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과 새정치에 부족한 것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30일 “이겼으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총선을 앞두고 예방주사를 맞은 거다”라고 말했다. 전략 부서의 핵심 당직자도 “이번 재보선 참패가 당에 보약이 될 것”이라고 했다. ‘4 대 0’으로 참패한 정당의 처절한 문제의식이나 절박한 위기의식은 찾기 어렵다. 오히려 일단 상황을 모면하고 보자는 얄팍함, 고비만 넘기면 어떻게든 잘될 것이란 안일함이 엿보인다.

새정치연합이 4·29 재보궐선거에 죽기살기로 치열하게 달려들었는지 의문을 자아내는 대목도 많다. 문재인 대표는 지난 2월 전당대회에서 ‘이기는 정당, 이기는 혁신’을 내걸고 당선됐다. 그랬으면 재보선 승리에 모든 걸 집중했어야 한다. 그런데 문 대표는 경선이란 ‘원칙 아닌 원칙’에 지나치게 집착하며 사실상 후보 선정을 방치하다시피 했다. 익명을 요청한 한 정치평론가는 “‘유능한 경제정당’이란 구호를 내세웠으면 후보 4명 가운데 적어도 한 명은 거기에 걸맞은 후보를 공천해야 했다. 구호와 후보가 따로 놀았다. 이건 선거 전략의 기본을 무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치를 하려면 때론 욕을 먹고 손엔 피를 묻히고 발은 진흙탕에 담가야 한다. 당내 전략통으로 꼽히는 한 인사는 “정치의 본령이 조율과 조정인데 문 대표는 공정한 관리자에 그치려 했다. 이건 원칙이란 이름으로 포장한 무책임에 가깝다”며 “결국 문 대표의 치열함과 절박함이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문 대표가 법조인 티를 벗고 정치인으로 진화하지 않으면 미래가 어둡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번 선거에서 답이 정해져 있는 수학 공식을 풀듯 고답적, 도식적 대처로 일관했다.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초장부터 야권연대 논의를 원천봉쇄한 점이다. 문 대표는 ‘야권연대 절대불가’를 거듭 재확인했다. 결과는 성남 중원에서 통합진보당 출신 김미희 후보의 완주로 나타났다. 새정치연합은 통합진보당 해산과 의원직 박탈의 부당성을 인정하면서도 ‘무차별적 통합진보당 때리기’에 가세했다. 원칙도 지키지 못했고 실리도 얻어내지 못한 것이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해 재보선 결과에 대해 사과하려고 마이크 앞에 서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오른쪽은 우윤근 원내대표.


치열함 부족 ‘경선’ 집착 후보선정 방치…말로만 ‘이기자’
상상력 빈곤 야권연대 원천봉쇄…수학 풀듯 선거 도식화
방향감 상실 ‘경제’ 외치다 ‘심판론’…미래보다 과거 연연

광주의 흉흉한 민심은 이미 심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었지만 지도부는 수수방관했다. 전당대회 직후 문재인 대표 쪽엔 천정배 의원을 사무총장 등 핵심 당직으로 앉혀 호남 민심을 추슬러야 한다는 의견이 전달됐지만 일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는 천 의원이 탈당한 뒤에야 ‘배신자 낙인’을 찍기에 급급했다.

과감한 실험과 발칙한 상상력은 새누리당에 뒤지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대선 경쟁자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당 혁신위원장으로 위촉했다. 새정치연합은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이 최고위원에 도전했지만 기회를 주지 않았다. 현직 기초단체장의 최고위원 진출이란 전례 없는 실험도 좌절됐다. 야당의 가장 큰 무기인 변화와 혁신의 주도권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상상력 부족은 감동 없는 정치와 지지층의 무관심으로 이어진다.

새정치연합은 선거 기간 내내 여러 차원에서 방향감 상실 징후도 드러냈다. 현안엔 오락가락했고 미래를 외면한 채 과거에 집착했다. 선거 최대 쟁점이던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두고, 지도부는 ‘특검 불가’를 외치다 어느 날 갑자기 특검으로 돌아섰다. 특별사면을 둘러싼 여권의 공세엔 속시원한 해명을 못한 채 질질 끌려다니며 무능하게 대처했다. 결과적으로 새정치연합은 ‘부패 스캔들’이 ‘특사 공방’으로 변질하는 데 일조하고 말았다. ‘유능한 경제정당’을 앞세우더니, 슬그머니 심판론으로 갈아탄 것도 전략 부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문 대표는 전당대회에서 불과 3.52%포인트 격차로 당선됐다. 당내 지지의 토대가 허약하다는 점을 직시하고 내부를 추스르고 기초 체력을 다지는 데 힘을 쏟아야 했다. 문 대표는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 참배, ‘천안함 폭침’ 인정 등 외부 세력 확장에 더 공을 들였다. 기초가 부실한데 층수 올리기에 급급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서울 관악을과 성남 중원, 광주 서을의 패배는 모두 당 내부 갈등, 야권의 분열과 무관하지 않다.

