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C 등  탄원서는 COVID-19 사망자 115명 낸 회사로 이전 반대 목표

무궁화 Rykka Care Centres로 라이선스 이전 막기 위한 한인사회 결집“.

 

산드라 강(37)씨는 할아버지 103살 김종길 옹이 2년째 살고 있는 한인 장기요양원을 민간기업이 인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온라인 청원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거의 7,000명의 한인들이 GTA의 유일한 한인 장기요양시설을, 온타리오에서 가장 치명적인 COVID-19 감염자가 회사 보유 세 시설에서 발생한 회사로의 이전을 막기 위한 청원서에 서명했다.

"저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힘을 다해 모든 것을 할 것입니다. 제게있어서 협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입니다,"라고 11월 말부터 청원을 시작한 산드라 강 씨가 말했다.

강 씨의 할아버지 김종길(103)씨는 2년째 샤론(무궁화)장기요양원에서 치매로 생활하고 있는데, 강 씨는 릭카 요양센터(Rykka Care Centres)가 이 요양원을 장악할 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극심한 공포'로 여긴다.

강 씨는 CBC 토론토와의 인터등록뷰에서 "그들이 무슨 일을 했는지 알고 나서 할아버지 같은 사람들을 위한 유일한 시설을 그들이 인수해도 괜찮다고 말하는 것은 끔찍한 일"이라고 말했다.

샌드라 강 씨의 가족들은 COVID-19 대유행이 토론토의 다른 시설들을 황폐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무궁화 요양원은 직원들로부터 꾸준히 모범적인 보살핌을 받았다고 말했다.

Rykka는 치명적인 COVID 발병의 중심지

Rykka의 장기요양시설 세 곳 -EtombokeEatonville Care Centre, HaugersvilleAnson Place Care Centre, 그리고 노스욕의 Hawthorne Place Care Centre- 는 지난 봄에 COVID-19 환자발생으로 인해 115명의 사망자를 냈다. EatonvilleHawthorne Place 또한 대유행의 첫 번째 확산기간 동안 캐나다 군이 지적한 통렬한보고에 포함된 곳들이다.

Rykka201912월에 Rose of Sharon(무궁화양로원)을 구입했지만, 최종 판매 조건으로 주정부의 장기요양부에서 지방면허를 양도하기 위한 신청서를 받아들일지 여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무궁화양로원은 60개의 침상를 가지고 있고 입주자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은 7년 이상도 있다.

Responsive Group(대응 그룹)의 운영 파트너 중 하나인 Rykka는 현재 주민 보호 소홀을 주장하는 소송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그 혐의들 중 어느 것도 법정에서 입증된 것은 없지만.

Responsive Group측은 CBC에 보낸 성명에서 "대부분의 장기요양시설 가운데 COVID-19 대유행 초기에 발병을 경험한 곳들은 소유 구조(ownership structure)와 상관없이 현저한 영향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성명은 또 "Rykka가 무궁화양로원과 관련한 어떤 우려 사항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현 상황은 문화적으로 민감한 이니셔티브가 취해지고 있다"(한인사회의 청원사태에 대해) 난감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개 협의 공청회에서 '스토리북 악당'의 얼굴을 보다

하지만 Rose of Sharon은 확인된 단 한 건의 COVID-19 감염사레도 나오지 않았고, 강 씨는 그녀의 할아버지가 그런 식으로 요양원에 머물기를 원하며, Rykka의 통제에서는 벗어나기를 원한다.

"주민들의 안전과 존경의 부족, 비인간적인 대우에 대한 경시 등 할아버지가 사는 집에서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생각만 해도 상상이 가지 않는다. 워낙 연약하기 짝이 없는 분이기 때문이라고 그녀는 말했다.

강 씨를 포함한 한인들의 온라인 청원서는 1214일 면허 이전 신청에 대한 공개 협의 마감일 이전에 주 정부에 제출된다.

공개협의 과정의 일환으로 지난 1130Rykka 관계자들이 연설한 공청회에도 강 씨는 참석했다.

강씨는 뉴스에서 읽었던 이야기책 악당을 마주한 것 같았다고 말했다.

