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M 테너 박종호, 영락교회·이글스필드 교회서 찬양과 간증

“나도 조수미처럼 로마로 유학을 갔더라면 세계 최고의 테너로 명성을 날렸을텐데, 왜 가스펠 가수에 머물렀는지 후회할 때도 많았다. 하지만 하나님은 내 손을 잡아주셨다. 왜 백년도 안되는 것에 투자하느냐, 영원한 것을 위해 투자해야지… 그래서 죽도록 예수 그리스도 이름만 선전하는 삶을 살겠다고 다짐했다” 
8월30일 저녁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 31일 저녁 이글스필드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에서 각각 초청 찬양콘서트를 연 한국 가스펠의 거장 박종호 가수(51. 한동대 객원교수)는 풍성하고 시원한 성량의 찬양과 함께 재담어린 말솜씨로 자신의 삶을 간증하는 은혜의 무대를 연출했다.
 
박종호는 이렇게 콘서트를 시작했다. “일반 가수들 공연장을 보면 예수 안믿는 자들이 미쳐 날뛴다. 예수 믿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가치있는 일인데 우리는 하나님께 미쳐야 하지않는가. 예배는 감격과 생명이 있는 축제다. 오늘 박종호 만난 하나님을 나도 만나겠다는 기도를 안고 오셨을 테니 축제의 예배를 드리자“
굳어있는 성도들의 웃음을 유도하며 분위기를 고조시킨 그는 히트곡들을 들려주면서 자신의 삶을 간증했다. 
교회는 어려서부터 다녔지만 예수님은 서울대 재학시절 교회지휘자 아르바이트를 하며 뜻밖의 치유기적을 체험하고 만났다고 전한 그는 성악의 엘리트 코스를 걸은 뒤 CCM가수 28년동안 CD판매 2백만장이나 되는 명망을 얻었어도, 과거 술과 담배 등 세속에 방황했고, 세계를 무대로 오페라 가수의 꿈을 이루지 못한 갈등과 아쉬움도 컷다고 고백했다.
그는 동기인 조수미 등의 성공을 보며 가스펠 가수 13년째이던 37세 때(1999년) 찬양사역을 단념하고 다시 뉴욕행을 결행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왜 한국에서 가스펠 가수로만 있었느냐’는 찬사를 들으며 성공이 예약된 데뷔 날 새벽2시, 뉴욕에서 급성 뇌출혈증세로 응급실에 실려가 물거품이 됐을 때, “지난 13년을 떠올려보며 나는 하나님을 포기하려해도 하나님은 나를 결코 포기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다.
 
“예수 믿어도 실패하고 좌절하고 넘어질 수 있어요. 병 걸려 죽기도 합니다. 왜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교회에서 엉엉 울어보세요, 하나님께 소리쳐 보세요. 독생자를 십자가에 죽게 하신 분인데 어떤 심한 소리인들 받아주지 않겠습니까. 하나님 기적을 바라면 가슴을 다 쏟아내고 부르짖어 보세요!” 그는 그 일 이후로 “하나님이 나 한사람을 찾으시는 것처럼, 소중히 여기는 어느 한 사람을 위해 목이 찢어지게 노래하자고 결심했다”고 했다.
그는 또 27년이나 오지에서 무슬림선교에 헌신하는 한 선배가 뇌종양에 생활비가 없어 쓰레기를 뒤진다는 것을 알고 선교지원에 나서게 됐다면서 연주활동을 통해 13년 동안 인도 에이즈병원 건립과 아프리카 선교 등 세계각지 선교에 2백만 달러를 사용했다고 전하며 성도들의 적극적인 선교 동참을 호소하기도 했다. 
청중이 예배당을 가득 메운 이날 콘서트는 ‘주기도문’과 앙코르곡 ‘축복하노라’를 끝으로 마쳤다.
 

< 문의: 416-494-0191, 905-332-1110 >

 

잠이 손상된 뇌 수리를 촉진

● 건강 Life 2013. 9. 9. 16:28 Posted by SisaHan
미 대학연구‥ 수면부족 ‘세포사멸 유전자’ 활성화

잠이 손상된 뇌의 수리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키아라 치렐리 박사는 수면은 신경세포 사이 신호전달 통로인 신경수초를 형성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 생성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신경수초란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섬유의 보호막으로 전선으로 말하면 절연체 역할을 하는 피복에 해당한다.
정상적인 수면을 취한 쥐와 강제로 잠을 못 자게 한 쥐의 희소돌기아교세포 생성 유전자의 활동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치렐리 박사는 밝혔다. 제대로 잠을 잔 쥐들은 수면 중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되기 전의 세포인 전구세포의 생성이 2배로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수면 중 꿈을 꾸는 단계인 급속안구운동(REM) 수면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강제로 잠을 못 자게 한 쥐들은 세포사멸과 세포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활성화됐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수초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인 다발성경화증 환자가 극심한 또는 만성적 수면부족에 시달릴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스위스 로잔 대학의 수면연구 학자 메흐디 타프티 박사는 수면은 뇌 손상을 수리하고 수면부족은 뇌를 손상시킨다는 사실을 이 연구결과가 보여준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저널’(Journal of Neuroscience) 최신호(9월4일자)에 실렸다.


교사연수회에 참석한 교사들이 티셔츠 전통문양 색 입히기에 열중하고 있는 모습.


정기총회·교사연수… 이사진 17명도 인준

캐나다 한국학교협회(회장 백미애) 제27차 정기총회 및 교사연수회가 지난 8월31일 오전 9시부터 도산갤러리에서 많은 회원교사들과 김선경 한국학교 총연합회장, 정광균 토론토총영사, 강원희 교육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오전에는 백미애 회장의 개회인사와 정광균 총영사의 축사, 정진오 이사장의 환영사, 김선경 총회장의 격려사 등 개막행사에 이어 강원희 교육원장이 ‘캐나다 한국어학교 현황 및 효율적 운영’이라는 주제로 전체 강의, 참석자들에게 한국학교의 원만한 운영으로 2세 교육과 정체성 확립에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총회가 열려 작년도 결산과 함께 5만2천여 달러의 예산안 및 사업계획을 확정했다. 협회는 오는 11월 ‘교사의 밤’, 내년 3월에 우리말 글짓기 대회와 ‘I Love 한국어‘행사, 5월에는 한얼 문화행사와 ’나의 꿈 말하기 대회‘, 6월 사생대회 등을 열기로 했다. 
총회는 또 정진오 이사장 등 17명의 이사진을 인준하고 10년 근속자인 서찬숙(한맘) 강옥자(KCCM) 강춘자(맥키) 권진숙(맥키한국어학교) 교사를 표창했다. 
오후에는 주재연 강사의 ‘문화-역사교육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이라는 전달연수에 이어 실기연수는 조각가인 김정재 강사가 찰흙으로 전통 하회탈 빚기, CG디자이너인 이영주 강사(청소년을 위한 뿌리교육 전통미술반 교사)가 ‘티셔츠 한국 전통문양 색 입히기’를 각각 실연 지도하고 교사들이 실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 문의: 416-385-02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