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개국 차별의식 조사 교육·경제수준 비해 편견 심해

세계에서 가장 인종 차별 의식이 높은 나라는 방글라데시, 요르단, 인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높은 교육·경제 수준을 고려할 때 특이하게 인종에 대한 편견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워싱턴포스트>는,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가 81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종 차별 지도’를 작성해 보도했다. 세계 가치관 조사는 전세계 사회과학자들이 모여 1981년 창립한 비영리단체로 민주주의·성평등·종교·환경·가족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설문을 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변동의 원인을 분석한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웃이 되길 원하지 않는 이들이 누구냐’는 질문에 ‘다른 인종’이라고 답한 이들의 나라별 비율을 지도에 표시했다. 인종이 다른 이웃을 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높을수록 인종에 대한 편견이 심한 나라이고, 비율이 낮을수록 관용도가 높은 나라다. 응답 비율이 0~4.9%로 차별이 가장 낮은 그룹엔 영국,미국,캐나다,스웨덴,노르웨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브라질,아르헨티나 등이 속했다. 남미의 주요 국가들은 대체로 인종에 대한 편견이 낮았는데, 인종에 따른 소득 격차가 큰 베네수엘라와 인근 아이티의 난민이 대거 유입한 도미니카공화국은 응답 비율이 ‘15~19.9%’ 사이로 상대적으로 편견이 강했다. 차별이 가장 심한 나라는 방글라데시(71.7%), 요르단(51.4%), 인도(43.5%) 순이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은 71.8%로 가장 인종적 관용도가 낮았다.
 
소득·교육 수준이 높으면 인종적 관용도가 높으리라는 예상은 한국과 프랑스에선 들어맞지 않았다. 한국은 3분의 1 이상이 다른 인종의 이웃을 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집트,나이지리아,사우디아라비아,이란,베트남,알바니아 등과 30%대에 속했다. 유럽연합(EU) 국가들 중엔 프랑스가 22.7%로 차별이 가장 심했다. 아시아 나라에선 전반적으로 인종적 편견이 높은 가운데, 파키스탄만이 유일하게 10% 미만에 들어갔다.
< 이유주현 기자 >


초강력 토네이도에 쑥대밭

● WORLD 2013. 5. 24. 14:02 Posted by SisaHan


모든 게 부서졌다 초강력 토네이도가 20일 미국 오클라호마주 모어를 강타했다. 시속 320㎞의 강풍을 동반한 토네이도가 강타한 뒤 주택가가 초토화됐고 건물이 불에 탔다. 특히 초등학교 건물 한 곳이 완전히 무너져내리면서 어린이 70명을 포함해 120명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AP=뉴시스>


끓어오르는 태양

● WORLD 2013. 5. 17. 16:40 Posted by SisaHan


Mother’s Day였던 지난 5월12일 연중 가장 강력한 화염 분출을 보인 태양표면 흑점의 폭발장면을 나사(미국 항공우주국) 관측위성이 서로 다른 2개 화상을 촬영해 합성한 사진. 왕성한 태양활동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 NASA >


총기규제 불발… 오바마 “부끄럽다”

● WORLD 2013. 4. 28. 17:08 Posted by SisaHan
미국 상원은 지난 1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누차에 걸친 호소와 코네티컷주 초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피해자 가족들의 탄원에도 불구하고 총기 판매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총기 규제법 수정안을 부결했다. 공격용 무기와 고성능 탄창의 판매를 금지하려던 시도는 샌디훅 초등학교에서 26명이 참사를 당한 지 4개월 뒤에 또 한번 패했다.
총기 구매자의 신원 파악을 강화하는 것도 포함된 이 수정안은 54대 46으로 다수표를 얻었으나 통과에 필요한 60표에는 미달했다. 반대표는 41명의 공화당 의원 외에 오바마와 같은 민주당 의원 5명도 던진 것이다.
 
오바마는 샌디훅 사건 이후 총기 규제법 수정안의 통과를 자신의 최우선 국정 과제의 하나로 삼아 진력했다. 그는 이에 따른 지지를 얻기 위해 여러 차례 지방 순회를 했으며 지난주에는 코네티컷 주에 가서 몇몇 희생자 부모들을 자신의 전용기에 태우고 워싱턴으로 돌아와 이들이 의원들에게 로비를 하도록 기회를 주기도 했다.
이날 상원에서는 샌디훅 희생자들의 부모들이 애리조나, 버지니아 및 콜로라도 주의 총기 난사 희생자들의 가족들과 함께 표결을 지켜보았다.
그러나 결과는 미국의 가장 강력한 로비단체인 미국총기협회(NRA)의 승리로 끝났다. NRA는 이 수정안이 총기 소유권에 대한 부당한 제약이라고 반대해 왔다.
 
한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7일 상원이 총기 규제법 수정안을 부결한 것을 질타하며 ‘부끄러운 날’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이날 상원의 표결이 실시된 직후 백악관에서 상원의 소수파들이 “미국의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것은 가치가 없다”고 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