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진원 당시 준장 위증혐의 공판

군 기록 들자 2년여만에 증언 번복

 

 송진원 전 1항공여단장(오른쪽) 등 육군항공 관계자들이 1989년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증언한 조비오 신부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하겠다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전두환(90)씨의 사자명예훼손사건 1심 재판에서 광주 방문 사실을 부인했던 1980년 당시 육군항공 최고 지휘관이 위증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자 법정에서 “기억나지 않았다”고 변명했다.

 

28일 광주지법 형사9단독 김두희 판사의 주재로 열린 송진원(90) 5·18 당시 육군 제1항공여단장(준장)의 위증혐의 첫 공판에서 송씨는 혐의를 부인했다. 송씨는 재판에서 “40년이 지나며 5·18 때 광주에 왔던 사실을 기억하지 못했다. 이후 검찰에서 연락이 와 <80 항공병과사>를 찾아보고 뒤늦게 위문 방문을 했던 기억이 났다”고 해명했다.

 

이에 5·18단체는 재판이 끝난 뒤 송씨 등 신군부 세력이 여전히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5·18 당시 송진원 육군 1항공여단장이 광주에 투입됐다고 나온 <80 항공병과사> 기록.

 

5·18단체 법률대리인인 김정호 변호사는 “송씨는 지금의 항공작전사령부 전신인 1항공여단을 창설하며 헬기 조종사들의 상징적인 분이다. 5·18 당시 헬기 사격을 부인하기 위한 전제로 광주 방문 사실을 부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송씨는 2019년 11월11일 광주지법에서 열린 전씨 사자명예훼손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5·18 당시 광주에 방문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1982년 육군 항공감실이 발간한 <80 항공병과사>의 ‘사태일지’ 5월26일 부분에는 ‘1항공여단장 외 6명 광주 UH-1H(1310~1445)’라고 적혀 있다. 송씨는 기록에 나온 당시 1항공여단장이었고, 이 책이 발간될 때는 항공감이었다. 5·18단체는 이 책을 근거로 지난해 9월7일 송씨를 위증죄로 고발했고 검찰은 지난달 9일 불구속 기소했다.

 

송씨의 위증 혐의 재판의 다음 기일은 다음달 26일 오후 1시에 열린다. 김용희 기자

확진자와 함께 사는 성인 2660명 대상

머크, 로슈 등도 먹는 억제제 개발중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가 27일 먹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제 2·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27일 먹는 알약 형태의 코로나19 감염 억제제에 대해 2·3상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화이자는 자사의 항바이러스제인 ‘PF-07321332’를 코로나19 확진자와 함께 사는 18살 이상 성인 2660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시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약은 먹는 형태의 알약이며,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핵심 효소의 활동을 억제한다. 임상시험은 이 약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리토나비르를 하루에 2회씩 5~10일 동안 혼합 투여해, 가짜 약을 복용한 이들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미카엘 돌스텐 화이자 최고과학책임자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제압하려면, 바이러스에 노출된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통해 감염을 억제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이에 성공한다면 바이러스를 조기에 막음으로써 증상 발현과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임상시험의 주요 목적은 투약한 지 14일 뒤에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 및 증상 발현 방지 효능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화이자는 밝혔다.

 

먹는 알약 형태의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제는 미국 제약사 머크와 스위스 제약사 로슈도 개발하고 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머크는 이달 초 인플루엔자 치료용으로 개발된 ‘몰누피라비르’의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밝힌 바 있다. 몰누피라비르는 바이러스의 아르엔에이(RNA)에 오류를 유발함으로써 복제를 차단하는 방식의 약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각국 보건당국으로부터 승인을 얻은, 먹는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제는 아직 없다. 신기섭 기자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브렌트유, 3년 만에 최고치

원유 재고 부족·소비 증가 겹치며 계속 오를 듯

중국의 탄소배출 억제 등에 따른 전력난도 불안 요인

 

국제 유가가 27일 3년 만에 최고치까지 상승했다. 싱가포르의 한 정유 시설. 싱가포르/AFP 연합뉴스

 

천연가스 가격 폭등으로 촉발된 에너지 수급 위기가 국제 유가 불안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제 경제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와 재고 부족까지 겹치면서 국제 유가가 27일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 가격이 지난 주말보다 1.99% 오른 배럴당 75.45달러를 기록했고, 북해산 브렌트유 11월 인도분은 1.84% 오른 79.5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모두 약 3년만에 최고치에 해당한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이 이날 보도했다.

 

최근 국제 유가의 상승세는 무엇보다 천연가스 가격 파동의 여파다. 천연가스는 관련 업계의 투자 부족과 재고량 감소로 올해 초부터 급등했다. 유럽의 천연가스 가격은 올해 초에 비해 250%나 상승했고, 미국과 아시아의 가격도 거의 2배 가까이 올랐다. 미국의 10월 인도분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현물 인도 시점이 임박하면서 이날 11%나 상승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이에 따라 천연가스를 원료를 쓰는 발전소들이 전기 요금을 올리고 있으며, 유럽 각국은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요금 지원 대책을 잇달아 내놓았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22일 이례적으로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 확대를 러시아에 촉구했다.

