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전공 꿈 펼치세요!”

동부개혁장로회 신학교 캐나다분교(분교장 정관일 박사) 음악학과가 9월1일 개강할 2011학년도 가을학기 4년제 학부과정 신입생을 모집한다.
오는 9,10,11월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주2회 저녁6시부터 9시30분까지 수업과 개인레슨 1시간을 갖는 음악학과는 연령제한 없이 고교졸업 이상 학력을 가진 음악을 공부할 사람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어도 음악에 특별한 자질이 있어 찬양대 지휘자, 독창자, 성가대원, 합창단원 등으로 활동하는 이들과 형편상 공부할 기회를 갖지 못한 음악 매니아들에게 시간과 학비부담을 최소화하여 음악을 전공하고 바로 현장에 적용 가능한 과목 위주의 수학기회를 제공한다.
 
음악과는 또 성악 개인 레슨과, 졸업까지 피아노·합창지휘 훈련, 일반 음대에서 하지않는 컴퓨터 악보 기보법, 음성녹음 및 편집법 등 과목도 신설해 지도한다. 수업료는 한 학기당 $1,500로 분납이 가능하다. 
교수진에는 교회음악의 원로인 박재훈 박사(예배와 음악)를 비롯해, 최재형(성악), 김동호(성악), 김재익(컴퓨터음악), 김혁(피아노), 이영송(성악), 김기범(작곡), 윤경선(오로간·음악이론), 유경은(피아노) 교수 등 학·경력이 풍부한 유명 전문음악인들이다.

< 문의: 647-882-4200, ciojh@hanmail.net >


첫 연합집회 1백여명 참석 성료

성결교회 캐나다 지방회 (회장 허천회 말씀의 교회 담임목사)가  미주지역 최초로 마련한 청년 연합수련회인 ‘성청 연합집회’가 지난 7월31일부터 8월2일까지 대한기도원에서 열려, 지방회 소속 10여 교회 KM  60명과 EM35명을 포함, 성도와 목회자 등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큰 은혜를 나눴다.
‘성청이여, 일어나라! -열정,기도,비전,교제’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이번 연합집회는 찬양, 예배, 기도와 함께 박명수 초청강사(서울신학대학 교수:교회사)의 말씀을 통해 성청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찾고 소명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
 
박 교수는 이번 집회 열기에 놀라움과 격려를 보내면서 첫날 성결교회의 역사, 둘째날 성결교회의 교리를 쉽고도 은혜스럽게 설교했다.  또 평신도 사역자로 수고하는 암 전문의 한승희 집사 (MIT 의학박사:말씀의 교회)와 이주성 집사 (치과의사:벧엘교회) 등 두 전문인이 특강을 통해 선배의 조언과 도전의 용기를 주었다.  
이번 집회는 KM과 EM이 연합해 모든 프로그램을 함께 했고, 저녁 설교와 특강만 영어 또는 한국어에 편히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영어권 은 한혜경 목사 (말씀의 교회), 특강은 Joseph Chae 및 Nathaniel Chae 전도사가 강사로 수고했다.  이밖에 모든 진행은 최유민 목사(생활교회 담임)를 중심으로 캐나다 지방회 소속 젊은 목회자들이 분담하는 등 소속 교회들이 합심, 첫 성청집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차회 더욱 발전적인 집회를 기약 했다.
 
한편 박명수 교수는 2일 낮 차영지센터에서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성결교회사 및 신학특강’을 통해 한국기독교에서 성결교회가 차지하는 큰 위상을 전했다.
<문의: 416-494-5752, 647-388-4520 >


교회의 바른 언어 생활

● 교회소식 2011. 8. 14. 14:13 Posted by Zig
[평신도 글 마당]

우리는 음악적인 전문성과 함께 훈련을 받아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에 전념하는 교회의 조직을 ‘성가대’ 또는 ‘찬양대’라고 부른다. 
정확한 통계를 내 보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찬양대’라는 말 보다는 ‘성가대’라는 말에 더 익숙해져 있지않은가 싶다.  
그러나 간혹 ‘성가대’라는 말은 아예 잘못된 표현이니 ‘찬양대’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 그 주장의 확실한 근거는 알 수 없으나 여하튼 ‘성가대’라는 말은 일제시대 사용되던 일본식(?) 용어일 뿐만아니라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관이니 ‘찬양대’라는 용어가 보다 적절하지 않느냐는 주장이다.
 
