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폐쇄박근혜 정부 때는 맞고 문재인 정부 때는 틀리다?

월성1호기 경제성 저평가폐쇄 명분 없다탈원전 총공격

  박근혜 정부 때는 당대표, 지역의원, 시장까지 영구정지 찬성

 

최재형 감사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법무부, 대법원, 감사원, 헌법재판소, 법제처 종합감사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감사원의 월성1호기의 경제성이 낮게 평가됐다는 감사 결과 발표를 놓고 보수 야당이 조기 폐쇄 명분이 없어진 것이라며 탈원전 정책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면서, 앞서 이뤄진 고리1호기 영구정지 과정이 비교 대상으로 소환되고 있다. 고리1호기는 박근혜 정부 때인 20156월 한국수력원자력이 1차로 20176월까지 연장된 수명의 추가 연장을 시도하다 포기하면서 20176월 영구정지됐다.

보수 야당은 한수원이 월성1호기의 경제성을 축소해 조기 폐쇄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지난해 9월 국회의 감사 요구안을 관철시켰다. 계속 가동 때의 이용률을 낮게 전망하고 전기판매 단가를 과도하게 낮추는 등 자료를 조작해 월성1호기의 경제성을 과소 평가했다는 것이었다.

감사원은 지난 20일 야당이 제기한 이런 의혹을 일부 사실로 확인한 감사 결과를 내놨다. 감사원은 국회에 보낸 감사보고서에서 최근 강화된 규제환경 등을 고려할 때 중립적 이용률 60% 그 자체는 적정한 추정 범위를 벗어나 불합리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기판매 단가와 관련해선 월성1호기 이용률 산정에 고려한 규제 강화 등이 반영되지 않은 전체 원전의 이용률(84%)을 전망단가 추정에 그대로 사용하면 실제 판매단가보다 낮게 추정되는 사정을 알면서도 보정하지 않아 계속가동시의 전기판매수익이 낮게 추정됐다고 지적했다.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감사원은 한수원의 경제성 평가 용역보고서에서 월성1호기의 즉시 가동중단 대비 계속가동의 경제성이 224억원(중립적 이용률 60% 기준)으로 분석되는 등 계속가동의 경제성이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됐다고 결론지었다.

감사원은 경제성이 합리적으로 평가될 경우 즉시중단 대비 계속 가동의 경제성이 얼마나 더 늘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대신 참고값으로, 전체 원전 이용률을 84%에서 70%로 낮추면 전기판매 전망단가가 연도별로 최소 4.07/kWh에서 최대 5.94/kWh 상승한다는 재산정 결과를 제시했다. 한수원의 경제성 평가보고서에 적용된 평균 전망단가 51.52/kWh보다 7.9~11.5% 높은 값이다.

2011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고리 원전 1호기는 차단기 고장으로 멈춰 섰다. 당시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 회원들은 고리 1호기 인근 해안에서 폐쇄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부산/연합뉴스

한수원의 경제성 평가 최종보고서는 이용률 60%51.52/kWh의 평균 전망단가를 적용해 2022년 말까지 계속가동 할 때의 전기판매수익을 7511억원으로 잡았다. 여기에 감사원이 참고치로 제시한 전망단가 상승률 최대치를 대입하면, 계속가동 때의 전기판매수익은 약 864억원 늘어난다. 투입 비용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즉시 가동중단 대비 계속가동의 경제성은 224억원에서 1088억원으로 불어나는 셈이다.

이 경제성 규모는 사실 2017년 영구정지된 고리1호기의 수명을 10년간 2차 연장해 계속 가동할 때의 경제성보다는 작은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15612일 한수원에 고리1호기의 계속 운전을 추진하지 말도록 권고하며 발표한 보도자료를 보면, 당시 고리1호기는 2차 수명연장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이 비해 최소 1792억원, 최대 2688억원 이득이라는 경제성 분석 결과가 나와 있었다.

그럼에도 당시 정부는 고리1호기의 경제성, 안전성, 국민 수용성, 전력수급 영향과 미래 해체산업 대비 등을 종합 고려해 고리1호기 영구정지를 한수원에 권고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계속 가동하는 것이 경제적으론 이득이라는 분석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정부의 정책적 판단으로 고리1호기의 불을 끄기로 결정한 것이다. 2018년 한수원 이사회가 월성1호기 폐쇄를 결정한 사유와 크게 다르지 않은 2015년 정부 발표는,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은 물론 야당까지 환영했다. 이는 당시 한수원이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 신청을 포기해 20176월 영구 정지로 이어지게 했다.