"공감하기를 합니까? 측은지심은 어디 있죠? 그냥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얼버무리고 싶은 욕구만 있는 것 같았어요," 라고 강 씨는 비판했다.

한인 사회는 Rykka를 신뢰하지 않는다” Dr. Donald Kim

이번 공청회에는 한인 커뮤니티의 건강을 증진에 종사하고 있는 신장 전문의이자 자원봉사자인 도널드 김 박사를 비롯해 토론토에 있는 몇몇 한인 커뮤니티 단체들이 참석했다.

김 박사는 당국의 관계자들 앞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Rykka의 끔찍한 경영상의 결함에 대한 우려를 들려주어 엄청난 성공을 거둔 것이라고 말했다.

"(Rykka 경영진은) 정말로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라고 김 박사는 말했다.

토론토의 한인 커뮤니티 회원들은 Rykka Care CentresGTA에서 유일한 한인 장기요양원을 인수하려는데 대해 반대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무궁화양로원은 주요 설비와 운영을 한국 문화, 음식, 언어를 돌봄의 지침으로 삼고있는 시설이다.

지난 2018, 한인 커뮤니티는 아리랑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350만 달러를 모금해 무궁화양로원 입찰에 참여했지만, Rykka에 낙찰됐다.

김 박사는 우리는 여전히 그 돈과 지역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한 지원을 받고 있다"라고 말하며 주 정부가 Rykka에 대한 면허증 양도 신청을 거부한다면 한인 커뮤니티가 구입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2021년 초에 면허증 양도에 대한 결정이 있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지만, CBC의 질의에 대해 장기요양부는 타임라인을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대변인은 "우리는 일단 면허가 양도되면 그 요양원의 문화 지향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공동체의 관심을 알고 있다," 라고 말하고 "공공 협의를 포함한 부처의 인허가 심사절차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아직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토론토 한인 커뮤니티를 위한 긴 싸움

20193, 한인 커뮤니티는 인수에 반대하는 2만 명의 서명을 부처에 제출한 바 있다.

NDP(신민주당)는 더그 포드 주 수상에게 장기요양시설에 대한 신규 면허 발급을 유예해 줄 것을 촉구했다.

토론토-세인트 폴의 NDP MPP인 질 앤드류 의원은 128일 퀸즈 파크에서 주 정부에 Rykka로의 면허 이전을 저지할 것을 요청했다. 그는 "주 정부는 세인트 폴에 거주하는 우리 주민을 보호하고 이 판매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회의에서 앤드류 의원에게 답변한 Meriley Fullerton 장관은 "이 상황은 검토 중이고 우리는 그것을 고려하고 있다"라고 말하고 "정부로서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장기요양에 있어 주민과 직원, 가족의 안전과 안녕" 이라고 덧붙였다.

주정부 관계부처의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강 씨는 할아버지의 앞날이 걱정이다.

"이건 생사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존중과 삶의 질에 관한 것입니다. 그 분은 인간 취급을 받을 만해요."

강 씨는 치매로 투병하는 '극히 독립적인' 할아버지가 2년 전 유일의 한국 시설에 입소했을 때 대단히 고마웠다다고 말했다. "그 것은 그의 삶의 질에 큰 차이를 만들어주었다," 는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계속 싸워야겠어요." < CBC기사 전재 >


토론토 한인회 “2021! 동포들에게 희망을 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전개

새해 맞이 동포들에게 희망 전하는 영상 30초 분량 12.18까지 누구나 참여


토론토 한인회는 새해 2021년을 앞두고 동포사회에서 COVID-19 극복의지를 서로 주고 받으며 희망의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동포 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을 전개, 동포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하기로 했다.

‘2021! 동포들에게 희망을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은 동포 누구나 참여하여 서로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희망의 메시지를 30초 이내 분량으로 영상녹화하여 한인회로 보내면 그 메시지들을 모아 영상으로 제작해 한인회 홈페이지와 SNS, 유튜브 등을 통해 한인사회에 배포하게 된다. 영상물 제출은 129일부터 18()까지 토론토 한인회 이메일(admin@kccatoronto.ca)로 보내면 된다.

