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의 휘슬이 울리고 축구경기가 시작됐다. 공격팀이 적진을 향해 볼을 걷어차며 시합이 막 뜨거워지나 싶은 순간, 무슨 일인지 갑자기 선수들이 그라운드에 풀썩 풀썩 주저앉는다. 그렇게 양팀 선수들이 맥없는 모습으로 앉아 기도하듯 꿈쩍도 하지않자 심판들도 그 자리에 가만히 서서 지켜보고만 있다. 프로축구 경기장에서 생긴 이 돌발적인 사건은 사상 유례없는 일이다.
선수들이 그라운드 곳곳에 주저앉아 ‘묵상’하는 모습이 담긴 한 장의 사진은 뉴스통신으로 전세계에 전파됐다.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지난 주 그리스의 중부도시 라리사라는 곳에서 열린 프로축구 2부 리그 경기장에서 있던 소동이었다. 아니 사실은 소동이 아니라, 선수들의 ‘난민 사랑’이 만들어 낸 퍼포먼스였다. 이날 시합에 나선 두 팀 선수들은 자국 그리스를 비롯해 유럽 각국이 시리아 난민들을 박대하고 추방하면서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바다에서 익사하는 등의 슬픈 뉴스가 전해지는 데 항의하고 희생자들에게 조의를 표하는 뜻으로 경기 전에 2분 동안 침묵시위를 했다는 것이다. 심판들은 물론, 경기를 관전하려던 스탠드의 시민들도 모두 함께 묵념한 뒤 뜨거운 박수로 경기를 재개하는 감동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거친 대결과 승퍠만이 관심사일 것 같은 메마른 축구경기장에 아름다운 인류애의 인정이 훈훈하게 감돈 것이다.

호주 총리의 따뜻한 모습도 세인의 눈길을 끌었다. 멜버른에서 길을 가던 맬컴 턴불 총리가 노숙자를 발견하고는 다가가 악수를 나누며 함께 웅크려 앉아 정겹게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화제가 됐다. 총리는 노숙자가 4개월 전 배우자가 세상을 떠난 뒤 거리로 나앉았다는 고단한 사정을 듣고 위로하면서 정부가 마련한 빈민과 노숙자 지원 프로그램을 자세히 설명했다고 언론들이 전했다. 정치인이라고는 하지만, 호주 국회의원 가운데 두 번째 부자라는 턴불 총리에게 권위나 오만이 아닌 배려와 긍휼의 자세가 배어 있었던 것이다. 그 곳 언론들의 보도를 접하다 보면 호주 국민들이 마음 든든해 했음은 분명하다.
지난해 말 시리아 난민들이 자유당 정부의 포용으로 토론토 국제공항에 도착하던 장면에서 많은 캐나다인들이 긍지를 가졌던 감동이 새롭다. 갈수록 천덕꾸러기 신세들이 되어가는 그들을 이 나라는 총리와 장관이 직접 공항에 나가 따뜻한 품으로 맞아주어 지구촌의 선망을 샀다. 캐나다에는 인간애가 살아있는, 사랑이 흐르는 나라임을 과시한 것이다.

역시 지난 주, 미국 병원에서 중한 심장병으로 대수술을 받은 뒤 돈이 없어 호주의 집으로 돌아갈 엄두를 못내던 13살 소녀가 누리꾼들의 성원으로 이생의 마지막 소원을 이뤘다는 아름다운 외신도 있다. 이 소녀는 두달 전 오하이오의 병원에 와서 수술을 받았으나 악화돼 생을 기약할 수 없게 됐다. 하지만 돌아갈 비용이 없어 이역 땅에서 가족과 떨어진 채 생명이 다해가는 슬픔에 처하고 말았다. 귀국을 위해서는 중환자실을 나와 의료장비를 갖춘 비행기를 타야하는데 무려 21만여 달러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이에 가족들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온라인에 소식을 알렸는데, 불과 일주일 만에 3천7백여명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비용을 초과했고, 호주 콴타스항공도 돕겠다고 나섰다는 것이다.

삭막한 세상의 아름다운 이야기들은 의외로 많다. ‘헬조선’이라는 한국에도 물론이다.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세워진 ‘사랑의 온도탑’이 100도를 넘겨 100.5도가 됐다는 뉴스도 있었다. 지난해 이웃돕기 성금이 목표액을 그만큼 초과해 3천446억원이나 걷혔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기업들 외에 개인기부가 1천793억원이나 됐다니, 겉으로는 치열한 아귀다툼의 세상 같아도 우리네 이웃사랑의 인정은 면면히 뜨겁게 흐르고 있었다.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겠다며 혹한 속에 한 달 넘게 노숙하고 있는 젊은 학생들에게 텐트조차 못주게 했던 매정한 권력이 분노를 불렀다. 하지만 쉴 새 없이 시민들이 찾아와 격려하며 따끈한 꿀차와 보온용품을 전하고, 밥차를 동원해 뜨끈한 밥과 국물을 대접한다. 수많은 어머니와 아버지들, 누나와 언니, 형과 오빠들이 그들을 감싸주고 있다. 누구보다 할머니들을 사랑하고 나라와 민족을 걱정한 갸륵한 젊은이들, 그들은 결코 미워할 적(敵)이거나 남이 아니라, 바로 우리들의 사랑하는 아들들이요 귀한 딸들이다!


