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고난을 싫어한다. 나도 힘들고 어려운 일들을 죽도록 싫어한다. 그러나 목사가 된지 이제 30년이 넘어서야 고난이라는 것이 항상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아직도 고난이 싫으면서도 그 고난의 유익을 점점 알게 된 것이다. 어거스틴은 그가 남긴 유명한 저서 <하나님의 도성>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고통은 동일하나 고통당하는 사람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은 똑같은 고통을 당하면서도 하나님을 비방하고 모독하지만, 또 다른 사람은 그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을 찾으며 찬양합니다. 고통을 당하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문제입니다.” 정말 고통당할 때 지금까지 나는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반응을 보일까? 고난이 나에게 유익하도록 반응할 수 있을까?


시 119:71편에 “고난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이로 인하여 내가 주의 율례를 배우게 되었나이다.” 고 기록하고 있다. 이 시편의 저자도 아마 많은 고통과 고난을 당했나 보다. 그리고 그 결과 자신있게 고난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고 선언하고 있으니 참으로 귀한 진리를 깨달았다. 나도 이 시편처럼 자신 있게 고백할 수 있다면 좋겠다. 그리고 고난을 향하여 용감하게 덤벼 보라고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고난이 다가올 때 웃음을 띠고 즐거운 마음으로 그 고난에 대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지금도 고난이 임하면 긴장한다. 웃음이 사라진다. 잠을 잘 수가 없다. 밥맛이 없다.


성경을 읽을수록, 성경 속의 내가 존경하고 좋아하는 인물들마다 고난의 길을 걸었다는 것을 보게 된다. 많은 유혹과 시험의 과정을 마친 사람들임을 알게 된다. 수고의 떡과 수고의 물을 먹고 마신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 고난의 과정을 통해서 더욱 하나님과 가까워지고,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되고, 자신의 잘못을 되돌아보며 회개하는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 이 모든 일들이 고난을 통해 일어나는 일들 임을 알게 된다. 사람은 고난이 없으면 성숙해지지 않나보다. 고난이 없으면 자신을 돌아보지 않나 보다. 고난이 없으면 겸손해지지 않나보다. 고난이 없으면 하나님께 엎드리지 않나보다. 아마 나에게도 그러한 고난이 없었다면 잘못 되었을지 모른다.

아직도 고난과 고통은 싫다. 그렇지만 조심스럽게 그 고난을 유익이라고 믿고 그 고난에 담대히 도전하려고 오기를 부려본다. 롬 8:35절의 사도 바울의 고백처럼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바울이 말하는 이 힘든 일들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까? 그러나 바울은 계속 외치고 있다. 37절에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하나님의 사랑이 모든 고난을 이길 수 있는 힘이라고 외쳤다. 그 고난을 감당할 수 있는 힘을 주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하고 있다. 나도 하나님의 사랑으로 지금까지 은혜로운 삶을 살아왔다. 내가 싫어하는 그 어려움들을 잘 감당하게 하셨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도 아쉬움과 후회스러운 일들도 있지만 그러나 나로 하여금 그 고난을 이기게 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할 뿐이다.

< 강성철 목사 - 우리장로교회 담임목사 >



목회자세미나에서 말씀을 전하는 강준민 목사와 경청하는 목회자들.


