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과 소망] 설교 비평 시간

● 교회소식 2015. 3. 14. 17:14 Posted by SisaHan

우리교회는 예배 후에 ‘설교 비평’시간이 있다.
내가 이해하는 설교의 정의는 ‘우리가 체험한 하나님 은혜에 대한 증거’이다. 그리고 설교는 상호 소통이다. 이렇게 생각할 때 내가 뜻한 바가 바로 전해지는가 하는 확인이 필요 하다.
예배 후 교인들과 나누는 대화의 시간을 통해 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방법과 방향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서로의 믿음의 모양과 깊이를 알게 되는 것 같아 좋다. 소통의 깊은 맛을 깨닫게 한다.

우리는 지금 사순절을 지나고 있다. 40일 간의 사순절을 통해 부활절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전통적으로 사순절에는 금식을 해왔다.
설교 비평시간에 사순절에는 무엇을 합니까 하고 물으니 대답이 여러가지다. 초콜렛을 안먹겠다, 담배를 끊어보겠다, 만나는 사람의 좋은 점을 찾아보겠다, 매일 성경을 한 장씩 읽어보겠다 등등 평소에 어려웠던 일을 다시 결심하는 이들이 많다.
이러한 결심의 근거는 예수님이 40일간 성령에 이끌려 광야에서 시험을 이겨내시는 이야기로 부터 비롯된다.

한 신도가 이야기 한다. “예수님은 물질, 권력, 명예의 욕망에 관한 사탄의 유혹을 단숨에 물리치셨다. 이와 같이 우리도 사탄의 유혹을 그렇게 물리쳐야 한다.”
그러자 또 다른 신도가 이야기 한다. “우리 생활에서 유혹을 이기기 위해서는 수많은 고뇌와 갈등을 겪게 되는데 성경은 우리에게 우리의 인생 여정이 힘들다는 것을 가르친다고 본다”고 이야기한다. 그러자 또 다른 신도가 이야기 한다. “성령에 이끌려 광야에서 시험받으신 것이 아니라 시험을 이기는 데는 반드시 성령의 인도하심이 있어야 한다” 고 이야기 한다.

한 신도가 말한다. “성경은 물질에 관한 욕망을 버리라는 것보다는 이러한 것들을 버리는 데 긴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가르친다”고 주장을 한다. 그 말도 맞다. 우리 신도들의 자유로운 생각이 아름답다.
우리는 서로가 다 다르고 생각하는 모양, 믿음의 깊이와 방향이 각기 다르다. 우리는 선악의 흑백 논리에 젖어있고 쉬운 회개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 믿음의 여정은 불의로 부터 선함으로 서서히 변화해 가는 회개의 삶이다.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를 통해,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을 삶으로 사는 긴 여정인것 같다.

< 이영정 목사 - 덴토니아파크 연합교회 담임목사 >



메르켈 앞에 진땀 아베

● WORLD 2015. 3. 14. 17:09 Posted by SisaHan


일본을 방문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연일‘과거 직시’와‘위안부 완전해결’등을 언급해 곤경에 처한 입장을 보여주 듯 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9일 정상회담 뒤 도쿄에서 가진 공동회견에서 난감한 표정을 짓고있다. < AFP >



“일본 역사 수정의 끝은 전범국 미국”
존스홉킨스대 핼핀 연구원 기고문에서 주장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역사 수정주의가 군 위안부나 난징대학살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그 끝은 태평양전쟁 당시 미국 정부를 전쟁범죄자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미국의 동아시아문제 전문가가 경고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의 데니스 핼핀 초빙연구원은 9일 <내셔널 인터레스트> 기고문에서 “일본 정부의 역사 수정주의 논리는 일본이 연합군에 의한 전쟁 피해자라는 전제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며 이렇게 비판했다. 그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의 피해자라는 이런 전제를 받아들이면 결국은 미국이 침략자가 되고, 전범은 일본의 도조 히데키가 아니라 해리 트루먼이 된다”고 지적했다. 미 하원 외교위 전문위원을 지낸 핼핀은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는 당시 일본이 아시아를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에서 보호하기 위해 전쟁을 치렀다고 주장하면서, 그런 일본에게 미국은 원자폭탄까지 투하해 많은 민간인을 살상했다는 비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워싱턴=박현 특파원 >



퇴원에 앞서 기자회견장에 들어서며 손을 흔드는 리퍼트 미 대사.


지난 5일 흉기 피습 뒤 서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온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엿새 만인 10일 퇴원했다. 리퍼트 대사는 이날 오후 병원에서 회견, “한국 국민들의 성원과 응원에 감사하다. 한국에 대한 사랑과 애정은 더욱 커졌다”고 퇴원 소감을 밝혔다. 오른쪽 얼굴에 밴드를 붙이고 왼손에 보호대를 찬 리퍼트 대사는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 등 병실을 찾은 이들에게 감사의 뜻을 밝혔다. 한국말로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고 한 그는 피습 직후 트위터에 올려 화제가 된 “같이 갑시다”를 다시 한국어로 말했다.


경호 부실 논란을 빚었던 경찰은 이날 기자회견 4시간 전부터 현장 출입을 통제하고 보안검색을 했고, 리퍼트 대사가 대사관 차량으로 정동 대사관저로 이동할 때 병원 주변에 기동대 200여명을 배치했으며, 대사 차에 경호 차량과 오토바이를 각각 3대씩 붙이고 이례적으로 4.5㎞ 구간의 교통신호도 통제해 체증이 빚어지는 등 법석을 떨었다. 병원 주변에선 ‘엄마부대’ 등 보수단체 회원들이 성조기를 흔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