 

천연가스 가격 상승은 석유를 이용한 전력 생산의 비중을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석유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게다가 국제 경제가 회복하면서 휘발유부터 산업용 석유까지 유류 수요가 느는 것도 유가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고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 타임스>가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날 올 연말의 브렌트유 가격 예상치를 기존의 배럴당 80달러에서 90달러로 수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석유 공급 부족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관리 업체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분석가 로비 프레이저도 경제 매체 <마켓워치>에 “북반구의 기온이 떨어지면 공급이 더욱 빠듯해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중국의 전력 공급난이 심각해진 것도 국제 유가를 흔들 여지가 있다. 정부의 탄소 배출 억제 정책에 따라 석탄 발전 비중이 줄 수 밖에 없고, 이는 발전용 천연가스·석유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영 <중국중앙방송>(CCTV)과 경제전문 매체 <차이징>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최근 전력난의 원인은 정부의 탄소 배출 규제 정책과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 잠정 금지에 따른 석탄 가격 상승으로 모아진다.

 

중국 정부는 올해부터 앞으로 5년동안 에너지 소비 총량과 탄소가스 배출량을 각각 13.5%와 18%씩 감소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으나, 최근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면서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국 경제의 사령탑 격인 국가발전개혁위(발개위)는 지난달 에너지 소비 강도(단위 국내총생산(GDP)당 에너지 소모량)가 되레 상승했거나 하락 목표치를 채우지 못한 광둥·푸젠·장쑤 등의 지방 정부에 경고를 내렸다. 경고를 받은 지방 정부들은 즉각 목표 미달 업종을 중심으로 전력 공급량을 제한했다.

 

또, 석탄 발전이 전체 전력 생산의 63%에 이르는 랴오닝·지린·헤이룽장 등 동북 3성은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 잠정 중지 여파로 석탄 가격이 오르자 발전량이 설치 용량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중국이 재생에너지 비중을 일시에 높이기는 어려운 만큼, 당분간 석탄 수요를 대체할 석유·천연가스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석유 수출국들의 모임인 ‘오펙 플러스’에 대한 증산 압박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오펙 플러스는 10월4일 회의를 열고, 하루 40만배럴 규모의 생산량을 매달 한차례씩 연말까지 늘려간다는 기존 방침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신기섭 기자,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장기에 가스 차 간 손상 등 부작용

의료진 치료에도 18시간만에 숨져

사망원인은 박테리아 감염 때문 주장도

 

콜라

 

중국의 20대 남성이 더위를 식히기 위해 콜라 1.5리터(ℓ)를 10분 만에 다 마신 후 장기에 가스가 가득 차 숨진 사례가 국제학술지에 소개됐다.

 

28일 뉴욕포스트와 데일리 메일 등에 따르면 중국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간과 위장병학에서의 치료와 연구'에 '콜라에 의해 부풀어 오른 간'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앞서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중국 베이징의 22살 남성은 1.5ℓ 콜라를 통째로 마신 뒤 6시간이 지나 배가 부풀어 오르면서 심한 통증이 나타나자 베이징 차오양병원을 찾았다.

 

당시 그는 의료진에게 "날씨가 더워 콜라 1.5ℓ를 급하게 마셨다"고 말했다.

 

기저질환이 없었던 그는 초기 진료에서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고 혈압은 떨어졌으며, 숨도 가쁘게 내쉬었다.

 

또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 결과 그의 장기와 간문맥(장과 간 사이의 혈관)에 평소와 달리 가스가 차 있었고, 간에서는 산소 공급 부족으로 장기가 손상되는 '허혈' 증세도 나타났다.

 

의료진은 이런 증상이 간문맥에 차 있는 가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이를 빼내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환자의 간 등을 보호하기 위해 약물도 투여했다.

 

그러나 남성의 간은 이미 심각하게 손상됐고, 상태는 계속해서 나빠져 치료 18시간 만에 사망했다.

 

의료진은 이번 사고를 두고 해당 남성이 급하게 콜라를 마신 뒤 장기에 가스가 축적됐고, 압력이 증가해 가스가 간의 주요 혈관인 간문맥으로 새어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또 간 손상을 유발해 사망으로 이어졌다고 판단한다.

 

 

가는 화살표는 내장에 가스가 차 있음을 보여주고, 굵은 화살표는 내장에서 간으로 혈액을 운반해주는 혈관에 장간막 정맥에 가스가 차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 과학, 건강 전문 분석 회사 엘스비어(Elsevier).

 

그러나 영국 전문가들은 중국 남성의 사망 원인을 두고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생화학자인 영국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 네이선 데이비스 교수는 "1.5ℓ 콜라 섭취가 치명적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다면서 "콜라의 탄산이 치명적이라면 이런 사고가 세계적으로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숨진 남성 장기에 비정상적으로 가스가 찬 것은 콜라가 아닌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정했다.

 

박테리아가 장기에 가스주머니를 만들면 이번 사고로 숨진 남성이 겪었던 증상과 유사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많은 양의 탄산음료를 마신 것이 증상을 악화시켰을 수도 있지만, 주요 원인은 아닐 수 있다"며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