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출발 3년만에…2025년 수성 궤도 진입

 

 최근접 지점을 통과한 지 10분 후 수성 2418km 거리에서 찍은 사진. 사진에 보이는 지역은 수성의 북반구다. 탐사선의 안테나와 자력계도 사진에 보인다. 유럽우주국 제공

 

유럽우주국과 일본의 공동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가 처음으로 수성을 근접비행(스윙바이 또는 플라이바이)했다. 2018년 10월 지구를 출발한 지 3년 만이다.

 

유럽우주국은 베피콜롬보가 10월1일 오후 11시34분(세계시 기준, 한국시각 2일 오전 7시34분) 태양계 가장 안쪽에 있는 가장 작은 행성 수성을 199km 거리에서 통과 비행했다고 밝혔다. 현재 베피콜롬보와 지구의 거리는 1억km가 조금 넘는다.

 

베피콜롬보는 이와 함께 첫 근접비행 중 찍은 수성 표면의 흑백 사진들을 보내왔다. 사진을 보면 수성 표면에는 달처럼 많은 분화구들이 있다.

 

베피콜롬보는 근접비행 중 모니터링 카메라 3대 중 2대로 약 4시간에 걸쳐 수성 사진을 촬영했다. 그러나 수성을 근접통과한 때가 밤 시간대여서 촬영 조건은 좋지 않았다. 유럽우주국은 베피콜롬보가 근접비행 과정에서 수성 자기장에 대한 몇 가지 과학적 측정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최근접 지점 통과 6분 후 1183km 거리에서 찍은 수성 남반구. 이번 비행 중 최근접 촬영 사진이다. 유럽우주국 제공

 

베피콜롬보는 2025년 12월 수성 궤도에 진입할 때까지 앞으로 5차례 더 수성 근접비행을 시도한다. 베피콜롬보의 근접비행은 연료 절약을 위한 중력도움비행의 일환이다. 중력도움비행은 다른 천체 가까이 다가간 뒤 그 천체의 중력 에너지를 이용해 탐사선의 속도를 높이고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베피콜롬보의 중력도움비행은 총 9번(지구 1번, 금성 2번, 수성 6번) 예정돼 있으며, 이번이 네번째다.

 

베피콜롬보의 수성 근접통과비행 상상도. 유럽우주국 제공

_______

수성 궤도 진입하면 두개 탐사선으로 분리

 

베피콜롬보는 유럽우주국의 ‘수성 행성 궤도선’(MPO)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작사)의 ‘수성 자기장 궤도선’(MMO)’ 두 개의 탐사선으로 구성돼 있다. 두 탐사선은 2026년부터 분리돼 고도 480~1500km의 타원궤도를 돌며 각각 1년 동안 독립적으로 수성 탐사를 시작한다.

 

베피콜롬보의 기본 임무는 수성 표면을 촬영하고 자기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 수성의 거대한 핵을 이루고 있는 철 성분도 분석한다. 수성은 전체의 64%가 철이다. 수성이 핵이 크고 지각이 얇은 행성이 된 것은 거대한 천체가 수성과 충돌하면서 맨틀 대부분을 날려버렸기 때문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한다. 수성은 태양을 두번 공전하는 동안 세번 자전한다. 공전 주기는 88일.

 

베피콜롬보가 첫 수성 근접비행을 한 날은 우주선 명칭의 주인공인 이탈리아 과학자 주세페 베피 콜롬보의 탄생 101주년(1920년 10월2일생)이 되는 날이기도 한다. 베피콜롬보는 1970년대 미 항공우주국의 매리너10호 수성 탐사 때 처음으로 중력도움비행 방식을 제안해, 오늘날 ‘플라이바이의 아버지’로 불린다.

 

 왼쪽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의 현재 위치. 오른쪽은 베피콜롬보의 근접통과비행 경로. 유럽우주국 제공

_______

역대 세번째 수성 탐사선…다음 근접비행은 내년 6월

 

수성과 지구의 거리는 평균 7700만km로 지구~태양 평균 거리의 절반 정도이다. 평균 거리로만 보면 금성보다 가까운 행성이다. 그러나 태양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다 공전 속도가 초속 47km로 지구보다 1.5배나 빠르고, 표면 온도가 낮에는 400도, 밤에는 영하 170도로 변화가 극심해 우주선이 수성 궤도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거나 착륙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그동안 우주 탐사에서 후순위로 밀려나 있었다. 베피콜롬보는 1970년대 매리너10호(미국), 2011년 메신저호(미국) 이후 10년 만에 수성을 다시 방문하는 세번째 수성 탐사선이다.

 

베피콜롬보의 다음 수성 근접비행은 2022년 6월23일로 예정돼 있다. 곽노필 기자

 

온타리오 호남향우회, 9월25일 비 예고로 장소 바꿔 개최

어른과 자녀 함께 가족단위 1백여명 참가...게임도 즐겁게

 

 

온타리오 호남향우회(회장 최영범)가 처음 개최한 어린이 사생대회인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어린이 큰잔치’가 지난 9월25일 노스욕 기쁨이 충만한 교회(당임 양요셉 목사: 1100 Petrolia Rd)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G.Ross Lord Park에서 열 예정이었으나 우천 예고로 장소를 바꿔 진행됐다.

