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 서비스업체 창업한 앤드루 이'마지막 황손' 이석, 황세손 지명도

 

[출처: LA 부동산업체 트위터 캡처]

 

조선 왕실의 후손인 재미교포 사업가 앤드루 이씨가 138억원짜리 캘리포니아주 고급 저택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2"한국의 (조선) 왕실 가족이자 가상사설망(VPN) 서비스업체 PIA를 창업한 앤드루 이 대표가 캘리포니아주 사우전드오크스시() 소재 저택을 1260만달러(138억원)에 매입했다"고 보도했다.

LAT는 현지 부동산 중개인 단체 '멀티플 리스팅 서비스'에 등록된 매매 자료를 인용해 이 대표가 산 저택이 올해 사우전드오크스에서 최고가 거래 기록을 세웠다고 말했다.

저택 내부에는 7개의 침실과 13개의 욕실, 와인 시음실, 영화관, 체육관 등이 있으며, 야외 공간에는 테니스장과 고급 풀장을 갖추고 있다고 LAT는 전했다.

조선 왕실 후손 앤드루 이 PIA 대표가 매입한 고급 저택.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태어난 이 대표는 고종의 친손자이자 마지막 황손으로 알려진 이석 황실문화재단 이사장이 황세손으로 지명한 인물이다.

이 대표는 자신의 부친이 조선 왕실 후손이라는 점을 알려주지 않아 뿌리를 모르고 살다가 2013년에서야 왕실 가족임을 알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이 대표는 당시 미국에 체류하던 이 이사장과 인사를 나누게 됐고, 이 이사장은 성공한 재미교포 사업가로 자리를 잡은 이 대표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다.

이 이사장은 2018년 베벌리힐스의 한 식당에서 이 대표를 왕세자로 책봉하는 예식을 열기도 했다.

한편 이 대표는 지난 4월 코로나19로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한인들을 돕는다며 왕실을 대표해 LA한인회에 10만 달러를 보낸 것으로 LA한인회 측이 밝힌 바 있다.

1918년 태어난 앤젤리나 프리드먼, 암 이기고 코로나도 완치판정

 

  지난 4월 코로나19 걸렸다 완치한 앤젤리나 프리드먼

 

1살 때 스페인 독감을 피해가고 102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두차례 걸렸다가 완치한 미국 할머니가 "천하무적"으로 불린다고 CNN 방송이 3일 보도했다.

주인공은 스페인 독감이 창궐하던 1918년에 태어난 앤젤리나 프리드먼(102) 할머니.

스페인 독감은 19181920년 전 세계에서 약 5천만명의 목숨을 앗아가 인류 최악의 전염병 중 하나로 꼽힌다.

할머니는 스페인 독감 대유행 와중에 이탈리아를 떠나 뉴욕으로 향하는 배 위에서 태어났으며, 병마를 피해간 것으로 알려졌다.

시련은 또 찾아왔다.

뉴욕시 브루클린에서 남편과 가정을 꾸리고 살던 시절 암에 걸려 투병 생활을 했던 것.

할머니는 암을 이겨내고 삶으로 돌아왔지만 비슷한 시기 암에 걸렸던 남편은 먼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00살이 넘어서도 할머니는 병마에 굴하지 않았다.

현재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에 있는 요양원에 머무르고 있는 그는 101살이던 지난 3월 처음으로 코로나19에 걸렸다가 완치됐고, 지난 10월 두 번째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을 때도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지난달 17일 완치 판정을 받은 할머니는 시력과 청력이 상당히 떨어진 상태지만, 여전히 활기를 내뿜고 있다고 한다.

프리드먼의 딸인 조앤 메롤라는 "우리 어머니는 천하무적"이라며 "어머니는 형제자매 11명 중 마지막 생존자로, 코로나19에 두번 걸렸다가 극복한 사람 중 최고령일 것"이라고 말했다.

요양원 관계자도 "프리드먼은 에너지가 넘치시는 분"이라고 말했다.


'불법 이민 가족 분리' 탓에 부모-자녀 연락두절

 

지난 12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공항에서 과테말라 출신 한 이민자가 아들과 상봉해 눈물을 흘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반() 이민 정책 탓에 부모와 생이별한 난민 어린이가 6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미국 법무부와 미국시민자유연대(ACLU)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날 현재 부모의 행방을 찾지 못한 난민 어린이가 628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부모의 행방을 찾지 못한 어린이는 545명인 것으로 ACLU는 자체 파악했으나, 법무부와 함께 집계한 결과 이보다 더 많았던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불법 이민자 가족 분리 정책을 꺼내들었다.

이는 국경을 넘어온 불법 이민자를 구금해 추방하는 한편 자녀는 연방 보호시설 또는 미국 내 친척 집에 보내거나 입양시키는 것이어서 이민자에 대한 '무관용 정책'이라고도 불렸다.

이 여파로 최소 5천여 가족의 구성원들이 뿔뿔이 흩어졌다.

