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m 쓰나미 주의보… “후쿠시마 원전 이상 확인되지 않아”

일 정부, 총리관저 위기관리센터에 연락실 설치…비상사태 대비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발표한 20일 일본 도호쿠 지역 지진의 진앙. EPA 연합뉴스

 

20일 일본 도호쿠(東北)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이날 오후 6시 9분께 미야기(宮城)현 앞바다에서 발생했다.

지진 발생 지점은 북위 38.40도, 동경 141.70도이며, 진원의 깊이는 60㎞였다.

이번 지진으로 미야기현 일부 지역에선 진도 5강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후쿠시마(福島)현과 이와테(岩手)현의 일부 지역에선 진도 5약, 사이타마(埼玉)현과 지바(千葉)현 일부 지역에선 진도 4의 흔들림이 각각 관측됐다. 수도인 도쿄도(東京都) 도심부에서 관측된 흔들림은 진도 3이었다. 진도는 특정 장소에서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의 상대적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진의 절대적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리히터 규모와는 차이가 있다.

이번 지진으로 미야기현에 지진 해일(쓰나미) 주의보가 발령됐다. 해일의 높이는 1m로 예상됐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총리관저 위기관리센터에 연락실을 설치해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이번 지진으로 도호쿠 신칸센의 운행은 이날 오후 6시 10분부터 중단됐고, 미야기현 일부 지역에선 정전 피해가 발생했다.

교도통신은 도쿄전력 등을 인용해 후쿠시마 제1원전과 제2원전에는 지진에 따른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날 도호쿠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은 지난달 13일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리히터 규모 7.3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35일 만이다. 당시 후쿠시마현 앞바다 강진으로 감지된 최대 진도는 6강이었다.

진도는 사람이 흔들림을 감지하지 못하고 지진계에만 기록되는 0부터 서 있기가 불가능한 7까지 10단계(5, 6은 각각 5약·5강, 6약·6강으로 세분)로 돼 있다. 연합뉴스

 

절뚝거리는 듯한 모습 영상에 포착…백악관 "바이든 100% 괜찮다"

 

발 헛디딘 바이든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에어포스원에 오르다 발을 헛디디며 중심을 잃는 일이 벌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19일 조지아주 애틀랜타로 가기 위해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에어포스원에 올랐다.

가볍게 뛰듯이 에어포스원 기내로 연결되는 계단을 오르던 바이든 대통령은 열 계단 정도를 오르다 발을 헛디뎠다.

살짝 휘청거린 정도라 바이든 대통령은 이내 중심을 잡고 계단을 다시 오르려 했지만 두어 계단도 오르기 전에 거의 넘어지듯 중심을 잃었다.

왼쪽 무릎 아래로 다 바닥에 닿을 정도였는데 다행히 바이든 대통령은 다시 몸을 추슬러 계단을 다 오르고는 거수경례를 하고 기내로 들어갔다.

하지만 절뚝거리는 듯한 모습이 영상에 포착, 큰 부상이 아닌지 우려가 제기됐다.

일정에 동행한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부대변인은 기내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100% 괜찮다"면서 바람이 심했다고 했다.

실제로 영상을 보면 이륙 준비가 된 에어포스원 동체 탓인지 육안으로도 바람이 심하다는 걸 볼 수 있다.

미 매체 뉴욕포스트는 바이든 대통령이 에어포스원에 오르며 발을 헛디딘 게 세번째라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 후인 지난해 11월말 반려견 메이저와 놀아주다가 미끄러져 오른쪽 발목에 실금이 가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78세로 미국의 역대 최고령 대통령이다. 이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본인도 이를 의식한 듯 가볍게 뛰는 등의 동작으로 활기찬 모습을 보이려 할 때가 많다.

 발 헛디딘 바이든 [유튜브 영상 중계 캡처]

에어버스공장 마지막 생산품…전세계 240대중 21대만 취항
2007년 10월 첫 상업비행 후 일류 항공사의 상징으로 우뚝
항공여행 트렌드변화 - 코로나 직격 “승객 채워야 만 경쟁력”

 

A380의 비즈니스석. 에어버스 제공

 

지난 17일(현지시각) 프랑스 남부 툴루즈 에어버스공장에서 A380기가 독일 북부 함부르크의 핑켄베르더로 날아갔다. 함부르크 공장에서 도색과 객실 디자인 등 최종 공정이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완성된 기체는 구매자인 에미레이트항공에 인도된다. 이날은 ‘하늘을 나는 호텔’이란 별칭을 가진 A380에겐 특별한 날이다. 이 항공기가 바로 마지막 생산품이서다.

