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경제 활기띠나?

● CANADA 2013. 6. 9. 19:00 Posted by SisaHan
올 1분기 6% “빠른 성장”

캐나다 경제가 성장세로 들어선 것일까? 
통계청은 1분기 실질 경제 성장률이 6%를 기록, 캐나다 경제가 연 환산 2.5% 속도로 모처럼 성장하는 활기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같은 추세는 지난 2011년 하반기 이래 가장 빠른 속도의 성장세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1분기 경제 실적은 6.2% 성장세를 보인 수출 부문의 활기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석유 가스업이 대미 수출 호조로 4.1% 성장을 기록하면서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공공부문, 금융보험, 엔터테인먼트, 건설, 제조, 소매업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CIBC은행 분석가는 2분기에도 연환산 2.0%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1.5%로 전망했으나 1분기 실적이 이와 달리 급속한 활기를 보인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다른 분석가는 1분기 성장이 에너지 수출에 주로 의존했다고 지적하고 2분기에도 성장 기조가 계속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지난 해 캐나다 경제 성장률은 1.8%에 그쳐 2010년 3.2%, 2011년 2.6%에서 계속 하락해 왔다.


[1500자 칼럼] 파이의 생애

● 교회소식 2013. 6. 1. 18:55 Posted by SisaHan
한국에서 부흥회를 인도하고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재미난 영화를 보았다. 제목이 '파이의 생애' 였다. 자전적인 영화로 한 소설가에게 자신이 지나온 세월을 설명하면서 그의 삶을 나타낸 영화였다. 실제는 소설 같은 삶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은 생애였다.
인도에서 성장한 그는 수학의 파이란 단어를 통해 자신에게 파이란 이름이 붙여진 과정을 소개하면서 자신의 가정이 여러 가지 어려운 환경에 처해서 결국은 자신들이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겠다 생각한 캐나다의 위니펙으로 이민을 가는 과정에서 생긴 이야기였다.
아버지가 사설 동물원을 경영했는데 이민을 가게 되니 결국 모든 동물들을 화물선에 태워 태평양을 지나다 태풍을 만나 배는 침몰하고 자신의 가족을 잃게 된다. 그런데 주인공 혼자만 선원들의 도움으로 구명정을 타게 됐는데 그 구명정에는 구명정으로 떨어진 얼룩말과 함께 했는데 얼룩말은 허리가 부러진 상태였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 구명정에는 오랑우탄도 있었고 하이에나와 호랑이가 타고 있었다. 결국 오랑우탄과 얼룩말은 하이에나에게 먹혔고 하이에나 역시 호랑이의 먹이가 되면서 짐승의 먹이사슬을 보여주었다.
 
이야기는 이 벵갈산 호랑이와 소년이 망망대해에서 7개월 가까이 사투를 벌이면서 함께 공존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다. 소년은 구명정 안에 있는 물과 음식으로 버티고 소년은 호랑이에게 물리고 먹히느냐 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었다. 자신을 먹이로 하려는 호랑이와 살아남기 위해 호랑이를 이겨야 하는 자신이면서도 호랑이를 먹여 살리기 위해 생선을 잡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의 독백이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게 했다. 자신이 바다 속에서 살아날 수 있었던 것은 외로움 속에서 함께 하는 호랑이 그 호랑이는 아무런 생각 없이 자신을 물어 죽이려 하지만 그런 호랑이가 없었다면 자신에게 긴장감이 없어 자신도 지쳐 죽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런 긴장감을 유지하기 위해 그는 호랑이를 먹여 살려야 했던 것이다. 참 재미난(?) 갈등이었겠다.
때로는 호랑이에게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은 구명정의 나무들로 뗏목을 만들어 살아야 했던 소년의 모습은 인생을 말하는 것 같았다. 어쩔 수 없이 죄악과 공존해야 하는 인생. 소년이 살아 남으려 호랑이를 먹여야 했던 것처럼 먹고 살기 위해 죄와 같은 호랑이와 동거하는 삶이 바로 우리 아니겠는가? 뻔히 그것이 죄인 줄 알면서 이렇게 살다가 틀림 없는 하나님의 심판이 있는 줄 알면서도 죄를 짓고 살아가는 우리 인생 특히 신앙자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마지막 장면 쯤 낮에는 낙원이지만 밤에는 식인섬으로 변하는 섬에 도달했을 때 호랑이는 뒤를 돌아보지도 않고 사라졌다. 그렇게 보살펴준 주인의 사랑에도 아랑곳 없이. 주인공은 그것을 슬퍼했다. 그러나 그때 아버지의 말씀이 생각났다. 호랑이는 짐승은 본성으로만 살기에 정을 주거나 받을 생각을 말아야 한다는 교훈이었다. 
영화를 보는 내내 호랑이를 죄로 생각할 때 죄와 공존해야 하는 신앙인의 모습과 함께 그들이 도달한 섬은 이 세상이었다. 낮에는 낙원인 것처럼 인생을 유혹하다가 밤이면 죽이는 사탄의 추악한 모습과 함께 인간을 파멸만 시키면 아무런 미련 없이 인간을 떠나는 죄와 사탄의 모습. 
경계는 우리의 몫이다. 우리가 죄를 멀리하고 의롭게 살아야 할 뿐이다.

