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가 속인 Seller·중개인 문책 못해

● Biz 칼럼 2013. 9. 23. 14:13 Posted by SisaHan
피하고 싶은 집들

1. Haunted House : 몇 년 전 밴쿠버에서 한인 가장이 가정 불화로 장인,장모를 포함한 일가족을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하고 마는 끔찍한 사건이 신문 지상에 보도 되었다. 매우 놀랍고 가슴 아픈 일이지만, 필자 역시 직업이 직업인지라,그 일가족이 살던 집을 매각하는 문제부터 생각해 보았다. 꽤 골치아픈 일일 것이다. 지역 사회에 그 집의 내력이 알려지게 되고, 모든 사람이 그 집을 기피할 것이다. 꼭 팔아야만 할 입장이라면 가격을 터무니없이 깍아 내린 오퍼에 사인을 할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우리의 생활 주변에도 역시, 끔찍한 살인사건의 현장이 되었던 집들, 일가족 자살 사건의 현장들이 알게 모르게 매물로 나오고 있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유명세 탓에 매각을 하지못한 희대의 살인마 버나도와 호몰카가 살던 Bayview Dr.와 St.Catherine에 있던 집은 허물어 버리게 되었고, 1973년도에 살해된 Christine Demeter양의 미시사가에 있던 집은 화재로 인해 파괴되었다. 그러나 입소문을 타지않은 살인사건 및 집단 자살 현장의 집들이 온타리오주에 수백 채가 있다고 한다.

이를 알지 못한 채, 이러한 문제의 집들을 구입하였을 때 누구를 원망 하여야 하나?
a) 집을 속여서 팔았다고 집을 판 사람의 책임을 물을 수 있나? = 아니다. 미국의 절반 이상의 주(state)와 퀘벡주에서는 Disclosure law라는 법조항이 있어 집주인은 집을 팔기 전 그 집에 관련된 이와같은 스티그마(stigma)를 공개하도록 되어 있으나, 온타리오주에는 그와같은 법 조항이 없다.
b) 그 집을 소개한 부동산 중개인의 책임을 물을 수 있나? = 아니다. 물론 중개인은 자기 고객의 이익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므로 중개인이 미리 알고 있었다면 이를 자기의 고객에게 알려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향후 집을 되팔 경우에 집의 가치(value)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개인이 모르고 있었다고 주장하면 이를 어떻게 반대입증 할 수 있나? 대답은 부정적이다.

★ 그렇다면, 당신의 소중한 집을 구입하려 하는데 뭔가가 미심쩍다 할 때 어떤 방법으로 돌다리를 두들겨 볼 수 있을까?
좀 오래된 책이긴 하지만, 이러한 Haunted House(흉가)의 자료와 정보를 상세하게 적어놓은 Robert Colombo의 책이 있다. 책명은 ‘Haunted Toronto’(1996, Hounslow press, $18,99)이다. 문제의 집들에 얽힌 갖가지 사연들과 유령이야기도 자주 등장하므로 읽기에 매우 소름이 끼친다. 예를 들자면, 21 Roxborough St. W, 35 Bishop St, 121 Walmer Rd, 131 Hazelton Ave, 10 Sherbourne St. N, 295 Shulter St, 1666 Queen St. E.unit 12, 557 Pape Ave, 3 Glamorgan Ave unit 704, 10 Euclid Ave, 184 Prince Edward Dr.S, 139 Inglewood Dr 등이다. 
또한 Toronto Ghost and Haunting Research Society의 웹사이트인 www.torontoghosts.org에 들어가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필자가 아는 상식으로는, 이러한 Haunted House에 대해 포괄적으로 정리해 놓은 리스팅들은 찾아 볼 수 없는 것 같다.

★ 어쨌든 끔찍한 범죄현장이 되었던 곳을 당신의 주거지로 삼는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미신이냐? 아니면 그 어떤 편견이냐?의 문제를 떠나서 꺼림칙하고 불쾌한 일이 될 것이나 또한 그 집을 되파는 가치(resale value) 역시 역행적으로 작용할 것임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 결론적으로 말해 나의 꿈에 그리던 보금자리를 찾는 구매자가 이러한 문제의 집에 휘말려 들기는 매우 쉬운 반면 이에 대한 대책은 미흡한 것으로 생각된다.


