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송유관 업체 이어.. 아일랜드 의료 전산 시스템 공격

당국 “범죄집단, 돈 노려”…코로나 백신 접종은 차질 없어

 

 

아일랜드가 의료 전산시스템에 심각한 랜섬웨어(컴퓨터를 마비시킨 뒤 돈을 요구하는 해킹 수법) 공격을 받고 시스템 운영을 중단했다. 미국 송유관운영 업체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 등 해커들의 공격이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14일(현지시각) 아일랜드 보건서비스(HSE)가 랜섬웨어 공격에 따른 추가 피해를 막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산 운영을 중단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폴 라이드 보건서비스 대표는 “매우 복잡한 공격으로 핵심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전국적, 지역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범인들에게서 별다른 요구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더블린의 로툰다 여성병원 등은 이날 임신 36주 이상이거나 응급인 경우를 제외하곤 모든 외래 예약을 취소했다. 로툰다 병원 대표는 이번 공격으로 의료 기록을 다루는 컴퓨터 시스템이 중단됐고, 생명유지 장치 등은 잘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차질 없이 진행된다.

 

아일랜드 정부는 이번 사건을 돈을 노린 해커들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아일랜드 공공조달 담당 오시안 스미스 장관은 “이것은 국제적 공격이지만 그저 돈을 바라는 사이버 범죄 집단의 소행”이라며 “아일랜드에서 가장 중대한 사이버 범죄 공격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7일 텍사스주 멕시코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총 8850㎞에 이르는 송유관을 운영하는 기업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송유관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이 업체는 공격의 주범인 해커집단 ‘다크사이드’에 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지불한 뒤 컴퓨터 시스템을 복구하는 암호해독 키를 받았다. 최현준 기자

 

영국 변이에 비해선 효능 떨어지고 남아공-브라질 변이보단 높아

세포실험으로 확인… '인도 변이' 연구 위해 28일부터 분양 계획

 

 

국내 업체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치료제가 미국 뉴욕, 영국-나이지리아 유래 '기타 변이'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세포실험을 통해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에 대한 효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밝혔다.

실험 결과 렉키로나주는 미국 뉴욕 변이와 영국-나이지리아 변이를 무력화하는 '중화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주요 변이' 3종에 대한 치료제 효과와 비교하면 영국 변이에 비해서는 효능이 떨어지고,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브라질 변이보다는 효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방대본은 현재 주요 변이와 달리 미국 뉴욕 변이와 영국-나이지리아 변이의 경우 임상적·역학적 위험도가 아직 확인되지 않아 기타 변이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 11일 기준으로 국내 뉴욕 변이 감염자는 13명, 영국-나이지리아 변이 감염자는 9명이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영국 변이에 대해서는 앞서 등장한 S, L에 더해 GH, GR 등 G그룹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치료제의 효과가 있었으나 남아공 변이에 대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고, 또 브라질 변이의 경우 남아공 변이에 비해서는 배 이상의 효능을 보였으나 효과 자체는 현저히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권 2부본부장은 이어 "캘리포니아 변이, 뉴욕 변이, 영국-나이지리아 변이의 경우 영국 변이에 비해서는 치료제의 효능이 떨어지지만 남아공·브라질 변이에 비해서는 5∼10배 높은 치료 효능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

 

주요 3종 가운데 브라질 변이에 대해서는 항체치료제뿐 아니라 백신 효과도 떨어져 더 높은 수준의 방역대책이 필요한 변이로 구분된다. 국내 브라질발 변이 감염자는 현재 10명이다.

방대본은 최근 들어 국내 유입이 꾸준히 확인되는 인도 유래 변이에 대해서도 백신과 치료제 연구 등을 위해 각 기관에 오는 28일부터 변이주를 분양할 계획이다.

 

인도 변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영국·남아공·브라질 변이에 이어 네 번째 '우려 변이'로 지정한 변이 바이러스다. 흔히 '이중 변이'로 불리는 인도 변이 국내 감염자는 총 58명으로 확인됐다.

방대본은 지난 12일 인도 변이 1주를 확보했으며 현재 자원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방대본은 전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치료제로 특례수입한 '베클루리주'(렘데시비르)를 125개 병원, 6천825명의 환자에게 투여했고 국산 렉키로나주는 72개 병원, 3천26명의 환자에게 각각 투여했다고 밝혔다.

혈장치료제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치료 목적으로 승인한 45건에 대해 사용되고 있다.

 

    중국 화성탐사선 톈원 1호 탐사기 모형 [출처 신화통신. 글로벌타임스 캡처]

 

중국의 첫 화성 무인탐사선인 톈원(天問) 1호가 오는 15~19일 사이 화성 착륙을 시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의 비행 상황을 볼 때 15일 새벽녘(현지시간)부터 19일 사이 적절한 시점을 택해 (화성의 대형 충돌분지인) 유토피아 평원에 착륙할 것"이라고 공개했다.