그 외에도 “우리 말은 외국말과는 달리 존대어(尊待語)라고 하는 독특한 표현이 있는데 그냥 여늬 아이들 이름 부르듯 ‘예수’라고만 호칭해서는 안된다. ‘예수님’이란 존대어을 사용해야 한다.”는둥, 생각해 보면 교회에서 사용하는 언어에서도 꽤 많은 연구과제가 나올 것 같다.
교회 안에서 사용하는 언어중 ‘성전’ 이라는 낱말도 그 중의 하나일 것이다. 구약시대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성전’이라는 용어가 교회 안에서 너무 남용되고 있다는 말이다. 
성전은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는 ‘제단’과 ‘성소’, 그리고 오직 대제사장만이 들어갈수 있는 ‘지성소’로 구분되어 있던 곳인데 그런 ‘성전’이란 용어와 신약시대의 ‘교회’를 마구 혼용해서 쓰고있다는 주장이다. 
예를들면 ‘성전 건축’이란 말을 쓰는데 그것이 어떻게 ‘성전 건축’이냐는 말이다. ‘예배당 건축’ 또는 ‘교회당 건축’이라면 몰라도 ‘성전 건축’이란 말은 도무지 합당한 용어가 아니란다. 구약시대의 ‘성전’의 개념과 신약시대의 ‘교회’의 의미를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하라고 그들은 주문한다.
이 주장들에 대한 반론 또한 만만찮다. 우선 그런 문제들은 본질적이 아닌 ‘비본질적(非本質的)’인 문제들이므로 그런 것들을 가지고 교회 안에서 시시비비(是是非非)를 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다. 
이제 이들의 주장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보자.

우선 ‘성가대’라는 말부터 생각해 보자. “이 단어를 풀어 보려면 ‘성가’의 의미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그 의미를 국어사전에서는 ‘예수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성부(천주), 성자, 성령(천신)을 찬송하는 노래’이고 이런 ‘성가’를 부르기 위하여 조직된 합창대’를 ‘성가대’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성가대’라는 말을 ‘찬양대’라는 말과 동의어(同意語)로 취급함을 볼 수 있다. 
‘성가대’라는 말이 단지 일본에서 온 용어이기 때문에 부적격한 용어라는 주장에는 설득력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리스도의 명칭에 대해서는 “단순히 ‘예수’라고 부르는 것 보다는 ‘예수님’이란 존대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단순 비교할 수는 없어도 사도 ‘바울’을 ‘바울님’이라고 호칭하지는 않지 않는가? 그리고 성경 어디를 보아도 모두 ‘예수’ 라고만 씌어있지 ‘예수님’이라고 씌어있는 곳은 없다. 
찬송가에서도 ‘예수’와 ‘예수님’이 혼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단지 ‘예수가…’라고 하는 등의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 이런 경우엔 ‘께서…’라는 높임말 토씨를 써야한다...”
“‘성전’의 사전적(辭典的) 의미는 ‘예배당’과 동일하다. ‘성스러운 전당’이란 의미이며, 영어로는 ‘church’라고 표기한다.
 
영어성경에는 ‘temple’로 되어있는데 이 의미에는 ‘신전’ ‘사원’이라는 뜻 외에 ‘(그리스도교의) 교회당, (프랑스 기타의) 신교도의 예배소’ 등도 있다. 물론 구약시대의 제단과 성소. 지성소가 있던 ‘성전’과는 구별이 되어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예배당’의 의미로 쓰이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 등등.
글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바른 언어 생활을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복합문화 사회에서 그리고 시간을 아껴가며 살아야하는 바쁜 현대생활에서 바른말만 꼭 집어서 사용하는 것도 그리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송필호 - 본 한인교회 장로>


동부신학교 9월 신입생 모집

● 교회소식 2011. 7. 31. 14:00 Posted by SisaHan

동부개혁장로회 신학교
2011가을학기 신입생 8월30일까지 모집

 

 

동부개혁장로회 신학교 캐나다분교(교장 장영춘, 분교장 정관일 박사) 2011 가을학기 신입생을 8월 말까지 모집한다.

모집학과는 목회학과, 선교학과, 여교역학과 등 주간 3개 학과와 신학과, 음악학과 등 야간 2개 학과이며, 편입생도 뽑는다. 수강과목은 조직 신학, 헬라어1,  하나님 나라와 OT, 고대 교회사, 선교학 개론, 공관복음, 옥중 서신, 소그룹 목회, 지혜서. 기독교 교육 등으로 91일 개강해 121일까지 강의한다.

원수접수는 오는 830() 오후 4시까지 노스욕 가든교회(260 Yorkland Blvd. M2J 1R7)에 있는 신학교 사무실에서 받는다. 입학시험과 면접은 91() 오후 4시에 실시한다. 개강예배와 오리엔테이션은 91일 오후6시로 예정돼 있다.

동부개혁 신학교는 북미 최대 한인장로교단인 미주 예수교장로회(KAPC) 총회의 신학교로, 박사 및 석사학위를 가진 강사진과 현 담임목사들이 강의한다. 목회학 석사(M.Div) 졸업생은 총회고시를 거쳐 목사안수를 받을 수 있으며, 웨스트 민스터 신학교, 리폼드 신학교, 비브리칼 신학교 등에 진학하여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다. 선교학 석사 졸업자는 총회 후원 및 파송선교사로 사역할 수 있다. 또 여교역학과를 졸업하면 전도사로 사역하게 된다. 아울러 풀타임 수강생들에게는 각종 장학금과 함께 학생비자 등 혜택을 준다. 특히 KAPC 캐나다노회 소속교회 지원자들에게는 특별장학금을 지급한다. < 문의: 416-554-7495, 416-910-8795, http://www.reformedpse.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