2017619일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당시 보도를 보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부산지역 국회의원 13명은 에너지위원회 개최 사흘 전 당시 윤상직 산업부장관을 만나 고리1호기 폐로를 공식 건의했다. 당시 울산시장이던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시의회에서 고리1호기 수명연장이 경제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와 있는데도 고리1호기 재연장은 안전성, 경제성, 주민수용성, 전력수급 측면에서 명분이 없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하태경 의원은 국회예산정책처에 별도로 고리1호기 계속 운전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의뢰한 결과를 토대로 수명연장을 하면 한수원이 예측한 수익이 아니라 3천억원대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SSC 투아타라, 최고 시속 508km 주행 성공

 

양산차 세계 기록을 경신한 SSC 투아타라의 주행 장면. SSC노스아메리카 제공

 

시속 500km를 달리는 하이퍼카(슈퍼카 중의 슈퍼카)가 탄생했다. 기록 경신을 위해 특수제작한 차량이 아닌 일반 시판용 차량의 속도가 시속 500km를 넘은 것은 세계 양산차 126년 역사상 처음이다.

미국의 하이퍼카 제조업체 SSC 노스아메리카(SSC North America)의 새로운 하이퍼카 ‘SSC 투아타라’(SSC Tuatara)는 지난 10일 오전 화창한 날씨 속에 라스베이거스 외곽의 11.2km(7마일) 고속도로 구간에서 `마의 벽'으로 통했던 시속 300마일(483km)을 넘어섰다. 투아타라는 이날 고속도로 구간 왕복주행에서 평균 시속 316.11마일(508.73km)를 기록했다. 서울~부산 거리를 400km로 잡고 단순 계산해보면 서울에서 출발해 부산까지 50분도 안돼 도착할 수 있는 속도다. 투아타라는 특히 돌아오는 길에서는 최고 시속 331.15마일(532.93km)을 찍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중국 상하이의 자기부상열차 최고 기록(시속 431km)보다 무려 100km나 빠른 것이다.

SSC 투아타라의 속도 측정은 7마일 구간에서 진행됐다.

이날 기록은 현재 최고 기록인 스웨덴의 고성능차량 제조업체 코닉세그의 아제라RS가 업그레이드한 엔진으로 2017년에 세운 왕복 평균 277.87마일(447.19km)을 시속 60km 이상 웃돈다.

SSC 투아타라의 엔진룸.

공기역학 설계, 7단 변속기, 탄소섬유 등 첨단 기술의 승리

1894년 최초의 양산차인 독일 벤츠의 벨로가 달린 최고 속도는 시속 19km(12마일)였다. 시속 100마일을 돌파한 때는 그로부터 50여년이 흐른 1946, 시속 200마일은 다시 이로부터 40여년이 흐른 1987년이었다. 이제 또 다시 30여년이 흐른 2020300마일 돌파와 500km 돌파라는 두 대기록이 동시에 수립됐다.

이날 기록은 하이퍼카 최고 수준인 0.279의 항력계수를 달성한 공기역학 디자인, 1750마력의 8기통 엔진, 7단 컴퓨터 수동 변속기, 가볍고 강한 탄소섬유 모노코크(보디와 프레임이 하나로 돼 있는 차체 구조) 기술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성과이다.

제트훈련기, 헬리콥터 등을 동원해 역사적인 주행 장면을 촬영했다.

15GPS 위성 동원해 측정100대 한정 생산키로

사실 2010년대 중반 이후 부가티 시론, 헤네시 베놈 F5, 코닉세그 제스코 등 세계적인 하이퍼카들은 시속 300마일 돌파에 도전해 이론상으론 이를 구현했다. 그러다 지난해 부가티가 처음으로 최고 시속 304.77마일(490.48km)300마일 벽을 넘어섰다. 하지만 기록 인정에 필요한 왕복 주행이 아니라 편도 주행이어서 공식 기록으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으려면 1시간 내에 왕복주행이 이뤄져야 한다.

미국 워싱턴주 SSC의 투아타라는 이날 한 시간 안에 같은 구간을 왕복 주행함에 따라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았다. 첫 출발 주행 기록은 시속 301.07마일(484.53km), 그 다음 복귀 주행 기록은 시속 331.15마일(532.93km)이었다. 이날 투아타라 운전대를 잡고 역사적인 주행을 한 전문 카레이서 올리버 웹(Oliver Webb)은 보도자료를 통해 "조건만 더 좋았다면 더 빨리 달릴 수도 있었다""시속 331마일에 이르렀을 때 투아타라는 5초간 무려 시속 20마일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SSC노스아메리카 창업자인 제롯 셸비(왼쪽)와 레이서 올리버 웹이 공식기록인증판을 들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자동차 속도를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으려면 기록 인증 요원 2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실제 고객이 쓰는 차량과 타이어, 연료를 사용해 공공도로에서 주행해야 한다. SSC노스아메리카는 이날 투아타라의 정확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15개의 위성을 이용한 GPS 측정을 진행했다. SSC는 또 아음속 제트훈련기 T-33과 헬리콥터, 드론으로 구성된 항공촬영팀을 동원해 이날 투아타라의 주행 장면을 영상에 담았다.