한인회는 “2020년은 COVID-19로 인해 많이 힘들고 어려우셨는데, 2021년 새해에도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고 전망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해에는 올해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게 되시기를 소망하며,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를 동포들이 함께 나누면서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해 나갔으면 한다.”는 뜻을 밝혔다.

한인회는 아울러 매년 11일 혹은 12일에 신년하례식을 열어 동포들이 함께 모여 덕담을 나누고 새해 인사도 하고 떡국도 나누며 새해를 맞이 하였으나, 2021년 신축년 새해에는 COVID-19으로 인해 하례식을 개최하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 함께 모여서 새해를 맞이하지는 못하지만 동포 여러분 모두 건강하시고 만복이 깃드는 2021년 한 해가 되시기 바면서 새해맞이 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을 진행하고자 한다.”고 캠페인의 취지를 강조했다.

다음은 동포 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의 주요내용과 참여 방법이다.

제 목 : ‘2021! 동포들에게 희망을희망 메시지 전달 캠페인

대 상 : 한인동포 누구나

내 용 : 2021년 새해를 맞이하여 동포들에게 격려와 희망이 되는 메시지

제출기간 : 2020129()~ 1218()까지

제출처 : 토론토한인회 이메일(admin@kccatoronto.ca)

제출방법 : 희망의 메시지를 영상녹화하여 한인회에 제출

                 영상내용은 30초 이내로 녹화 제작

                 편집시 내용이 줄어들수도 있음.

문 의 : 토론토 한인회 사무국 (416-383-0777, 혹은 admin@kccatoronto.ca)

존 토리 시장 노스욕 발전, 노인회 지원 강구하겠다. KOTRA와 협업도 모색

 

토론토 한인회는 지난 127일 오후 6시부터 7시까지 존 토리 토론토 시장과 온라인 타운홀 미팅을 갖고 한인동포 사회 주요 이슈들에 대해 의견교환을 가졌다. 토론토 시장이 한인사회 인사들과 온라인 미팅을 가진 것은 이번 이 처음이다. 이날 미팅은 현재 온타리오주 관광업 위원회 소송부 이사인 박준석 검사가 진행하고 통역은 추연경 법무부 공인통역사가 맡았다.

이날 미팅의 첫 순서는 각 단체장 및 사업체장들의 간단한 인사로 시작, 한인회 이진수 회장 및 존 토리 토론토 시장의 인사말을 들은 후 본격 질문과 답변으로 이어졌다.

먼저 아리랑 시니어 재단 강대하 위원장은 현재 경제봉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규모 사업체들에 대한 지원 방안과 세부적인 데이터 정보를 통한 코로나 밀집 지역 집계에 대하여 토리 시장에게 질문했다. 토리 시장은 이에 대해경제봉쇄는 온주정부에서 정해준 지침이어서 동의하는 부분도 있지만, 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세부적인 데이터 구성에 의한 밀집지역 통제보다는 짧은 기간의 경제봉쇄가 사람들이 밀집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제를 다시 시작하는데도 적합하다고 밝혔다.

한카노인회 김세영 회장은 코로나 기간동안 위축된 노인회 활성화를 위해서 시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방안은 없는지에 대해 물었다. 이에 토리 시장은 충분히 내부적으로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하고 윌로우데일 시의원 존 필리언과도 어떠한 노인관련 정책이 있었고 필요한지에 대해 세부 사항을 논의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존 토리 토론토 시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정영화 관장은, 미팅에서 코트라에 대해 설명한 뒤 토론토시의 한국기업 정착과 비자 프로그램에 대해서 질의했다. 이에 토리 시장은 토론토 시, 토론토 글로벌(토론토 사업투자 진흥원) 등이 코트라와 같이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서 실행해 나갈 수 있는 일들을 단계적으로 마련해보자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북부 번영회 채현주 회장은노스욕의 경제적 발전을 위한 시장의 생각은 무엇인지?”를 물었다. 토리 시장은 이에대해‘Re-imagine Yonge Street’ 라는 정책을 설명하고 예를 들면 6차선 도로를 4차선으로 변경하여 사람이 걸어다니는 인도를 넗게 하고 자전거 도로를 확보해서 경제 및 환경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에 채현주 회장은 그런 정책의 경우 상가들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의 문제점도 제기된다고 지적, 토리 시장은 그런 부분과 여러 시행 착오들은 추후에 시의원과 말씀을 나누거나 일반 경제인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의회에 참석해 의견을 제시해 주면 심도 있게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질문 답변을 마치고 존 토리 시장은 마무리 인사를 통해 시정 발전에 기여하는 한인들의 수고와 헌신에 감사를 표하면서,“I very much respect you (Korean Community) and we will do this again”이라고 한인 사회에 존경을 전하고 시간이 제한돼 주고받지 못한 질문들은 추후에 다시 타운홀 미팅을 열어 나누기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 < 문의 : 416-383-0777, admin@kccatoronto.ca >


