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수술의 명의 장기려(1909~1995) 박사가 타계한 지 내년이면 20년이 된다. 그의 인격의 향기가 세월을 넘어 오늘의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그는 평생 맑고 인자한 맘과 무소유의 청빈한 삶을 살고 간 한국의 슈바이처다. 1950년 12월 한국전쟁이 중공군 참전으로 다시 치열해지던 때, 모친과 아내와 다섯 자녀를 남겨둔 채 평양에서 야전병원 구급차를 빌려 타고 중학생 둘째 아들과 남하한 지 45년 만에 이산가족의 한 사람으로서 타계하셨다.
그에겐 초인적인 봉사의 삶을 기려서 막사이사이 사회봉사상(1979)과 국민훈장 등이 주어졌다. 그러나 그 모든 공적과 명예 훈장들도, 역지사지하는 그의 고운 맘이 드러나는 언행 앞에선 모두 빛을 잃고 우리들의 양심은 숙연해진다. 그의 역지사지(易地思之)하는 품성이 어쩌면 우리 민족이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인지도 모른다.
그는 북에 남기고 온 가족을 애타게 그리워했다. 아내와의 약속을 지키면서 재회의 날을 기다렸던 그는 “창문을 두드리는 빗소리가 당신인 듯하여 잠을 깨었소”라고 보낼 길 없는 편지에서 여든살 순정을 밝힌 순애보적 남편이었다. 제자들 중 미국에 이민 간 많은 의사들이 주축이 되어 은사님의 북한 가족 상봉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은사님에게 미국의 제자들은 준비된 평양 방문 기획을 전달하였다. 그런데 놀랍게도 “1000만 이산가족 모두의 아픔이 나만 못지않을 텐데 어찌 나만 가족 재회의 기쁨을 맛보겠다고 북행을 신청할 수 있겠는가?”라는 답신이 미국 제자들에게 갔다. 그래서 장기려님은 생전엔 끝내 고향 방문과 가족 상봉을 이루지 못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5년 후 아들 장가용 교수가 이산가족 자원봉사 의료요원 자격으로 2000년 8월 고향을 방문하게 되었다.
마침내 아들은 평양에서 어머니(당시 89)를 상봉하고 생전에 전달 못했던 아버지의 절절한 순애보 편지와 유품을 전했다. “어머니를 부둥켜 안고 젖가슴을 만진 뒤에야 어머니를 만났음을 실감했다”고 환갑도 훨씬 넘은 아들의 모자 상봉 소감의 인터뷰 기사는 신문 독자들의 눈시울을 적시게 했다. 위 실화는 이산가족 중에서 발생한 가족사의 한 작은 이야기가 아니다. 오늘의 우리 사회를 이렇게 삭막하게 만들고, 남북관계를 세계인들 앞에서 이렇게 부끄럽도록 만드는 근본 원인은 물질이 부족하거나 군사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이유는 오직 한가지, 우리 모두가 성산 장기려님이 보여준 인간성의 역지사지의 능력을 상실했거나 마비시켜 버렸기 때문이다.
역지사지할 수 있음은 놀랍고 신비한 인간다움의 특징이다. 역지사지 능력이 곧 휴머니즘의 본질이다. 고등동물에게서 우리는 감정의 교류 같은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예 입장을 바꾸어서 상대편의 자리와 처지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한다는 것은 인격적 성숙 단계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역지사지의 능력은 사람이 높은 학력을 가졌다거나, 사회적 신분이 높다거나, 교육자나 종교인이라고 해서 당연하게 가능한 인간 능력이 아니다.
역지사지 행위에서 처지를 바꿔 생각한다(思)는 것은 이해한다(解)는 것인데, 자기비판과 자기성찰의 의지를 전제한다. 언더스탠드(understand)라는 영어단어가 의미하듯이, 상대편 자리에 내려가 아래에 설 때 이해가 가능하다. 역지사지는 상대방에 관한 정보지식만으로는 안 된다. 열린 감성과 소통 의지, 타자 존재성과 차이의 존중, 생명의 연대성 자각, 그리고 인간의 본능적 이기심에 대한 연민의 마음까지 총동원될 때 발현되는 능력이다.
우리 사회의 온갖 문제 발생도 처지와 입장을 바꾸어서 상대편을 이해하는 능력이 거의 마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제 민주화가 물 건너가고, 사회에서 각종 갑을 계약관계가 항상 분쟁거리가 되고,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정부의 방조 때문에 남북고위급접촉 외교가 무산되고, 주권국가 국민으로서 자존심이 상할 대로 상하는데 한-미 방위조약 관련해서 ‘전작권’ 환수 시기를 정부가 쉽게 연기해 버리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역지사지하는 인간 품성을 상실했기 때문은 아닐까? 오로지 생존보존과 자기번영만 위해 고층건물 사닥다리 오르는 경쟁적 삶을 당연시하는 세상 풍조와 그것을 정당시하는 통치철학 때문이다.
그러나 역지사지 능력이 우리 세대에 온통 상실되어 버리지 않았다는 증거를 좋은 방송드라마에 몰입하여 공감하는 시민들의 시청자 반응 현상에서 확인한다. 예를 들면, 요즘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방송드라마 <미생>에 대한 호평과 시청자들의 반응 능력에서 인간의 역지사지 능력은 겉으론 은폐되어 있을 뿐 건재하다는 것을 재확인한다.
역지사지 능력과 작은 실천이 곧 그 사람의 인간품격과 그 국가사회의 격을 결정한다. ‘갑을관계’에서 갑이 을의 입장을 역지사지할 수 있을 때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 갑이 을 자리에 내려와 뒤틀린 생명질서를 아픔으로 느끼고, 고통을 분담하면서 고통 원인을 함께 해결할 때, 갑과 을은 세속 한복판에서 함께 초월을 경험한다. 그러한 초월 경험은 인간성을 되찾은 기쁨, 자유, 행복한 뿌듯함을 갑·을 모두에게 선물한다.
< 김경재 목사: 한신대 명예교수 >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문학의 사명과 작가회의 40돌 (0) | 2014.11.25 |
---|---|
[사설] 국민과 국회를 무시하는 FTA협상 (0) | 2014.11.25 |
[칼럼] 과두정치, 이제 끝내야 한다 (0) | 2014.11.25 |
[1500자 칼럼] 솔로몬과 여로보암 (0) | 2014.11.18 |
[한마당] 자존심에 자신이 없을 때 (0) | 2014.11.18 |
[사설] ‘독도망신’ 당하고 책임지는 자도 없다 (0) | 2014.11.18 |
[사설] 사면초가에 주도력 부족 드러낸 외교 (0) | 201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