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소위 민주국가들도 해킹사찰 충격

● WORLD 2015. 7. 25. 17:05 Posted by SisaHan

국제사회 “스노든 사건 축소판” NYT “북한 아닌 남한이?”

“스노든 사건의 축소판이다.”
이탈리아 해킹업체 ‘해킹팀’의 고객 명단이 유출된 후 한국 국가정보원의 민간인 대상 불법 도·감청 의혹이 확산되고, 해킹프로그램을 운용한 국정원직원이 자살하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스라엘 출신 보안전문가 탈 베리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를 ‘스노든 스캔들’에 비유했다. 그는 “각국 정부가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할 것이라는 의혹은 예전부터 제기됐지만, 소위 ‘억압국가’뿐 아니라 민주주의 국가들까지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35개국 97개 정보기관이 외국 민간업체의 해킹 장비를 이용했다는 것 자체가 “미 국가안보국(NSA)이 영장없이 시민들을 무차별 감청했다”는 전 NS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 내용만큼이나 충격적이라는 뜻이다.

해킹팀은 자사 해킹 프로그램이 테러리스트에 대한 감시처럼 정당한 목적을 위해 판매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난 5일 해킹팀의 고객 명단과 e메일 계약 내용이 공개된 후, 각국 인권단체들과 외신은 해킹 프로그램이 반정부 인사 통제를 위한 민간인 사찰에 쓰였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뉴욕타임스와 인디펜던트 등은 북한이 아닌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해킹팀 고객 명단에 포함된 사실이 놀랍다며 국정원은 2012년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았고, 해킹과 관련해 무죄를 주장하며 국정원 직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보도했다.
경제전문지 포천은 일부 국가에서 정보기관이 민간인 사찰에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카자흐스탄 정보기관과 체코 수사당국이 시민들의 개인 스마트폰 대화 내용을 감시하는 데 해킹 프로그램을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포천은 해킹팀에 77만5000달러를 지불한 내역이 공개된 미 연방수사국(FBI)도 해킹팀에 개인위치 추적 확인이 가능한지 묻는 e메일을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해킹팀에 37만3625유로를 지급하고 원격조종 해킹 프로그램(RCS)을 구입한 사실이 드러난 키프로스는 정보기관장 안드레아스 펜타라스가 지난 11일 사임했다. 펜타라스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사용했다고 주장했으나 논란이 계속되자 옷을 벗었다.
태국 방콕포스트는 19일 “경찰 당국이 지난해 해킹팀에 36만유로를 지급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컴퓨터 보안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개인 휴대전화와 컴퓨터에 해킹 프로그램을 심어 실시간으로 개인생활을 감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고, 태국 인권위원장은 “명백한 권한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남미 언론 텔레수르는 20일 “지난해 선거를 치른 콜롬비아 정부는 2013년 33만5000유로를 지급한 해킹 프로그램으로 과연 무엇을 했을까”라며 “누군가의 컴퓨터에 해킹 프로그램이 심어져 있다면 분명히 인권활동가와 언론인, 농민 지도자 등 정부에 비판적인 사람들일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판 세월호 사고

● WORLD 2015. 6. 5. 17:46 Posted by SisaHan


승객과 승무원 458명을 태운 중국 여객선이 1일 밤 양쯔강 중류에서 전복된 뒤 침몰했다. 구조가 확인된 승객들은 10여명에 불과하고 여전히 400명 이상이 실종 상태다. 근래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최악의 인명피해 수상사고로 기록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2100명의 군인과 경찰, 140여명의 잠수인원, 150척의 선박을 보내 갑판 해체 등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배의 선장 장아무개와 기관장 양아무개는 사고 여객선에서 탈출했지만 공안에 검거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신화/연합뉴스>



‘Women Cross DMZ’ 남북답사

● WORLD 2015. 5. 29. 14:41 Posted by SisaHan

2015 여성평화 걷기축제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는 Women Cross DMZ 대표단과 한국 여성·종교계 1천여 시민들.


평화메시지 던져… “친북발언 없었다”

‘평화’와 ‘여성’의 이름으로 휴전선을 가로질렀다.
15개 나라 여성평화운동가 30명이 참여한 ‘Women Cross DMZ’가 24일 낮 북쪽에서 비무장지대를 지나 경의선 육로를 통해 남쪽 땅을 밟았다. 국제적 민간 인사들이 남북 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를 관통하며 평화의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WCD 명예위원장인 미국 여성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81)은 “15개국에서 온 여성들이 남북 두 나라의 연결점을 만들었다”며 “대화와 화해, 여성 인권을 위한 평화로운 여정을 성취했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1976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메어리드 매과이어(71·북아일랜드)는 “북한에서 본 것 중 가장 슬픈 것은 이산가족이었다. 형제자매임에도 끝나지 않은 냉전 때문에 이들은 다시 만날 수 없었다”며 “아직까지 끝나지 않은 냉전체제 속에서도 남북한이 공통된 인간성과 형제자매애에 초점을 맞춰 평화적인 대화를 나누길 바란다. 평화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201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라이베리아의 리마 보위(44)도 “민간과 민간의 외교를 통해 남북간 새로운 소통의 길을 만들었다. 내가 라이베리아 내전을 겪으며 갖게 된 신념은 작은 걸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노동신문>에서 행사 참가자의 친북적 발언을 보도한 것에 대해 이들은 “그런 발언을 한 적이 없고 그와 관련해 북에 항의했다”고 공식 부인했다. 지난 21일 <노동신문>은 크리스틴 안이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인민의 자유와 해방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스타이넘은 24일 기자회견에서 “크리스틴이 그런 발언을 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이어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에서 열린 ‘2015 여성평화걷기 축제’에서 ‘2015년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은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한다 △이산가족의 재결합을 돕는다 △무고한 시민에게 해를 끼치는 제재 조치를 철회한다 △여성과 소녀에 대한 전시폭력을 금지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성노예였던 위안부 여성들을 위한 정의를 바로 세운다 △세계 평화 구축의 주춧돌로서 한반도의 화해와 통일을 위해 전세계인의 지지를 촉구한다 등의 내용을 담았다.
< 김지훈 홍용덕 기자 >



17일만에‥ 네팔 또 7.3강진

● WORLD 2015. 5. 15. 16:52 Posted by SisaHan

12일 규모 7.3의 강진이 일어난 네팔 산쿠에서 무너진 집들의 잔해.


에베레스트 인근… 2천여명 사상

12일 네팔에서 규모 7.3의 강진이 또 일어나 현재까지 65명의 사망자가 확인되고, 2000명 이상이 다쳤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동쪽으로 83㎞ 떨어진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인근을 진앙지로 하는 규모 7.3의 강진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발생한 규모 7.8의 강진으로 8000여명이 숨진 네팔을 17일 만에 또 대지진이 강타한 것이다. 이날 지진으로 지난달 지진 때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신두팔초크와 카트만두 등에서 최소 65명이 숨지고 2천여명이 다친 것으로 지금까지 확인됐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네팔 내무부의 공식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공포에 질린 주민들이 거리로 몰려나와 이곳저곳으로 대피하느라 거리는 아수라장이 됐다.


이번 지진의 진앙지는 에베레스트 인근 남체바자르에서 서쪽으로 68㎞쯤 떨어진 곳으로 중국 국경과 가깝다. 남체바자르는 히말라야 등반 안내 일을 하는 셰르파족이 많이 사는 곳이다. 미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진원은 지하 18.5㎞로 비교적 얕았으며, 진동이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까지 느껴질 정도로 강력했다.
< 조기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