아무리 삶이 힘들고 냉기가 진동해도, 우리네 가슴 안쪽, 동네 골목마다에는 연민과 사랑이 살아 숨쉬며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씨가 내연하고 있음에 마음이 따스해진다.
그래서 절망 보다는 희망을, 좌절 보다는 소생의 기력을 내며 다시 내일을 향해 달려갈 힘을 얻는 것이리라.


< 김종천 편집인 >



[칼럼] 응답하라 2016

● 칼럼 2016. 2. 6. 20:24 Posted by SisaHan

궁금해졌다. 28년 전을 그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이 인기를 끌었다. 28년 뒤인 2044년에 2016년을 그린 드라마가 나온다면 2016년의 젊음과 사랑과 일과 꿈과 가족을 어떻게 그릴까. 쌍문동쯤에서 이야기가 시작될까. 편의점에서 ‘혼밥’을 사 먹는 젊음들로 시작될까. <응팔>의 주인공들은 28년 뒤 어떤 모습일까. 그들도 70대가 될 터인데 어떻게 늙어갈까. 그들의 자녀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살고 있을까.


28년이면 강산이 세 번 변할 세월이다. 우리의 일상은 외형적으로 참 많이 변한 것이 틀림없지만 내면적으로는 28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다지 변한 게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1988도 또 그 28년 전인 1960도 나는 생생하게 기억한다.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이란 영화를 학교에서 단체로 관람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4.19가 났다. ‘독립운동의 화신’ 85살의 ‘고마우신 우리 대통령’이 이상한 한국어로 방송을 하고 하와이로 망명했다.
1987년 6.29를 거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36%, 김영삼 28%, 김대중 27%의 표가 나와 노태우가 대통령이 되었다. 선거 결과는 실망스러웠지만 선거를 통해 무엇인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 해이기도 했다. ‘민주주의는 한판의 승부가 아니’라며 <한겨레신문>도 탄생했다. 정권교체와 또다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는 경험도 했다.


정작 가장 걱정되고 궁금한 28년 뒤, 2044년을 나는 볼 수 없다. <응팔>의 부모들처럼 나도 이미 죽었을 테니까.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처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두려운 2044년이다.
2044년. 그때도 분단체제일까. 분단 100년을 맞게 되는 것일까. 북은 핵을, 남은 사드를 장착하고 6자회담 4자회담을 놓고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우리의 운명이 좌우되는 게 여전할까. 무겁고 무섭다. 답이 없다. 답은 우리가 만들어야 하는데도. 분단 고착이 북에 이익일까 남에 이익일까. 주변국들의 필요가 통일을 가로막고 있는데도 북은 북대로 남은 남대로 기존 권력체제 유지를 일관되게 최고의 가치로 삼고만 있을까.
2044년. 2030년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해 2040년대 들어서면 우리 사회는 초고령사회가 되어 인구의 3분의 1이 노인인구다. 지금은 노동가능인구 6명이 노인 한 명을 부양하는 구조이지만 그때가 되면 두 명이 한 명을 부양해야 한다.


그 두 명은 지금 3포세대 심지어 9포세대라 지칭되며 일자리 결혼 출산 주거가 막막한, 희망이 없는 세대들이다. 자기 앞가림도 어려운 그들이 초고령 노인들을 먹여살려야 한다. ‘응팔세대’들이 손자를 품에 안는 것은 희귀한 경험이 될 가능성이 크다. ‘아들아 미안하다’ 하고 일찍일찍 세상을 떠나주는 게 희망 없는 세대를 키우고 손놓고 바라만 본 세대들이 아들 세대들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의 선물이고 바람직한 노인상이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든다.
총선을 앞두고 ‘의리와 뚝심의 경상도 사나이’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정말 쌍팔년도 구호가 난무한다. 쌍팔년이란 1988이 아니고 단기로 생년월일을 표기하던 시절에 나온 말로 단기 4288년, 그러니까 1955년도 이야기다. 조폭영화 찍는 것도 아닌데 그런 구호가 먹혔고, 먹힌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한민국이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증거다. 비박 친박 진박 영남 호남 대구 부산 목포 타령 하는 게 2016년에도 여전한 우리의 자화상이다. 새 생명은 태어나지 않은 채로 노인인구만 늘어나 그들이 선거에서 이익집단처럼 표를 행사하고 분단백년을 맞게 하는 한 우리에게 미래는 없다.


