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기상수문국(기상청) 예보큰물’(홍수폭우 피해 대책 주문

 

북한의 조선노동당 중앙위 기관지 <노동신문>5일 전국 각지에서 저수지와 배수로, 해안방조제 정비 등 큰 물(홍수)과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한 사업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폭우에 대비하는 황주군 관개관리소 모습. <노동신문> 누리집 갈무리,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방송>5기상수문국(남쪽 기상청에 해당) 통보에 의하면 5~6일까지 (평양) 대동강 유역에 평균 150~300의 많은 비가 내릴 것이 예견되며 6일 저녁에 대동강 다리 지점 수위는 경고 수위를 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평양시를 관통하는 대동강 유역에 큰물(홍수) 주의 경보가 전날 발령된 데 이어 범람 위험이 예고된 셈이다. 2007년 대동강 범람에 따른 평양 시내 침수로 애초 그해 8월 말로 계획한 2차 남북정상회담(노무현 대통령-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두 달 연기돼 103~4일 열린 바 있다.

북한 최대 곡창 지대인 황해도를 지나는 예성강 주변도 위태로운 처지다. <조선중앙방송>예성강 유역에서도 평균 150~250의 많은 비가 내려 연백호의 유입량과 방출량이 하루 안전 통과 흐름량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견된다고 전했다.

<노동신문>큰물과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한 실제적인 대책을 세우자는 구호를 문패로 내건 큰물·폭우대책 관련 기사 2건을 이날치 1면에 사진과 함께 실었다. 평안(남북)·황해남도·함경남도·강원도 등의 농경지와 농작물 보호 조처, 석탄·전력·금속 공업 부문 등 각 산업의 피해 방지와 안전 대책 따위를 집중 소개했다.

다만 북쪽 매체는 현재까지 비 피해에 대한 구체적인 보도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이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전했다. < 이제훈 기자 >


금값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아

● WORLD 2020. 8. 5. 11:50 Posted by SisaHan

안전자산, 사상 첫 온스당 2천달러 돌파“3천달러 간다전망도

경기 침체와 달러 가치 하락 우려로 급등올들어서만 30% 이상 올라

 


국제 금값이 4일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2천달러를 넘어섰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와 미국 달러 약세 우려가 겹치면서 3천달러까지도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1.7%(34.70달러) 오른 202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금값이 종가 기준으로 온스당 2000달러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1822일 세워진 온스당 1891.90달러의 기록을 지난달 24일 깨뜨린 지 일주일여 만이다.

코로나19 감염 사태가 길어지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자 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올해 들어서만 30% 넘게 가격이 올랐다. 최근 미 달러 반등세가 주춤해진 데다 미 국채 수익률이 낮아진 것도 자금이 금으로 쏠리는 데 일조한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논의가 달러 가치 하락을 부추길 것이라는 점도 최근 금 가격 상승에 힘을 싣고 있다. 달러화가 더 많이 풀리면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높아진다는 분석이다.

알리안츠의 수석 경제자문 모하메드 엘에리언은 국채 수익률이 낮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위험이 적은 자산을 찾고 있기 때문에 금 값 상승은 충분히 이해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마켓의 북미 거시전략 책임자 리 페리지는 국채 가격이 오르고 금 값도 오르는 것은 모두 미 달러 가치 하락 전망과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금융계에서는 금값이 더 오를 여지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 그룹은 2300달러를,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의 마이클 위드너는 2500달러에서 최대 3000달러를, 아르비시(RBC)캐피털마켓은 3000달러를 각각 예상했다. 위드너는 지난 2009년 금융위기 당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값을 끌어올린 사례를 언급하며 이번에도 중앙은행들이 계속 금을 사들여서 금값 상승을 뒷받침할 것 같다고 말했다. < 신기섭 기자 >

미 공중급유기, 미크로네시아 선원이 모래사장에 쓴 조난신호 발견

·호주군, 식량·무전기 전달미크로네시아 경비정이 최종 구조

 


태평양의 무인도 해변에 새겨진 SOS 조난 신호 덕분에 항해 중 실종된 미크로네시아 선원 3명이 극적으로 구조되는 영화 같은 일이 벌어졌다.

미국과 호주 군 당국은 4일 조난된 미크로네시아 선원 3명을 태평양의 외딴 섬에서 발견해 구조했다고 CNN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들은 지난달 30일 서태평양의 섬나라 미크로네시아에서 소형 보트를 타고 42떨어진 산호섬을 향해 항해하던 중 배 연료가 바닥나는 바람에 조난했다.

항로에서 벗어나 망망대해에서 표류하던 이들은 원래 목적지에서 190떨어진 무인도 피켈롯 섬에 도착했고, 해변에 SOS 조난 신호를 새기고 구조를 기다렸다.

이들을 먼저 발견한 것은 미 공군이었다.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출발해 작전 비행 중이던 미 공군 공중급유기가 무인도 백사장에 쓰인 SOS 신호를 기적처럼 확인한 것이다.

조난된 미크로네시아 선원들이 도착한 태평양의 무인도

공중급유기 조종사 제이슨 팔메이러 옌 중령은 "소나기를 피하기 위해 비행 방향을 틀다가 무인도 모래 위에 있는 SOS 신호와 작은 보트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앞서 미크로네시아 당국으로부터 수색구조 요청을 받은 미군과 호주 해군은 조난 선원이 무인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한 뒤 서로 협력해 구조 작전에 나섰다.

구조 작전은 구조대와 선원들의 접촉을 최소화한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방침에 따라 몇 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실종 선원들을 발견했다는 미군의 연락을 받은 호주 해군은 무인도 인근을 지나던 강습상륙함에서 헬기와 보트를 띄워 선원들에게 식량과 물을 우선 전달했다.

이어 하와이에서 출발한 미국 해안경비대 소속 구조기는 선원들이 있는 무인도에 교신용 무전기를 투하했다.

그리고 선원들은 무전기를 통해 미크로네시아 경비정과 교신하는 데 성공했고, 전날 오후 8시께 구조됐다.

괌 주둔 미 해안경비대 사령관 크리스토퍼 체이스는 "당국 간 협업이 수색구조 작업을 성공시켰다"고 말했다.

호주 해군이 미크로네시아 선원들에게 전달한 식량과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