2020-2021학년도 TDSB 한국어 온라인, 무료 프로그램 진행 중

JK-Grade 8, 소속 교육청 상관 없이 www.ILEprograms.ca로 등록

        

토론토 교육청(TDSB)2020-2021 학기 외국어 프로그램이 COVID-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무료 한국어 수업 프로그램에 많은 학생들이 등록해 수강해 줄 것을 교육청 관계자들이 요망했다.

이번 학기 외국어 프로그램 수업은 지난 10월부터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등록은 연중 받고 있으며, 한국어 수업 등록 역시 온라인을 통해 언제든 할 수 있어 온타리오에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만 아직 등록을 하지못한 학생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므로 등록하고 수강하면 된다고 교육청 관계자는 밝혔다.

외국어 수업 프로그램 참여대상은 소속 교육청 상관없이 온타리오 거주 유치원생부터 8학년 학생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수업은 토론토 교육청내 13개 학교에서 내년 6월까지 매주 방과 후 또는 토요일 오전에 하루 2시간30분 동안 온라인 (www.ILEprograms.ca)으로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7월 여름방학 동안에도 진행 돼 한국어 프로그램에 360여명이나 등록,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익혔다고 TDSB 외국어 프로그램 디렉터인 김영아 씨가 전했다. < 문의: 416-338-4100 >

Dear Parents, Guardians and/or Caregivers:

I hope you and your family are doing well and your child’s day school routines are going well.

Responding to current circumstances beyond our control the International Languages-Elementary/African Heritage program has gone virtual since March 2020.

Thank you for your previous support for the summer program (July 2020) and we were pleased to see that it worked very well in most cases. Both students and parents were very fond of it.

This Fall, the International Languages Elementary / African Heritage Program will be offering on-line language classes to studentskindergarten to grade 8 (TDSB and non-TDSB). Students will again take part in a remote/at-home learning environment. One day each week they will have live face-to-face interactive lessons with their instructor and other students for approximately 30 minutes through Google Meet. The remaining two hours will be spent on independent work through Google Classroom. Program activities will be focused on building every student’s abilities in oral communication, reading and writing.

If you are interested in registering your child, please choose one of the school below in the list.

          

Days

Times

School Name

Mon.

3:20 pm - 5:50 pm

Jesse Ketchum Junior and Senior Public School

Mon.

3:45 pm - 6:15 pm

Millwood Junior School

Tues.

3:30 pm - 6:00 pm

Secord Elementary School

Tues.

3:45 pm - 6:15 pm

Elkhorn Public School

Wed.

2:45 pm - 5:15 pm

Finch Public School

Wed.

3:30 pm - 6:00 pm

Churchill Public School

Thurs.

3:20 pm - 5:50 pm

McKee Public School

Thurs.

3:45 pm - 6:15 pm

Lillian Public School

Thurs.

6:00 pm - 8:30 pm

R J La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at.

9:00 am - 11:30 am

Woodbine Middle School

Sat.

9:30 am - 12:00 pm

Cummer Valley Middle School

Sat.

9:30 am - 12:00 pm

Gateway Public School

Sat.

9:30 am - 12:00 pm

Islington Junior Middle School

             

To register, click here

In order to complete the online registration, you must have your child’s Ontario Education Number (OEN). The Ontario Education Number can be found in your child’s report card.

Parent(s)/Guardian(s) may choose the samelanguageonlyonce. Parents may choose up to five (5) different languages. Please ensure that class time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For more questions, please check our Frequently Asked Qu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