< 김종욱 - 부동산 리얼터, Golden Ridge Realty Inc. >
문의: 416-409-9039

 

대한기도원에서 열린 2013 차영지 집회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100여명 참석 영적 소통과 체험의 장으로

대한기도원에서 1박2일 열띤 집회
차영지 신학 등 말씀… 시 강의엔 눈물

2013 차영지 집회가 토론토 차영지 연합 주최로 9월13~14일 이틀간 대한기도원에서 100여명의 부모와 자녀들이 모인 가운데 은혜와 감동가운데 열렸다.
‘청소년기 때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해야 한다’는 주제에 따라 영어권과 한국어권 자녀들이 함께 모여 말씀과 찬양과 친교를 나눈 이번 집회에서 참가자들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를 누리며, 부모와 자녀들이 영적으로 소통하는 깊은 영적 체험의 집회가 됐다.
 
집회 첫날 말씀을 인도한 차영지 세계본부 대표 허천회 목사(말씀의 교회 담임)는 ‘차영지 운동의 신학 및 성경적 근거’를 한혜경 목사의 영어통역과 함께 총 망라한 강해 설교로 차영지의 신학적 논거와 이해를 두텁게 해주었다. 둘째날 강사로 나선 조병재 목사 (원주중앙교회 담임)는 ‘더 높은 가치에로 나아가라’는 제목의 말씀으로 부모와 자녀들이 함께 은혜받고 결단하는 시간을 갖게 햤다. 또 영어권 강사로는 강영도 목사와 Joseph Chae 전도사의 영적 리더십 강좌가 이어져 청소년들에게 은혜와 도전을 주었다. 선택강좌를 맡은 이영정 목사(덴토니아파크 연합교회 담임)는 ‘새로이 다가오는 세상을 위한 복합문화간 목회와 융합신학 방법론’ 제목의 말씀을 통해 목회자들과 미래 목회에 대하여 심도있는강의와 토론을 인도했다.

이날 특히 시인인 박선이 사모의 ‘쉬운 언어로 표현하는 신앙고백으로서의 시’ 강의는 듣는 이들이 눈물로 가슴을 적시는 특별한 은혜를 체험하게 했다. 이밖에 오타와대 겸임교수이며 캐나다 국방부 로봇 연구원인 김범수 박사와 황환영 장로(서머나장로교회) 및 한재호 치과의사의 간증이 참석자들에게 특별한 은혜를 주었다.
한편 차영지는 출범 10주년을 맞는 내년에 차영지 신학을 세계적으로 확장시켜가는 신학 컨퍼런스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건강한 신학적-성경적 근거 위에 지역교회에서 차영지 운동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한국과 세계 교회의 미래를 개척하는 일을 견인하는 선도적 역할을 충실히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 문의: 416-888-0965, 416-738-6602 >


같은 그릇에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되는 것이고 오물을 담으면 쓰레기통이 된다.
음식은 요리사를 잘 만나고, 맛있게 먹어주는 손님을 만날 때 맛이 극대화 된다.
학생은 스승을, 스승은 학생을, 종은 주인을, 주인은 종을, 운동선수는 휼륭한 코치를, 코치는 휼륭한 선수를, 군견은 훌륭한 조련사를, 조련사는 좋은 개를… 잘 만날 때 서로가 아름다운 열매를 맺으면서 빛을 발하게 된다.
누구든 누구에게 발견되어지고, 누구에 의해서 개발되어지고, 누가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값어치는 현저하게 차이가 나게 된다.
사람은 세운 목적만큼 가치를 누리며 살아가는 존재이다.
삶을 살다 보면 성공도 하고 실패도 한다.
실패가 죄는 아니다. 목적이 잘못된 것이 죄다. 실패를 하였을 때 좌절하면서 극단적 생각을 하고 극단적 행동을 하는 것이 문제다.
자살률의 증가는 해당자의 주변인들의 고통이 너무 크다는 데 문제가 있다.
자신의 삶의 목적과는 달리 엉뚱한 방향으로 너무 오래 살아갈 때 그 삶은 가치가 희석되어 질수 밖에 없다.
 