선거운동 초반 문 대표와 권노갑 상임고문의 회동 여부가 야권 최대의 이슈가 됐다. 문 대표는 ‘과거세력’이란 이미지가 강한 동교동계에 읍소하는 것으로 비쳤다. 광주의 천정배 후보는 이를 ‘미래세력과 퇴행세력의 대결’로 규정하며 대세를 장악했다.
< 임석규 기자 >



‘네팔 대지진 참사’ 피해 눈덩이

● WORLD 2015. 4. 26. 20:40 Posted by SisaHan

네팔을 강타한 규모 7.8의 강력한 지진으로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산에서는 눈사태가 일어나 수십병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눈사태가 들이닥친 25일 에베레스트 베이스 캠프의 모습.


에베레스트산에 수백명 갇혀

네팔에서 25일(현지 시각) 발생한 규모 7.8의 강진으로 세계 최고봉 히말라야 에베레스트산에서도 눈사태가 일어나 등산객 수백명이 고립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시드니모닝 헤럴드> 등 외신들이 26일 전했다. 산사태로 베이스캠프 일부가 눈과 흙에 파묻혔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에베레스트산은 최근 등반 시즌이었기 때문에 산사태로 베이스캠프 등에 고립되어 갇혀 있는 이들은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네팔 관광청은 지진 당시 등반객과 등반 안내원 등의 숫자가 최소 1000여명에 이르며 이 중 400명이 외국인이었다고 밝혔다. 미국 등산객인 존 라이터는 ‘CNN’에 많은 사람들이 산사태로 머리를 다쳤고 침낭에서 숨진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네팔 산악협회는 베이스캠프들에 접근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네팔 산악협회는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서 주검 17구를 발견했으며 61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현재 에베레스트산의 기상 상태가 좋지 않아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사망자가 몇명인지, 또 고립돼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

주검을 실어나르기 위한 헬리콥터도 26일 아침에 처음 출발했다. 사망자 가운데는 구글의 임원인 댄 프레디버그 이사가 포함되어 있다. 그는 직원 3명과 함께 에베레스트를 도보로 여행하다가 숨졌다고 밝혔다.

한편, 대지진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시간이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네팔 정부는 지금까지 파악된 사망자가 1805명, 부상자는 4718명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인도·방글라데시·파키스탄 등 인접 국가들에서 지진 피해로 숨진 이들까지 포함하면 전체 사망자는 1865명이다.

구조 작업은 계속되고 있지만 건물 잔해 속에 숨진 이들이 있고 부상자들 가운데 중상자도 많아 사망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미렌드라 리잘 네팔 정보장관은 대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4500명에 이를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조기원 기자>




동부개혁신학교 후원음악회 성황… 성가곡과 팝 연주 등에 박수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캐나다분교(분교장 정관일 박사)의 발전기금 마련을 위한 후원음악회가 4월18일 저녁 가든교회에서 신학교 졸업생과 재학생, 가족 친지 및 각계 후원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토론토 아카데미 윈드 오케스트라의 제6회 정기연주회를 겸해 개최한 이날 음악회는 조상두 목사가 상임 지휘하는 아카데미 윈드 오케스트라(악장 우민규)의 단원들, 특히 앨토 색소폰 김세진, 테너 색소폰 김현재, 소프라노 색소폰 강성진 군 등과 함께 소프라노 이영송, 메조 소프라노 최은복, 테너 배영수 씨 등이 특별 출연하고, 그라티아(Gratia) 색소폰앙상블(조상두·박병옥·김다니엘·한기현·곽호경)도 무대를 장식, 청중에게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했다.


‘Amazing Grace’로 막을 올린 음악회는 클라리넷(우민규)과 색소폰(김세진) 솔로로 꾸민 영화음악으로 시작, 최은복, 배영수, 이영송 씨가 차례로 성가곡과 우리 가곡을 2곡씩 부르며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렸다. 동부신학교 학생 등 관계자들이 무대에 올라 ‘이 믿음 더욱 굳세라’로 존재감을 보였으며, 그라티아 색소폰앙상블이 헨델의 ‘할렐루야’를 비롯해 차이코프스키의 클래식 소품들, 그리고 유명 팝곡 등을 들려주어 이날 음악회를 우렁찬 박수 속에 마무리했다.


지난 2005년 개교한 동부신학교 캐나다 분교는 7회까지 47명의 졸업생을 배출, 각 교회의 교역자와 선교사 등으로 헌신하고 있다. 이번 음악회는 더 많은 유능한 사역자 양성과 신학교 운영 및 발전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준비됐다.
토론토 아카데미 윈드 오케스트라는 지난 2009년 창단한 청소년 교향악단으로 한인 2세들에게 문화예술의 자부심을 심어주고 소망을 전한다는 비전으로 활동하고 있다.

< 문의: 416-822-3039, 416-457-7541, 416-554-7495, www.reformedpse.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