앞서 지난해 7월 23일 발사된 톈원 1호는 약 7개월간의 비행 끝에 지난 2월 화성 궤도에 진입해 궤도를 돌며 자료를 수집해왔다.

 

톈원 1호가 착륙에 성공하면 탐사로봇 '주룽'(祝融)이 약 3개월간 탐사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탐사차량 퍼서비어런스는 지난 2월 화성에 착륙해 생명체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한 바 있다.

 

구소련이 세계 최초로 화성탐사선을 보낸 1960년 10월부터 톈원 1호 발사 전까지 세계적으로 45차례의 화성 탐사가 시도됐지만,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친 것은 17차례뿐이다. 지금까지 화성 착륙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과 구소련 뿐이다.

도쿄올림픽 두 달 앞두고 홋카이도·히로시마·오카야마 추가

긴급사태·중점조치 적용 47개 광역지자체 중 19곳으로 늘어

 

일본 정부가 도쿄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사태 발령 지역을 또 확대했다.

 

일본 정부는 14일 저녁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가 주재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홋카이도(北海道)와 히로시마(廣島)현, 오카야마(岡山)현 등 3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긴급사태를 추가 발령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긴급사태가 발령됐던 도쿄도(東京都)와 오사카부(大阪府) 등 6개 광역지자체를 포함해 발령 지역이 9곳으로 늘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달 9일 수도 도쿄의 총리관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앞서 코로나19 대책 주무 장관인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재생상은 이날 오전 감염증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분과회에서 군마(群馬)현, 이시카와(石川)현, 구마모토(熊本)현, 히로시마, 오카야마 등 5개 광역지자체에 긴급사태 전 단계인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이하 중점조치)'를 추가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일부 감염 확산 지역의 경우 한층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히로시마와 오카야마 등 2곳에 수위가 더 높은 긴급사태를 발령하기로 했다.

또 현재 중점조치가 적용되고 있는 홋카이도 역시 긴급사태 발령 지역에 추가했다.

긴급사태 추가 지역의 발령 기간은 오는 16일부터 31일까지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대응 수위와 관련해 전문가 자문기구인 분과회 논의 단계에서 정부 원안을 수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도쿄올림픽 개최를 위한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준(準) 긴급사태에 해당하는 중점조치는 일본 정부가 지난 2월 신종코로나 관련 특별법 개정을 통해 긴급사태를 선포하기 전 단계의 대응 조치로 도입한 제도다.

 

긴급사태 발령 지역과 마찬가지로 해당 지자체장이 음식점에 대한 영업시간 단축 요청 등 유동 인구를 억제하는 다양한 대책을 법적 근거에 따라 시행할 수 있다.

            일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 추이. [출처=JX통신, 스마트뉴스 포털]

 

지난 7일 일본 정부는 도쿄도, 오사카부, 교토부(京都府), 효고(兵庫)현 등 4개 지역의 3번째 긴급사태 발령 시한을 이달 11일에서 31일로 연장하면서 아이치(愛知)현과 후쿠오카(福岡)현 등 2개 지역을 긴급사태 발령 지역에 추가한 바 있다.

같은 날 사이타마(埼玉)현 등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를 포함한 5개 지역의 중점조치를 이달 말까지로 연장하면서 홋카이도 등 3개 지역을 대상 지역에 추가했다.

이날 긴급사태 및 중점조치 대상에 5개 지역이 추가됨에 따라 일본 전체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가운데 19곳이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긴급사태 또는 준 긴급사태 지역으로 묶이게 됐다.

 

중점조치 대상 지역에 새롭게 포함된 3곳의 발효 기간은 오는 16일부터 내달 16일까지다.

이는 이달 말까지로 시한이 연장된 도쿄 등지의 긴급사태 및 중점조치가 재차 연장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지난달 25일부터 도쿄 등지에 3번째 긴급사태를 발효하는 등 비상 태세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전염성이 한층 강한 변이바이러스가 주류 감염원으로 바뀐 데다가 반복되는 긴급사태로 인한 국민적 피로감이 작용해 이렇다 할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전날(13일) 기준으로 직전 1주일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6천400명 선을 넘어서는 등 3차 유행 정점기이던 올 1월 중순 때 수준의 신규 감염자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 오는 7월 23일 개막 예정인 도쿄올림픽에 대한 회의론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도쿄올림픽 개최를 반대하는 온라인 서명운동을 주도한 우쓰노미야 겐지(宇都宮健兒) 전 일본변호사연합회 회장은 이날 35만명이 넘는 반대 서명을 도쿄도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일본 정부,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등에 제출했다.

우쓰노미야 전 회장은 지난 5일 정오부터 서명 사이트 'Change.org'를 통해 '사람들의 생명과 생활을 지키기 위해 도쿄올림픽 개최 취소를 요구합니다'라는 주제로 서명을 받기 시작했다.

이날 오후 5시 현재 서명 동참자는 35만3천51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