< 김경진 - 토론토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담임목사 >


경제 분석은 날씨 같은 임의적 요소들을 반영한 한두 개 경제 보고서로 인해 과도하게 흔들릴 때가 있다. 지난 3일 발표된 미국 노동부의 4월 일자리 보고서 이후의 분석들도 그렇다. 노동부 보고서는 4월 일자리 성장률이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좋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업률은 7.5%로 떨어졌고, 2~3월 신규 취업자 수도 종전 발표보다 상향 조정됐다. 
이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경기 부양책을 축소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노동부 발표를 더 정교하게 분석해 보면 그렇지가 않다. 
노동부의 일자리 보고서 발표와 같은 주에, 상무부는 3월 내구재 수주율이 전달 대비 4.0% 줄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변덕스러운 운송 요소를 제외해도 감소율은 2.0%다. 
더 면밀하게 살펴보면,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의 주문은 3월에 0.9%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1월보다 4.0% 낮은 수준이다. 3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0.2% 미만으로 올랐지만, 국내총생산(GDP)에서 시설투자 요소는 거의 오르지 않았다.
 
상무부는 같은 주, 건설 부문의 위축을 보여주는 자료도 발표했다. 주택 건설의 높은 성장세에도 전체 건설 지출이 3월에 1.7% 떨어졌다. 공공 부문 지출이 4.1%나 감소한 탓이다. 공공 부문은 정부 지출 삭감 탓에 계속 위축될 것이고, 민간 부문 비주택 건설 투자가 계속 줄어드는 것과 더불어 건설도 더욱 악화될 것이다. 
미국의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2011년 4분기 이래 지속적으로 둔화돼 왔다.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2.5%였으나, 이 성장률의 1%는 재고 누적 덕분이었다. 최종 수요의 성장률은 고작 연평균 1.5% 수준이다. 지난해 연평균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1.8%였다. 
올해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실업률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데 필요한 2.2~2.4%보다 낮다. 국내총생산이 최근 추세에서 크게 오르지 않는 한 실업률의 지속적 감소는 어려워 보인다. 실업률은 오를 가능성이 더 높다. 
이런 보고서들과 다른 경제 지표들을 통해 경제가 의미 있는 확장세에 있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예상외의 선전에도 4월 일자리 보고서는 특별히 긍정적일 게 없다. 
한 달에 내재적인 일자리 증가는 10만개다. 4월 일자리가 16만5000개 늘어난 것은 한 달에 실업자 수가 6만5000명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일자리 수는 여전히 추세 수준에 비해 거의 900만개 적다. 이대로라면 경제가 추세 수준의 일자리를 회복할 때까지 10년 넘게 걸릴 것이다.
 
특히 4월 일자리 수에는 몇몇 중요한 부정적 요소들이 있다. 우선 주당 평균 노동시간이 0.2시간 줄었다. 그 결과 노동부의 주당 총 노동시간은 0.4%까지 감소했다. 경제 회복이 시작된 이래로 가장 큰 감소다. 
또한 실업률이 1.0%포인트 감소한 것은,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비율이 7.4%인 탓이다. 노동자들이 새로운 일자리 없이 일을 그만둔 것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노동시장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4월의 실업률은 2012년 평균보다 낮고 사실상 2011년 4분기 평균보다 낮은데, 이는 퇴직률 덕분이다. 
이런 보고서들이 부정적인 경제 전망을 제시한 반면, 전문가들은 주식과 주택 시장의 강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시장은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주식시장은 자산효과로 이어져 소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우리는 올 한 해 이를 확인하게 될 것이지만, 시간이 걸릴 것이다. 경제 규모에 비해 주식시장이 여전히 2000년 정점 때보다 40% 낮은 상태라는 점을 깨닫는 것도 중요하다. 주택시장은 건설 효과를 통해 경제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거품 시기 건설 붐은 막대한 공급 과잉을 남겼다. 그 결과 건설은 여전히 보통 수준 이하다. 주택 가격 상승은 자산효과를 통해서 소비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시간이 걸린다. 
요컨대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급격한 성장과 후퇴는 전문가들의 머릿속에나 있는 것이다. 

< 딘 베이커 - 미국 경제정책연구센터 공동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