또 이날 법원에 제출된 문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아동의 부모를 찾는 데 필요한 연락처 정보를 미 법무부 산하 기관인 이민심사행정국(EOIR)으로부터 받아 지난달에야 ACLU에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ACLU 측 변호사는 "우리는 정부가 가진 자료를 공개해달라고 계속 요구해 왔는데, 대선 후보 토론에 언급되고 나서야 비로소 받을 수 있었다"면서 "이 자료는 최소 1년 전에는 확보됐어야 하는 것"이라 말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후보 시절 TV 토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불법 이민자의 자식들이 뿔뿔이 흩어졌다. 홀로 남은 아이들은 갈 곳도 없다. 이건 범죄"라고 몰아세운 바 있다.


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원과 베이컨 대위(1943, 버마)

     

주 캐나다 대사관 강사시리즈』 11월30일 개최손녀가 선교사 일생 소개

파란 눈의 캐나다 장교 베이컨 대위, 광복군 활동으로 독립유공 건국훈장

     

주 캐나다 대사관은 지난 1130대사관 강사시리즈를 열고 캐나다 군인으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수여받은 로랜드 베이컨(Roland Bacon:1904-45) 대위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날 강사시리즈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온라인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베이컨 대위의 후손 가족들을 비롯해 연아 마틴(Yonah Martin) 상원의원과 빌 블랙(Bill Black) 참전용사회장을 포함한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베이컨 대위의 귀한 삶을 되새겼다.

장경룡 대사는 환영사에서 광복군 창설 80주년, 한국전 발발 7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해에 대한민국 정부가 베이컨 대위의 공훈을 발굴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하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하며, 금번 대사관 강사시리즈를 통해 베이컨 대위의 이야기가 후손의 목소리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질 수 있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하고 이러한 귀한 유산이 세대를 이어 계승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대사관은 양국 보훈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경룡 한국대사와 베이컨 대위의 활약상을 소개하는 손녀 토빈 여사

강사로 초빙된 고 베이컨 대위의 외손녀 토빈 여사는 캐나다 선교사 사위에서 독립유공 훈장까지라는 제목으로 외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생생한 사진자료들과 함께 소개했다.

토빈 여사는 할아버지 베이컨 대위는 1931년 캐나다 선교사의 딸 펄 맥레(Pearl MacRae: 함흥 출생, 한국명 백진주) 여사와 결혼 후, 한국으로 건너가 선교활동을 하다 1941년 일본의 탄압으로 추방되자 어린 자녀와 가족을 이끌고 인도로 이주하였는데, 그 곳에서 유창한 한국어 실력으로 당시 인도·버마 전선에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연락장교로 활약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베이컨 대위는 공작대원들과 함께 대적 선전 및 문서번역 등 작전을 수행하다 19453월 광복을 불과 5개월 앞두고 일본군의 총탄에 전사하셨다.”고 밝혔다.

이어서 토빈 여사는 대한민국 정부가 이러한 베이컨 대위의 공로를 인정하여 금년 8.15에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는데, 서훈 심사 과정에서 그동안 소장하고 있던 각종 관련 자료, 사진 및 문헌을 국가보훈처에 제공하였었다고 말하고 특히, 미망인이 된 외할머니 Pearl 여사가 한지성 대장 및 그의 부인 안금생 여사(안중근 의사 조카딸)와 함께 찍은 사진은 광복군 역사 연구에 매우 가치 있고 희귀한 자료로 보존되게 되어 매우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강사시리즈를 통해 그간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캐나다 출신 영웅의 스토리가 널리 알려지게 되어 다행으로 생각하며 특히, 대한민국 정부가 외국인 유공자의 공적 발굴에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입을 모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은 캐나다 상원을 대표하여, 한국 정부에서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처럼 캐나다도 베이컨 대위의 감명깊은 스토리 등 한-캐 관계에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산들을 계속 발굴하여 차세대들에게 전수할 계획이라고 다짐했다.

빌 블랙 참전용사회장은오늘 참석하지 못한 동료 참전용사들에게도 스토리를 공유할 계획이라면서 토빈 여사가 강사료를 특별히 한국전 참전용사회에 기증하였는데 보훈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참전용사들을 위해 뜻 깊게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훈장 전수식(베이컨 대위의 장남 Dr. Hugh Bacon, 정병원 주밴쿠버 총영사)

오타와 한국대사관이 베이컨 대위의 공훈을 발굴하여 서훈을 추진해 결실을 맺은 결과, 캐나다는 한국전 3대 참전국이자 대한민국 독립을 도운 3대 기여국임이 확인되었다. 지난 1968년을 마지막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캐나다인 독립유공자 발굴은 베이컨 대위 포상으로 재개된 셈이다.

한국대사관은 이번 강사시리즈를 계기로 한국 정부가 외국인 독립유공자들의 공적을 지속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리고, 130여년 전 내한 선교사부터 시작된 양국간 뿌리깊은 우호관계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강사시리즈는 한국대사관 유투브 채널(Korean Embassy in Canada YouTube)을 통해서 다시보기 할 수 있다. < 문의: 613-244-5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