토 사람들(세기토)’ 주최로 열린 이날 강연은 세기토 및 희망21 회원들과 탈북자단체인 자유북한인협회 허태섭 회장, 재향군인회 지회 김홍양 회장 등 다수의 보수단체 인사들도 포함해 60여명이 참석하는 성황 속에 진행됐다.

세월호참사 기록영화와 국정원 직원 ‘좌익효수’ 고소사건 영상 시청에 이어 강연을 시작한 이 씨는 먼저 자신은 부친이 실향민인 반공주의자이고 기독교신자라는 등의 이력과 인터넷방송 ‘망치부인’의 내력을 소개했다. 이 씨는 이어 광우병 촛불시위를 비롯해 김대중·노무현 정권의 햇볕정책, 그리고 대선 국정원 댓글사건과 천안함 침몰 등 보혁 갈등을 빚은 사건들을 망라해 세월호 참사와 최근의 국정난맥에 이르기까지 모국 정치·사회이슈의 실체를 파헤치며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민주주의 훼손과 퇴행성을 신랄하게 꼬집어 박수를 받았다.

이날 강연후 질문답변 시간에 탈북자로 보이는 한 참석자가 이 씨의 강연내용이 북한을 찬양한 것이라는 등 시비성 질문을 하다 보안요원에게 제지당해 퇴장하기도 했다.

< 문의: sewoltoronto@gmail.com >




희망21의 제3회 희망문화제에 참석한 회원과 지지자 등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세월호 참사 주제 희생자 추모·유족돕기 성금 모금 등

캐나다 한인 진보네트워크 ‘희망21’이 주최한 제3회 ‘희망문화제’(Hope and justice cultural festival)가 ‘세월호 참사’를 주제로 12월13일 오후 블루어 한인타운 팔머스톤 도서관 소극장에서 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노래와 만화전시, 풍물공연, 영화상영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세월호 희생자 추모와 유가족 및 진상규명 돕기 성금 모금 등 뜻깊은 의의를 남기고 마쳤다.


이날 공연은 세월호 희생자 고 이보미 양이 생전에 불렀던 ‘거위의 꿈’ 노래에 맞춘 무용과 상여 소리로 시작, 바라연주, 사물, 태평소, 무용 등이 어우러져 참사로 억울하게 희생된 영혼들을 기렸다. 이어 위정자들을 놀부에 빗대 풍자한 ‘저 놀부 두 손에 떡들고’라는 민요곡, 랩, 그리고 풍물연주가 뒤이었다. 공연 말미에는 “아이에겐 안전이 없고, 청년에겐 일자리없고, 부부에겐 아이가 없고, 대한민국에 미래가 없다”는 외침과 ‘미래없는 조국에 해외 동포들이 달려간다’는 구호로 마무리, 모국 이슈에 더욱 관심을 갖고 참여를 제창했다.


공연에 이어 희망21 소개 영상과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가 제작해 19회 광주 인권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된 ‘세월호를 향한 기억투쟁’ 영화가 상영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즉석에서 $700을 모금, 국민대책회의 미디어팀을 후원하기로 했다.
희망21은 “앞으로도 참사를 기억하며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까지 유가족 및 국내외 동포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 hope21.ca@gmail.com >



사막의 은둔 수도자 안토니를 세상에 소개했던 아타나시우스 (Athanasius, 296?~373) 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의 모델입니다.
옥석은 옥석을 알아본다고 했나요? 아타나시우스는 은둔 수도자 안토니의 깊은 영성을 한눈에 알아 보았습니다. 어찌 보면 이 둘은 전혀 다른 두 길을 가고 있는 사람이었는데 둘 사이에는 무엇인가 통한 것이 있었나 봅니다.
불교에서는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있습니다. 이판은 수도를 하는 스님을 가르키는 말이고 사판은 세상 속에서 포교를 하고 사찰의 행정을 관장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안토니는 굳이 말하자면 수도를 하는 이판격이고 아타나시우스는 포교와 교회행정을 맡은 사판격입니다. 그러니, 이 두 사람의 그리스도를 따르는 방법은 달라도 많이 다른 길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교회는 영적으로 혼돈스러웠고 신학적으로 논쟁과 싸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 모습에 환멸을 느낀 많은 크리스천들이 자신의 신앙을 지켜내기 위해 사막으로 나가 안토니 처럼 수도승이 되기도 했습니다. 반면에 세상을 등지고 사막으로 나가기 보다는 세상안에서 신앙의 정도(正道)와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투쟁적인 삶을 산 크리스천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그중 아타나시우스는 악을 직면하여 혼돈의 소용돌이 속에서 신앙의 절개와 신학의 정도를 지켜낸 사람으로 꼽습니다. 그는 30대의 젊은 나이로 당시 동방 최고의 도시였던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에 올랐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주장한다는 이유로 그후 46년간 다섯번의 파면을 당하였고 20여년 동안 은거와 도피의 생활을 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교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당하는 고난을 기쁨으로 여기며 당시 만연했던 교회내의 이단사상들과 끝까지 싸워 그리스도의 신성을 교회에 정착시켰습니다.
오늘날의 교회를 보면 진흙탕 싸움입니다. 영적으로 혼탁해 있고 신학적으로 혼돈에 빠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에 환멸을 느낀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교회에 돌을 던지며 비판을 합니다. 그리고 아예 교회를 떠나서 교회해체론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어느 누구하나 교회를 위해 기꺼이 돌을 맞는 사람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돌을 던지는 자리에서 큰소리 높이기를 원하지 돌맞는 자리에서 묵묵히 교회를 지켜나가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아타나시우스! 그는 그 진흙탕 싸움 속에서도 신앙의 순수함과 신학의 올곧음을 지켜낸 사람입니다. 교회를 향해 날아오는 돌을 맞고 억울하게 유배를 당해도 교회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지켜낸 사람이었습니다.
은둔 수도자 안토니의 영성이 혼돈과 황량함의 시대에 사막에서 피어낸 선인장이라면, 아타나시우스의 영성은 흙탕물 속에서 아름다움을 토해낸 연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최봉규 목사 - 토론토 드림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