2016년은 응답해야 한다. 28년 뒤, 2016년을 추억의 드라마로 불러내기 위해선. 1988은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응답하라고 말하고 싶은, 인생에서 추억의 드라마로 간직하고 싶은 해였을 것이다. 지금 이 상태의 2016년이라면 28년 뒤인 2044년의 ‘응답하라 2016’은 괴기공포영화의 시작을 알리는 해가 될지도 모른다.
< 김선주 - 언론인 >



Mortgage의 종류와 특징

지난해 말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가 0.5 %로 인상되면서 캐나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변동추이도 큰 관심을 끌게 되었습니다. 미국 금리 변동은 캐나다 경제 및 금리정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지난 1월 미 연준의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의 현행 유지를 결정하였고 캐나다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현행대로 0.5%로 유지하기로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금리정책도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히 검토해 결정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따라서 금리조정 전망은 제반 경제지표 추이를 보아 가면서 여건이 개선될 경우에만 점진적으로 또 완만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합니다.
캐나다 경제는 지난주 Oil가격이 모처럼 배럴당 30달러 선을 넘어섬에 따라 TSX와 Loonie가 각각12,800선 과 US$71Cents선으로 회복됐습니다. 하지만, 제반 경제지표상으로는 여전히 어려운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가계부채 수준은 더욱 악화되어 G7중 최고수준인 것으로 드러나 금리가 만약 상승기조로 돌아서면 모기지연체 등으로 금융시장에 심각한 어려움을 야기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배경하에 우리가 선택할 모기지에 대한 지식을 같이 나누어 보겠습니다.

1. 금리의 변동성을 기준으로 변동금리(Variable Interest)와 고정금리(Fixed Interest)로 나누어 집니다. 변동금리는 용어 그대로 금융시장의 상황에 따라서 금리가 변동하는 상품으로 구체적으로는 은행의 Prime Rate에 연동되어 Prime Rate가 올라가면 따라서 올라가고 내리면 따라서 내리는 구조인데, 예를들면, 요즘 5년제 변동금리가 Prime -0.2%이므로 실제 적용금리는 2.5%(2.7%-0.2%)인데 Prime Rate 가 현재 2.7%에서 3.0%로 올라가면 새로 적용될 모기지금리는 2.8%(3.0%-0.2%)로 올라가게 됩니다.
고정금리는 시장금리의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계약기간동안 당초 약정한 금리를 보장받게 되는 상품입니다. 즉, 현행 5년제 고정금리 2.54%로 계약하게 되면 중간에 Prime Rate가 3.0%로 올라 가더라도 계약기간 5년동안 2.54%의 이자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2. 계약기간 중 원금상환 가능여부에 따라 Open모기지 또는 Closed 모기지로 구분됩니다. Open모기지는 언제든지 위약금없이 자유롭게 원금을 상환할 수 있는 상품이며, 반면에 Closed 모기지는 계약기간 내에 상환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상환이 가능하더라도 매년 상환할 수 있는 한도(통상10%-15%)가 제한되어 있으며 그 한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정의 위약금(Penalty)을 물어야 하는 상품입니다.


3. 융자비율(Loan to Value)에 따라서Conventional 모기지와 High-Ratio 모기지로 나누어 집니다. 통상적으로 자기자금을 20%이상 Down할 경우 모기지 금액은 80% 까지 융자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품을 Conventional 모기지라 하며, 반면에 80% 이상 모기지를 High-Ratio 모기지라고 칭합니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모기지보험을 요구하게 되며 고객들은 해당 보험료를 부담하여야 하는데, 대개는 모기지 원금에 가산하여 대출을 일으키게 됩니다.
최근의 모기지 금리 동향을 보면 대부분의 금융권에서 5년 변동금리 최저금리가 종전에 2.1%(Prime-0.6%)선에서2.5%선으로 인상됐고 5년 고정금리의 경우도 최저금리가2.44%에서 2.54%로 올랐습니다. 이런 금리인상 추세로 지난해 과열됐던 GTA지역 부동산 시장은 다소 냉각기를 갖지 않을까 조심스런 전망입니다.
주택구입 혹은 기존 모기지 갱신의 경우, 위와 같은 장단점을 잘 검토하시어 최적의 모기지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진화영 - 모기지 에이전트, Atlantic(HS) Financial >
모기지 상담 및 문의: 647-688-8593, hyjin916@yaho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