목적은 캘거리인데, 비행기는 퀘벡행을 탄다. 목적은 등산인데 실제는 바다로 가고 있다. 목적은 창의적 삶이라 하면서 살기는 술로 지새운다. 목적은 영원한 것이라 하면서 살기는 오늘에 집착하다가 죽음 앞에서야 후회를 하기도 한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람은 섬기는 대상만큼 영광을 얻으면서 산다.
사람은 자신이 추종하고 섬기는 대상이 있기 마련이다. 잘못된 이데올로기를 섬기든, 돈을 섬기든, 명예를 섬기든, 자존심을 섬기든, 무엇인가 섬기고 있다는 것이다. 
2차 대전 직전에 독일 사람들은 히틀러를 보스로 섬겼다. 세계를 무력 통일시키는 것 같았으나 2차 대전이 끝났을 때 그들은 히틀러를 통해 부끄럼과 굴욕감을 맛볼 수밖에 없었다. 맑스와 레닌을 섬긴 사람들도 있었다. 이데올로기를 섬기다가 그것이 허상인 것을 깨닫고 부끄러워하고 과거를 후회하면서 주님을 찾아 나서고 있다. 
 
최근 모스크바에 한인 선교사가 세운 교회가 수십 개가 있는데 몇 개월 사이에 7,000명, 1,000명, 700명 벌떼같이 러시아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다.
성가대는 얼마나 잘하는지 한국 손님 왔다고 한국 찬송가 한국말로 몇 곡씩 얼마나 잘 부르는지 감동적이다. 천장 벽이 도금된 옛날 황제가 거하던 황실을 빌려 예배를 드리는 교회도 있다. 필자 부부도 1991년 7월 소련이 해체되기 전 모스크바 크렘린궁 안에 황제가 출석했던 정교회 안에 들어가 보고 왔다. 그때 필자부부도 소망하기를 그곳까지 문을 열어 예배드릴 수 있는 날이 속히 와서 바로 옆에 근무하고 있는 대통령 및 정부 군관들이 찬송소리를 듣고 감동받아 예수님 믿는 날 속히 오기를 기원하기도 했다.
얼마 전 러시아 현역 장군을 비롯한 영관급 지휘관 몇 명이 목사안수를 받고 목사가 되었다. 그리고 군 복음화에 열심을 다하고 있다. 꿈같은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들은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이데올로기를 잘못 믿었기에 역사적으로 큰 실수를 했고 부끄러운 생을 살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내 인생의 주인은 누구인가?
주인을 바로 섬길 때 진정 자유하며 살 수가 있는 것이다.

< 윤형복 목사 - 메도베일한인연합교회 담임목사, 재단법인 자살방지협회 캐나다대표 >


주택시장, 여전히 ‘활발’

● CANADA 2013. 9. 23. 13:57 Posted by SisaHan
토론토·밴쿠버 집값 크게 올라

지난달 전국의 주택 거래가 활발한 실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캐나다 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가 전달보다 2.8%,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37만8천369달로 전년도보다 8.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가격은 양대 시장인 밴쿠버와 토론토에서 큰 폭으로 올라 밴쿠버의 평균 주택 가격이 77만5천811달러, 토론토는 52만3천228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달 주택 거래가 활발했던 이유에 대해 최근 모기지(장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세가 구매자들의 결정을 촉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시장은 지난해 가을 정부의 모기지 조건 강화 조치로 냉각기를 거친 이후 올봄 들어 재개 조짐을 보였다.
관계자는 그러나 주택 시장 활기가 올가을까지 계속될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면서 모기지 승인을 얻은 구매자 집단이 소진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