행사에는 향우가족과 자녀 등 1백여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룬 가운데 어린이들이 조부모 혹은 부모와 어울려 그림을 그리고 점심을 함께 한 후에는 게임과 놀이 등으로 어른과 아이들이 세대를 잊는 흥겨운 시간을 보냈다.

이날 그림 심사에서는 이병룡 향우회이사장의 외손녀 이지혜(7) 양이 대상을 차지해 상품을 받았다. 호남향우회는 모처럼 3세대가 어울리는 뜻깊은 잔치가 됐다며 앞으로도 향우들을 위해 좋은 참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905-580-3233 >

사회보장 카드 없어 상금 못 찾아

상금 미수령 복권은 유족에 전달

 

거액 복권 당첨 후 사망한 그레고리 자비스. 페이스북 갈무리.

 

미국의 50대 남성이 거액의 복권에 당첨된 후 상금을 수령하지도 못하고 사고로 숨져 주위를 안타깝게 한다.

 

1일(현지시간) AP통신, ABC방송, 데일리 메일 등에 따르면 미시간주에 사는 그레고리 자비스(57) 씨는 지난 13일 자주 가는 클럽에서 4만5천 달러(한화 5천300여만 원)의 복권에 당첨됐다.

 

그러나 그는 사회보장 카드를 갖고 있지 않아 곧바로 상금을 받을 수 없었다.

 

미시간주 복권협회는 당첨자가 600달러(한화 70여만 원) 이상의 상금을 수령하기 위해선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과 사회보장 카드 등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자비스 씨는 새 사회보장 카드를 신청했고, 주위 사람들에겐 "상금을 받으면 노스캐롤라이나에 사는 아버지와 여동생을 만나러 갈 계획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그는 지난 19일 술집에서 복권 당첨을 기념해 친구들에게 술을 사주는 모습이 목격된 뒤 종적을 감췄다.

 

당시까지도 새 사회보장 카드가 나오지 않아 상금을 찾지 못한 상태였다.

 

또 5일 뒤인 24일 자비스 씨는 그의 보트가 있던 한 해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부검 결과 자비스 씨는 보트를 묶다 미끄러져 넘어지며 머리를 부딪혔고 그 충격으로 물에 빠져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그의 지갑에서는 당첨 상금이 수령되지 않은 복권이 발견됐는데, 유족들에게 건네졌다.

 

경찰 관계자는 "자비스 씨에 대한 살인 정황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오징어 게임' 흥행에 지구촌 달고나 열풍"

● 토픽 2021. 10. 2. 05:57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로이터 "잊혀지던 달고나…이제는 사려고 장사진"

해외서도 달고나 열풍… 중국서도 상품으로 등장

 

'오징어 게임' 인기에 뽑기 관심도 급상승=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이레째 넷플릭스 전 세계 인기 순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한 뽑기 가게에서 유튜버와 시민들이 모여 있다. 드라마의 인기와 함께 드라마 속 서바이벌 게임의 소재로 등장한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뽑기, 줄다리기, 구슬치기, 다리 건너기, 오징어 게임 등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뽑기 가게는 넷플릭스 속 소재로 등장한 달고나 뽑기를 직접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의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에서 선풍적 인기를 끄는 가운데 이번에는 외신이 한국의 설탕 과자인 달고나의 열풍을 조명하고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1일 '달콤하고 치명적 간식으로 오징어 게임 돌풍의 수혜를 누리는 상인'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잊혀지던 달고나의 인기가 급상승한 한국의 상황을 소개했다.

 

통신은 "오징어 게임은 유년 시절의 놀이에 치명적 결과를 연계해 히트했다"면서 "달고나에 새겨진 문양이 깨지면 총에 맞는 게임도 그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달고나 뽑기는 한 판에 2천 원 가량이며 새겨진 문양을 완벽히 떼어내면 공짜로 한 판을 더 얻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통신은 지난해 6월 '오징어 게임' 촬영에 사용된 달고나 700개를 직접 만든 안영희씨 사례를 들었다.

 

서울의 한 대학가에서 8년째 달고나 장사 중인 안씨는 드라마 상영 이후 손님이 늘어 1주일째 집에도 돌아가지 못한 채 장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전 11시부터 '오징어 게임'을 본 사람들이 점포 앞에 줄을 서 있기 때문이다.

 

안씨는 200개도 안 되던 판매량이 드라마 상영 이후 500여 개까지 증가했다고 밝혔다.

 

오징어 게임 흥행으로 바빠진 달고나 상인 [로이터=연합뉴스]

 

또, 통신은 한국의 달고나 문화도 언급했다.

 

통신은 "한국인에게 달고나 상인은 2000년대 초까지 학교 앞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존재였으나 이후 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외에서도 달고나 열풍이 일고 있다며 전 세계인들이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달고나 뽑기 영상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도 '오징어 게임', 달고나 뽑기 열풍 등을 소개하며 유쾌한 어린 시절의 게임을 어둡게 비틀어 대중문화의 감성을 자극했다고 평한 바 있다.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 않는 중국에서도 일부 쇼핑 앱에서 달고나 상품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서도 '#오징어 게임의 달고나 뽑기를 중국에서 했다면?#'이라는 해시태그가 1억4천만 건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