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틴 전력회사, 삼성·인피니온 등 산업체에 전력 공급 끊어 전력 사용 급증, 발전소 고장…다른 주서 빌려 쓰기도 불가능
미국 텍사스주의 이상 한파가 전력 위기를 불러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이 가동을 중단한 가운데 포트워스의 전력 회사에 고장 수리용 트럭들이 대기하고 있다. 포트워스/EPA 연합뉴스
미국을 강타한 한파가 독자 전력망을 운용하는 텍사스주의 전력 위기를 촉발하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현지 반도체 업체가 가동 중단에 들어가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텍사스주 오스틴의 현지 신문 <오스틴 아메리칸-스테이츠먼>은 16일 공영 전력회사 ‘오스틴 에너지’가 전력을 많이 쓰는 삼성전자, 엔엑스피(NXP) 반도체, 인피니온 등 반도체 업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대형 전력 소비 집단을 대변하는 ‘청정·적정·신뢰 에너지 연합’(CCARE)은 “텍사스 전역이 심각한 전력 부족을 겪자 오스틴 에너지가 반도체 업종을 포함한 산업체에 가동 중단을 명령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대변인도 “사전에 전력 공급 중단 통지를 받고, 반도체 웨이퍼 생산 시설 등의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반도체 공장의 경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수백만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볼 수도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최근 며칠 동안 미 본토 대부분의 지역이 기록적인 한파를 겪고 있으며, 텍사스주의 경우도 휴스턴의 기온이 몇십년 만에 최저인 영하 10도까지 덜어지는 등 이례적인 한파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사용이 급증했고, 한파 대비에 소홀했던 발전소들이 잇따라 가동을 멈추면서 텍사스가 최악의 전력 위기에 빠졌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전했다. 상황이 악화되자 주 정부는 ‘순환 정전’을 실시해, 400만 가구 이상이 정전으로 고통받고 있다. 전력 대란 여파로 15~16일 휴스턴의 전력 도매 가격은 평소 1㎿h 당 22달러에서 9000달러까지 폭등했다.
텍사스가 다른 지역보다 더 심한 전력 위기에 빠진 건, 독자적인 전력망을 구축해 다른 주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탓도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미국은 동부와 서부의 광역 전력망을 통해 여러 주가 필요에 따라 전기를 주고 받지만, 텍사스는 연방정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독자 전력망을 쓰고 있다.
한편, 미국 전역에서 주민 2억명에게 한파 경보가 발령된 가운데 적어도 21명이 숨졌고 10억달러(약 1조1천억원) 이상의 재산 피해가 예상된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신기섭 기자
아랍에미리트의 부통령이자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마크툼(왼쪽)과 그의 딸 셰이크 라티파(오른쪽). 라피타가 탈출하다 붙잡힌 뒤 갇힌 별장의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으로 비밀 영상을 찍는 모습. AP 연합뉴스, BBC 영상 갈무리.
2018년 왕국을 탈출했다가 붙잡힌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통치자의 딸 셰이크 라티파가 ‘자신이 인질로 잡혀있다’고 주장했다.
<BBC> 방송은 두바이 공주 라티파가 두바이로 송환된 뒤 비밀스럽게 촬영해 친구들에게 보낸 영상을 입수해 지난 15일 공개했다. 그의 친구들은 “라티파에게서 비밀 메시지가 오지 않은 게 9개월이 넘었다”며 유엔(UN)으로 영상을 넘겼다고 전했다.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라티파는 “나는 인질이고 이 별장은 감옥으로 개조됐다”며 “집안에는 다섯 명의 경찰관이 있고 두 명의 여경이 나를 감시하고 있다. 매일매일 안전을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공개된 다른 영상에서 라티파는 “나는 이 감옥 별장에서 인질이 되고 싶지 않다”며 “그냥 자유로워지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도양에서 붙잡혀 두바이로 송환될 때 특수부대원들이 자신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묶었고 진정제를 주사했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들은 그가 두바이에 강제송환되고 1년 뒤에 비밀리에 받은 스마트폰으로 수개 월 동안 촬영됐다. 그는 별장에서 유일하게 문을 잠글 수 있었던 화장실에서 웅크린 채 영상을 촬영했다.
라티파는 지난 2018년 2월 두바이에서 고무보트와 제트스키를 타고 공해 상으로 나갔고, 이곳에 대기 중이던 미국 국적의 요트를 타고 탈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8일 뒤 인도양 상에서 특수부대에 붙잡혀 두바이로 송환됐다. 그는 당시 탈출 시도 전에 아버지에 의해 이동 시간, 장소, 음식 등을 감시받는 삶을 살았다며 “자유로울 수만 있다면 햄버거 패티를 구우면서 살아도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두바이로 송환된 뒤 약 3개월 동안 알-아위르 중앙교도소에 수감되었다가, 별장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셰이크 라티파는 아랍에미리트의 부통령이자 두바이의 통치자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마크툼의 자식 30여명의 중 하나다. 그는 16살에도 탈출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전력이 있다. 앞서 2018년 12월 두바이 당국은 라티파의 33살 생일 기념사진이라며 그의 모습이 담긴 사진 몇장을 공개했다. 지인들은 사진 속 라티파가 흐리멍덩해 보인다며 약물 주입 의혹을 제기했다. 최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