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태평양 ‘불의 고리’ 불붙나?

● WORLD 2016. 4. 22. 18:26 Posted by SisaHan

일 구마모토 이어 에콰도르도 규모 7.8 강진
사상자 3천명 넘을 듯

에콰도르 최악 강진
비상사태 선포 구조

에콰도르를 강타한 규모 7.8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480명으로 늘어났다. 부상자 수도 2천560명, 실종자가 1천700명으로으로 집계됐다.
재난 현장인 서부 해안도시 만타를 방문한 호르헤 글라스 에콰도르 부통령은 17일 여진이 발생했지만, 현재 쓰나미 위험은 없다면서 군경을 투입해 구조작업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가 내리는 가운데 군경과 재난 당국이 피해 지역에서 구조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확인되지 않은 매몰자가 많아 사상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에콰도르 정부는 재난 수습을 위해 군인 1만 명과 경찰 4천600명을 피해가 집중된 태평양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배치했다.
앞서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국을 덮친 규모 7.8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480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힌 바 있다.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코레아 대통령은 “무너진 건물 등은 다시 복구할 수 있지만 인명은 되살릴 수 없다”며 인명 구조를 최우선 순위에 뒀다.


이탈리아 로마 방문 일정을 접고 급거 귀국 중인 코레아 대통령은 지진의 직격탄을 맞은 에스메랄다스 지역을 찾을 예정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규모 7.2의 지진으로 1천 명이 사망한 1987년 3월 지진 이래 에콰도르를 강타한 최악의 지진이라고 분석했다. AP통신과 로이터통신은 에콰도르 정부를 인용해 이번 지진이 1979년 에콰도르 강진 이후 최악이라고 전했다. 당시 강진으로 600명이 사망했고 2만여 명이 다쳤다.
이번 지진은 16일 오후 6시58분 에콰도르 무이스네에서 남동쪽으로 27㎞, 수도 키토에서 북서쪽으로 170㎞ 떨어진 태평양 해안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19.2㎞로 비교적 얕은 편으로 관측됐다.
에콰도르 재난 당국은 전날 오후 본진이 난 후 135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2시께 전날 강진의 진앙으로부터 80㎞ 떨어진 곳에서 규모 5.6의 지진이 추가로 발생했다.


내진건축을 자랑하는 일본에서 구마모토 지역 강진으로 와해된 우토시 건물.


도시기능 사실상 마비

구마모토 연쇄 강진
11만명 피난 큰 고통

“초중고교와 유치원 휴교, 시청 폐쇄….” 두차례 강진으로 47명이 숨지고 수천명이 다친 일본 구마모토(熊本)현은 사실상 도시 기능이 마비됐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현내 유치원 및 초중고교의 60%가량인 450여개교는 여전히 수업을 하지 못했다.
건물 파괴로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학교들, 그리고 피난민들을 수용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는 학교도 많기 때문이다. 구마모토시는 오는 20일까지 휴교에 들어갔다. 공공기관도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했다. 청사가 파괴된 우토시, 야쓰시로시, 마시키마치 등은 개점휴업 상태였다.
두차례 강진으로 가옥 파손은 물론 곳곳에서 산사태와 도로 단절 등으로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대피소 생활을 하는 주민이 이날 오전에도 11만명에 달했다. 한때 피난민 수는 20만명에 육박했지만 아직도 절반 가까이는 추가 붕괴 우려 및 교통 두절 등으로 피난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피난민들은 하루 한끼로 버텨야 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자위대가 긴급 급수 차량을 보내 식수 공급에 나섰지만 물과 식량부족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 구마모토현 아소시의 피난소에 있던 77세 여성이 숨지는 등 2차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건물에 금이 가고 일부가 무너진 우토시청의 경우 추가 붕괴 우려가 있어서 청사 접근이 아예 금지됐다. 야쓰시로시청도 붕괴 우려가 제기돼 이날부터 본청사를 폐쇄했다.
상당수 기업체와 음식점도 지진피해로 정상영업이 중단됐다.



‘검은 돈’ 폭로 파문

● WORLD 2016. 4. 8. 19:53 Posted by SisaHan

아이슬랜드 시민들이 총리 사퇴를 요구하는 시위로 사임을 끌어냈다.


