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여행 200개국서 현지 ‘재난문자’ 받는다

● COREA 2020. 9. 21. 05:47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SK텔레콤, 기상청과 협력해 자사 로밍고객에게 서비스

 

SKT는 기상청과 손잡고 200여국 방문자에게 현지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 재난문자 알림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SKT.

            

해외 여행중에도 로밍한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현지의 긴급 재난정보를 문자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선보인다.

에스케이텔레콤(SKT)은 기상청과 협력해 200여개국 방문 내국인의 안전을 위해 현지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 재난문자 알림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그동안 한국처럼 긴급 재난문자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는 일부 국가에서 현지 통신사가 보낸 재난정보를 받을 수 있었지만 대부분 영어나 현지어 문자였다.

이번 서비스는 SK텔레콤을 통해 로밍한 이용자가 방문국에서 자연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 종류와 발생 시간, 재난 발생지의 위치 정보 등이 한국어로 발송되는 방식이다. 외교부 영사콜센터 긴급 연락처(+82-2-3210-0404)가 함께 발송돼 고객이 피해 신고나 구조 요청 등을 할 수도 있다. 발송대상인 자연재난은 지진, 화산분출, 지진해일 세 종류이다. 지진해일은 동남아 국가에서만 서비스 된다. 현지에서 로밍한 전화 전원을 켜면 자동작동하고, 로밍 요금과 무관하게 서비스된다.

SK텔레콤은 올 5월 일본과 대만을 시작으로 긴급재난문자 알림서비스를 시작했고, 20일부터 미국 등 세계 200여개 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SK텔레콤은 향후 문자 발송 시간을 단축하고, 지진·해일·화산분출 외에도 다양한 재난정보와 해당 지역의 의료·구조기관 정보도 추가할 방침이다. < 구본권 기자 >


환경부 · 전문가 등 기후변화 연구결과, 30년 뒤 홍수량 11.8% 증가 전망

올 장마때 면적강수량 예년의 1.7영산강·섬진강·낙동강 순 큰폭 늘어

 


지금 수준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30년 뒤인 2050년께 일부 댐과 제방에서 홍수 피해가 4년마다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일 환경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 강수량과 홍수량 증가 정도를 전문가와 함께 검토한 결과라며 이렇게 밝혔다. 환경부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연구단을 꾸려 관련 연구를 해왔다. 연구엔 온실가스를 현재 수준으로 배출하는 시나리오(RCP 8.5)가 적용됐다.

우선 강수량은 21세기 초반(2011~2040)과 중반(2041~2070), 후반(2071~2100)에 각각 3.7%, 9.2%, 17.7%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1세기 후반엔 강수량이 41.3%까지 증가하는 연도가 있었다. 월별로는 9월 증가폭이 24.3%로 가장 컸고, 11월은 -0.6%로 줄어 계절 편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댐과 하천제방 등 홍수방어시설 설계에 참고하는 기본홍수량의 경우 2050년께 홍수량이 지금보다 11.8% 느는 것으로 전망됐다. 유역별로 편차가 컸는데 한강은 -9.5%로 조금 주는 반면, 금강 20.7%, 낙동강 27%, 영산강 50.4%, 섬진강 29.6%로 큰 폭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현재 100년에 한번 범람하는 것을 예상해 설계한 댐과 하천제방의 치수안전도(100년 빈도)2050년엔 최대 3.7년까지 급격히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온실가스 배출을 지금 수준으로 지속하면 기후가 변해 홍수로 인한 범람 주기가 2050년께 4년에 한번꼴로 잦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장마 기간(624~816) 면적강수량(유역 전체에 내린 강수량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전국이 840로 예년 4921.7배였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섬진강 유역은 1069를 기록해 예년의 2배 수준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 일대 유역에 내린 역대 가장 많은 강수량이며, 전북 남원과 광주의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364, 462로 확률적으로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 박기용 기자 >

유엔 시민·정치 권리위원 서창록 교수…한국인 처음

● COREA 2020. 9. 19. 01:5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117개국 지지받아가입 30년 만에 첫 한국인 선출

 

서창록 고려대 교수.

 

서창록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17일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휴먼라이츠 커미티) 위원으로 선출됐다. 한국인이 이 위원회에 진출한 것은 1990년 한국이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에 가입한 뒤 처음이라고 외교부는 18일 밝혔다.

14명의 입후보자 가운데 9명의 위원을 뽑는 이번 선거에서 서 교수는 173개 당사국 중 117개국의 지지를 받아 당선됐다. 서 교수는 휴먼아시아 대표,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지낸 인권 전문가다. < 김지은 기자 >

대법원, 특검의 이재용 재판장 기피신청 재항고 ‘기각’

● COREA 2020. 9. 19. 01:5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특검 준법감시위제안한 정준영 재판장 기피 신청 외면

 

대법원 전경.

 

박영수 특별검사팀(특검팀)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뇌물 사건 파기환송심을 맡은 재판장을 바꿔달라며 낸 재판부 기피 신청이 대법원에서 기각됐다.

대법원 2(주심 노정희 대법관)18일 박 특검팀 쪽 양재식 특검보가 이 부회장 파기환송심 재판부인 서울고법 형사1부의 정준영 재판장에 대해 낸 기피 신청을 기각한 법원 결정을 수긍할 수 없다며 재항고한 사건에서 기각 결정을 내렸다고 18일 밝혔다. 재판부는 재항고인이 주장하는 사유만으로 법관이 불공평한 재판을 할 것이라는 의혹을 갖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보기 어렵다원심 결정의 이유를 관련 법리에 비춰보면 원심의 (기피신청 기각) 판단에는 헌법·법률·명령 또는 규칙 위반의 잘못이 없다고 밝혔다.

이로써 그동안 중단됐던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은 서울고법 형사1(재판장 정준영) 심리로 다시 열리게 됐다.

양 특검보는 지난 2월 정 부장판사에 대해 관성을 잃은 채 편향적으로 재판을 진행하고 있다며 재판부 기피를 신청했다. 정 부장판사가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재판에서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설치를 직접 제안하고 이를 양형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발언한 게 문제가 된다고 판단해서다. 하지만 지난 4월 서울고법 형사3(재판장 배준현)정 부장판사가 피고인들에게 유리한 예단을 가지고 소송지휘권을 행사하지 않았다며 이를 기각했고, 특검은 이에 불복해 재항고했다.

이 부회장은 20172월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서원씨에게 불법 승계 등을 도와달라는 명목으로 2982535만의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대법원은 지난해 8월 뇌물 혐의를 추가로 인정해야 한다며 징역2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박 특검은 이날 대법원 결정에 유감을 표하며 재판장에게 이재용 피고인에 대한 집행유예 선고의 예단이 없다고 볼 수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 양형기준에 따른 권고형 범위(징역 516) 내에서 형이 선고될 수 있도록 공소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장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