KPCA동노회 영락교회서 세미나
‘영성관리’에 목회자들 관심쏠려

해외한인장로회(KPCA) 캐나다동노회(노회장 석대호 옥빌한인교회 담임목사)가 ‘목회자의 영성과 자기관리’주제로 마련한 목회자세미나가 6월2일과 3일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LA 새생명비전교회 강준민 담임목사를 강사로 진행됐다.
노회 교육자원부(부장 안상호 동산교회 담임목사)가 주관해 개최한 이번 세미나에는 교단을 초월해 1백명 가까이 참석, ‘영성관리’를 향한 목회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뿌리깊은 영성’‘열매맺는 영성’‘비상하는 영성’‘배움의 영성’‘말씀 묵상의 영성’등 제목으로 이틀간 7시간여 세미나를 인도한 강준민 목사는 “목회자에게는 예수님을 닮은 성품과 지혜, 그리고 사랑의 영성이 목회의 바탕이 되어야 한다”며 영성수련에 끊임없는 기도와 노력을 조언했다.
강 목사는 “예수님을 닮아가는 뿌리깊은 영성을 통해 변화와 성숙을 추구해야한다”면서 ‘든든한 반석이신 예수님께 깊이 뿌리내릴 것’을 강조하고 “뿌리깊은 영성은 예수님의 생명을 받은 영성이며, 영성이 바로 변화를 일으키는 은총의 도구”라고 전했다. 이어 ‘영성의 여정’을 통해 예수님을 닮아가게 된다고 전한 강 목사는 “영성여정은 예수님을 믿는 단계에서 아는 단계로, 이어 예수님을 사랑하는 단계, 갈망하는 단계, 그리고 예수님을 섬기는 단계로 성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목사는 또 “뿌리깊은 영성은 먼저 아래로 성장을 뜻하며, 이는 자신을 낮추고 속사람을 가꾸고 흑암 중에 성장하는 것”이라고 소개하고 “뿌리깊은 영성은 하나님이 사용하시는 영적 인도자를 통해 든든히 세워지며, 예수님께 교훈받고 믿음 위에 굳게 서는 감사의 영성”이라고 설명했다. “교회안에는 성장의 본능이 있고, 성장을 위해서는 고통과 불편이 뒤따른다”고 지적한 강 목사는 “고통과 소원과 만남과 은혜가 변화를 창출한다”고 영성을 통한 변화를 거듭 역설했다. 


< 문의: 416-889-7700 >



담배 3사에 156억$ 명령

● CANADA 2015. 6. 5. 17:10 Posted by SisaHan


퀘벡 고법, 100만명 흡연피해 배상 ‘역사적 판결’

캐나다 담배 회사들이 우리 돈으로 무려 14조원에 가까운 징벌적 손해배상금을 내야할 처지에 놓였다.
퀘벡주 고등법원 브라이언 리오던 판사는 1일 주내 흡연자들이 제기한 2건의 집단 소송 판결에서 임페리얼 토바코, 로스만스 벤슨 앤 헤지스(RBH), JTI맥도널드 등 담배 3사가 흡연 피해자들에게 156억 달러(13조8000억원)를 공동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캐나다 민사소송 손해배상액 중 사상 최대 규모다.


이날 판결은 1998년 퀘벡주 흡연 피해자들이 담배 회사들을 상대로 “흡연의 건강 위험성을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며 집단소송을 추진, 2012년 3월 정식 재판이 시작된지 13년만에 법원이 원고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법원은 이에 더해, 담배회사들이 간접흡연의 피해를 방지해야 하는 일반적 의무도 게을리한 것으로 봤다.
이번 판결이 확정될 경우 배상을 받을 흡연자는 100만명에 이른다. 그 중 흡연 관련성이 입증된 암 환자들은1976년 1월을 기준으로 그 이전은 10만 달러, 그 이후는 9만 달러, 폐기종 환자들은 3만~2만4000 달러를 받게 된다. 또 담배를 끊을 수 없는 흡연자에도 1인당 130 달러씩 지급된다.
리오던 판사는 판결문에서 “담배회사들이 공공 보건 당국이나 일반 대중에 자신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직접 고지하지 않음으로써 고객의 건강을 뒤로하고 이익 추구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총 276쪽에 달하는 판결문은 또 “이는 가장 질이 나쁜 잘못으로 징벌적 배상을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담배 3사의 배상금은 임피리얼토바코사가 67%에 해당하는 105억 달러, 로스만스 벤슨&헤지스가 20%인 31억 달러, JTI-맥도널드가 나머지를 각각 부담하도록 비율이 정해졌다. 판결은 특히 이들 3사의 항소 여부와 상관없이 10억 달러를 우선 지불할 것을 명령했다.
원고측 변호인들은 “이들 3사가 지난 50년 동안 고객에 거짓말을 해 고객의 생명권을 침해했다”며 “흡연 피해자는 물론 사회 전체의 공공 보건에도 위대한 승리가 될 역사적 판결”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담배회사들은 “캐나다 국민들이 이미 1950년대부터 흡연의 위험성에 대해 상당한 경각심을 갖고 있었다”고 반박하며, 최고법원에 상고할 뜻을 분명히 했다. JTI 맥도널드는 법원 판결 직후 성명을 내어 “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특히 지난 40년 이상 모든 담뱃갑에 건강 경고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강조돼 왔다”고 주장했다.
< 조일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