‘파나마 페이퍼스’ 각국 권력자 연루

전세계 유명 인사들의 돈 세탁 등을 도운 파나마 로펌의 내부자료 1150만건이 폭로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축구선수 리오넬 메시 등의 명단이 공개되고,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 노재현씨 등 한국인 수백명의 이름도 포함돼 국내외에서 큰 파문이 일고 있다.
‘파나마 페이퍼스’ 폭로 파문이 커지면서 아이슬란드를 강타 시그문뒤르 귄뢰이그손 총리가 결국 사임하기로 해 첫 ‘희생자’가 됐다. 귄로이그손 총리는 해외로 재산을 빼돌린 사실이 파나마 페이퍼스에 언급해 국민의 분노와 사퇴 압박을 받았다.

각국의 조세·수사당국이 속속 파나마 로펌인 ‘모색 폰세카’의 내부 자료 1150만건 속에 담긴 돈 세탁 등의 의혹에 대한 조사·수사 의지를 내비침에 따라 문건에 등장하는 전세계 저명 인사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4일 세계 각국과 조세회피처에 국외 사무소 40여곳을 운영하는 파나마 최대 로펌 ‘모색 폰세카’의 내부 자료 1150만건을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1977~2015년 생산된 2.6 테라바이트(TB) 분량의 문서를 76개국 109개 언론사가 분석했다. 한국 언론 가운데서는 <뉴스타파>가 참여했다.


현재까지 각국의 전·현직 대통령과 총리 12명, 그들의 친인척 61명, 고위 정치인과 관료 128명, <포브스> 선정 세계 500대 부자 순위에 포함된 기업인 29명 등이 역외탈세와 돈 세탁, 검은 돈 은닉 등에 연루된 사실을 밝혀냈다.



모색 폰세카에 등장한 푸틴과 시진핑 주석.

푸틴·시진핑 처남·메시·성룡‥ 한국인도 195명

세계 유명 인사들의 돈 세탁 등을 도운 중미 파나마의 최대 로펌의 1150만건에 이르는 내부 자료가 폭로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축구선수 리오넬 메시 등 세계적인 인사들의 명단이 공개되고, 195명의 한국 이름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큰 파문이 일고 있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4일 전세계 주요 도시와 조세회피처에 국외 사무소 40여곳을 운영하는 파나마 로펌 ‘모색 폰세카’의 내부 자료 1150만건을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독일 <쥐트도이체차이퉁>이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입수해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와 함께 탐사보도 프로젝트 ‘파나마 페이퍼스’를 진행한 결과다. 1977~2015년 생산된 2.6 테라바이트(TB) 분량의 문서를 76개국 109개 언론사 소속 376명의 언론인이 지난 1년간 분석했다. 한국 언론 가운데서는 <뉴스타파>가 참여했다.


공동 취재팀은 현재까지 각국의 전·현직 대통령과 총리 12명, 그들의 친인척 61명, 고위 정치인과 관료 128명, <포브스> 갑부 순위에 이름을 올린 기업인 29명 등이 역외탈세와 돈 세탁, 검은 돈 은닉 등에 연루된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측근들을 통해 20억달러(약 2조3040억원)를 비밀리에 거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재무부가 ‘푸틴의 금고’로 지목한 로시야 은행이 주도했으며, 푸틴의 친구이자 푸틴 딸의 대부인 첼리스트 세르게이 롤두긴 등이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비밀 자금을 운용했다. 이들 페이퍼 컴퍼니는 한번에 2억달러에 이르는 규모의 자금을 거래했는데, 지불을 위장하고 문서 날짜를 소급하는 등의 수법을 사용해 자금을 세탁해왔다. ICIJ는 “문서 어디에도 푸틴의 실명이 언급되지 않지만, 자금 흐름은 푸틴과 연계된 기업 및 인물 쪽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시그뮌드르 귄뢰이그손 아이슬란드 총리도 아내와 함께 비밀리에 페이퍼 컴퍼니를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회사가 아이슬란드 금융위기 당시 수백만달러 상당의 아이슬란드 은행 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예상된다. 귄뢰이그손은 2009년 국회에 진출할 당시 아내와 함께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페이퍼 컴퍼니에 대한 소유권을 공유하고 있었고, 몇 달 뒤 자신의 지분을 아내에게 1달러에 넘겼다. 이 페이퍼 컴퍼니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 붕괴된 대규모 아이슬란드 은행 세 곳의 채권 수백만달러를 가지고 있어, 귄뢰이그손도 채권자가 됐다. 귄뢰이그손이 이 채권을 통해 이익을 봤는지 손해를 봤는지 등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귄뢰이그손 정부가 지난해 총리 가족의 금융 지분을 공개하지 않은 채로 채권자와의 합의를 위한 협상에 나선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처남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2개의 회사를 설립한 것으로 확인됐고,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아버지 이언 캐머론도 탈세를 위해 모색 폰세카를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도 이번 명단에 포함됐다. 중동 지역에서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하마드 빈 칼리파 알타니 전 카타르 국왕, 아야드 알라위 전 이라크 총리, 알리 아부 라게브 전 요르단 총리 등이 포함됐다.
축구계 거물들도 페이퍼 컴퍼니에 연루돼 있었다. 아르헨티나 출신 축구 선수 리오넬 메시는 아버지 호세 호라시오 메시와 함께 페이퍼 컴퍼니 ‘메가 스타 엔터프라이즈’를 소유하고 있었다. 후안 페드로 다미아니 국제축구연맹(FIFA) 윤리위원은 최근 피파 스캔들로 기소된 에우헤니오 피게레도 전 부회장 등과 사업 관계를 맺고 있었다.
홍콩 영화배우 청룽(성룡)은 6개 이상의 페이퍼 컴퍼니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불법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뉴스타파>는 4일 “‘korea’로 검색된 파일은 모두 1만5000여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한국 주소를 기재한 한국 이름 195명이 확인됐다”며 “공적 보도 가치가 있는 인물은 4일부터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파나마 정부는 성명을 내어 “이번 자료 유출과 관련해 각국이 법적 조처에 나선다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전정윤 기자 >