SSC 노스아메리카는 SSC 투아타라를 100대 한정 생산할 예정이다. 곽노필 기자

 


WS 6차전서 탬파베이에 3-1 42패로 우승

통산 7번 째이자 1988년 뒤 32년 만에 왕좌 탈환

 

2020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알링턴/AP연합뉴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2020 월드시리즈(74선승제) 우승 반지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게 돌아갔다.

다저스는 28일 미국 텍사스주 알링턴 글로브라이프필드에서 열린 월드시리즈 6차전에서 무키 베츠(28)의 홈런 등에 힘입어 탬파베이 레이스를 3-1로 물리치며 42패를 기록,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 했다.

베츠는 이날 추격에 발판을 마련한 안타와 승부에 마침표를 찍는 쐐기 솔런포를 쏘아올리며 우승의 일등공신이 됐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무키 베츠가 28일 미국 텍사스주 알링턴에서 열린 월드시리즈 6차전 8회에서 승부에 쐐기를 박는 솔로포를 친 뒤 포효하고 있다. 알링턴/AP연합뉴스

이날 승리로 다저스는 1988년을 마지막으로 32년을 기다린 끝에 7번째 월드시리즈 우승 반지를 끼게 됐다. 1998년 창단한 청년팀 탬파베이는 창단 첫 월드시리즈 우승을 노렸으나, 아쉽게도 실패했다. 하지만 전통의 강호이자, 클레이튼 커쇼베츠 같은 스타 선수들이 즐비한 다저스를 상대로 만만치 않은 저력을 과시했다.

한국인 야수 최초로 월드시리즈 무대에 섰던 최지만(29)은 이날 1번 타자 겸 1루수로 선발 출전했지만, 2타수 1볼넷 1삼진을 기록한 뒤 7회초 교체됐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다저스, 월드시리즈 우승 1승 남았다

커쇼 5.2이닝 2실점PS최다 탈삼진 경신

최지만, 8회말 대타 투입됐다가 바로 교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클레이튼 커쇼가 25일 미국 텍사스 알링턴에서 열린 월드시리즈 5차전에서 승리 투수가 된 뒤 기뻐하고 있다. 알링턴/AFP 연합뉴스

       

커쇼는 커쇼였다.

미국프로야구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에이스 클레이턴 커쇼(32)의 역투를 앞세워 32년 만의 정상 탈환에 1승만을 남겨뒀다. 탬파베이 레이스의 최지만(29)은 대타로 나왔지만, 타석엔 서지 못했다.

다저스는 26(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알링턴의 글로브라이프필드에서 열린 탬파베이와의 월드시리즈(WS·74승제) 5차전에서 4-2로 승리했다.

다저스는 시리즈 전적 32패로 앞서나가며 32년만의 우승을 눈앞에 뒀다.

지구 대표 투수 다저스 선발 커쇼가 일등공신이었다. 커쇼는 이날 5.2이닝을 5피안타 2볼넷 6탈삼진 2실점으로 막아내고 승리투수가 됐다.

커쇼는 월드시리즈 1차전에서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한 데 이어 5차전에서도 인상적인 역투를 펼치며 그동안 가을에 부진했던 가을 악몽에서 벗어났다.

또한 커쇼는 이날 삼진 6개를 추가, 포스트시즌 개인 통산 207개의 탈삼진을 뽑아내며 저스틴 벌랜더(205·휴스턴 애스트로스)를 뛰어넘어 포스트시즌 최다 탈삼진 기록을 세웠다.

반면 창단 첫 WS 우승을 노리는 탬파베이는 4차전 극적인 역전승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벼랑 끝에 몰렸다.

최지만은 대타 출전했으나 타석엔 서지 못했다. 8회말 무사 1루에서 대타 쓰쓰고 요시토모가 범타로 물러난 뒤 탬파베이는 최지만을 대타로 내세웠고, 다저스는 우완 더스틴 메이 대신 좌완 빅토르 곤살레스로 바꿨다. 왼손 타자 최지만은 결국 다시 교체됐다.

양 팀의 6차전은 하루 쉰 뒤 28일 아침 98분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탬파베이는 선발로 블레이크 스넬을 예고했지고, 다저스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정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