왜 형제 테러범이 많을까?

● WORLD 2016. 4. 1. 20:04 Posted by SisaHan

브뤼셀공항 테러범 지목사진. 왼쪽 2명은 자폭형제, 맨 오른쪽이 지명수배됐다.


9.11·보스턴·브뤼셀 등 모두 포함… 보안유지 탓
쉽게 동화,포착도 어려워 테러단체 이상적 포섭대상

벨기에 브뤼셀 연쇄 테러 사건을 저지른 테러범들에 브라힘(30)과 칼리드(27) 바크라위 형제가 포함된 것으로 밝혀져 왜 ‘형제 테러범’이 유난히 많은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2001년 9·11 테러, 2013년 보스턴 마라톤 테러에 이어 지난해 1월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11월 파리 테러 때도 형제들이 포함돼 있었다.


<뉴욕 타임스>는 테러 조직의 눈으로 보면 형제는 이상적인 포섭 대상이라고 분석했다. 형제는 서로 이론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동화되어 과격화되기 쉽고, 테러를 결심한 뒤에는 서로 테러를 실행하는지 지켜본다. 반대로 수사 당국에는 골치 아픈 존재다.

수사 당국은 전화 같은 통신 감청을 수사 수단으로 애용하는데 이들은 한집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감청이 어렵다. 미국 조지메이슨대의 오드리 커스 크로닌 교수는 “형제는 경찰에 자수하러 갈 확률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미아 블룸 조지아주립대 교수는 테러 실행범 중 3분의1은 서로 가족 관계라고 주장했다. 그는 “(테러 단체는) 언제나 외부에서 누군가 침투하지 않을까 걱정한다”며 “가족이 가담한다고 하면, 테러단체는 신뢰할 수 있다고 여긴다”고 말했다. 블룸 교수는 테러 단체는 종종 형제를 일부러 다른 테러 장소로 보낸다고 했다. 형제가 같은 장소에 테러를 하러 가면 형제간의 애정 때문에 실행에서 이탈시키려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번 브뤼셀 테러 때는 형인 브라힘은 자벤템 국제공항에서, 동생 칼리드는 지하철역에서 자폭했다. 테러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최근 수사당국의 감시가 강화되면서 형제처럼 2명이 짝을 이루는 가족 테러 세포 조직이 늘고 있는지 모른다고 추정했다.
바크라위 형제는 모로코계 벨기에인이었다. 이웃들은 이들이 평범한 10대였으며 특별히 종교적이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5~6년 전에 고향에서 사라졌으며 이 시기 각각 차량 납치나 경찰 공격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랩을 좋아하고 여자와 어울리기 좋아했던 <샤를리 에브도> 테러 때의 셰리프 쿠아시, 술을 즐기며 바를 운영했던 살라 압데슬람처럼 원래는 과격 이슬람주의와는 거리가 있던 인물들이었다.
< 조기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