에어버스는 2019년 2월 “2년 뒤 A380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에어버스의 기욤 포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오늘은 기념할 만한 날이다. 이 항공기가 고객을 오랫동안 만나고 우리도 오랫동안 (사후 관리 등) 지원할 수 있길 고대한다”고 말했다고 항공전문지 <플라이트글로벌>은 전했다. A380의 생산 중단은 세계 항공산업의 구조 변화와 코로나19 상황 속 여행트렌드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짧게 끝난 영광의 시간

 

대한항공이 운용중인 A380기. 대한항공은 2021년 3월 현재 보유한 A380 10대중 1대만을 광저우 노선과 무착륙 관광비행에 투입하고 있다. 대한항공 제공.

14년 전인 2007년 10월 첫 상업비행을 시작할 때만 해도, 이 항공기는 일류 항공사의 상징으로 통했다. 1970년 상업운항을 시작한 이후 40년 가까이 ‘하늘의 궁전’으로 불렸던 경쟁자 보잉747은 A380에 자연스레 밀려날 운명이었다.

당시 162대 구매계획을 발표한 에미레이트항공은 호텔 객실처럼 5분간 샤워할 수 있는 욕실시설과 침대를 갖추고 부호들을 위한 최고급석을 꾸몄다. 2개층 넓은 공간을 활용해 기내 라운지, 바, 면세점을 설치하고 비좁은 공간에 시달려온 승객들을 유혹한 항공사들도 적지 않았다. 보잉747을 전용기로 보유한 사우디아리비아의 최대 부호 알 알리드 왕자가 A380도 사들인 것 역시 화제였다. 꾸준히 늘어나는 항공 수요와 허브공항으로 간 뒤 최종 목적지로 환승하는 여행 패턴의 강화도 A380의 미래를 밝히는 청신호였다.

이런 호응과 전망에 힘입어 에어버스는 연간 40대 이상 판매와 최대 누적 1200대 보급이란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국내 항공사들도 A380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10대와 6대를 사들인 뒤 주력 장거리 노선인 파리, 로스앤젤레스, 뉴욕, 프랑크푸르트 등에 집중 투입했다.

 스파 시설을 갖춘 에미레이트항공의 A380 1등석. 에어버스 제공

 

낮은 연료 효율에 코로나에 직격탄

 

현실은 냉혹했다. 우선 시간이 갈수록 A380의 약점이 드러났다. 특히 보잉787 드림라이너처럼 탄소소재를 채택해 가볍고 연료효율이 높은 중형 여객기가 장거리 수요를 대체하고호응을 받으면서 초대형 여객기의 비효율이 집중 부각됐다. 국내 항공사 관계자는 “A380이 나중에 개발돼 보잉747보다 연료효율이 높지만, 이는 승객을 가득 태우고 운항했을 때의 상황”이라며 “승객을 다 채우지 못하고 운항하게 되면 경쟁력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덩치가 큰 터라, 이용할 수 있는 대형 터미널을 갖춘 공항도 많지 않았다.

결정적 한 방은 코로나19였다. 신종 바이러스는 A380를 좀 더 궁색한 처지로 내몰았다. A380은 장거리 인기 노선에 승객을 가득 실었을 때 효율성이 나타나는데, 코로나는 인기 여행지를 오가는 대형 항공수요를 없애버렸다. A320네오처럼 복도가 1개뿐인 좁은 동체의 중단거리 수요에 최적화한 항공기의 수요가 높은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 싱가포르항공은 보유한 A380 중 4대를 오스트레일리아 한복판 사막지대(앨리스 스프링스)로 옮겨 장기보관에 들어갔다. 나머지는 분해해 고철로 팔아치웠다. 이달초엔 아랍에미리트의 2대 항공사인 에티하드항공이 A380을 퇴역시킨다고 발표했다. 루프트한자(독일), 싱가포르항공, 영국항공, 콴타스항공 등 세계 주요 항공사들도 A380 활용 축소를 잇달아 예고했다.

 A380의 비행모습. 에어버스 제공

국내 항공사 사정도 다르지 않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3월 중순 이후 A380을 정기 운항하지 않는다. 대한항공도 중국 광저우 노선에만 1대 투입하고 있다. 현재 국내 두 항공사는 A380을 무착륙 관광비행에 활용하고 있다. 두 항공사는 공식적으로는 A380 퇴출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항공통계업체 시리움 자료를 보면, 16일 현재 전 세계 항공사에 판매된 240대의 A380 중 21대만이 취항 중이다. 구본권 기자

 

 

제네시스 스포츠실용차(SUV) GV80가 미국에서 가장 높은 등급 안정성 평가를 받았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19일 GV80가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가장 안전한 차량에 부여하는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 차량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면·측면 충돌, 머리지지대 안전성 등 미국 안전보험협회가 정한 6개 항목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GV80가 이같은 평가를 모두 통과했다고 제네시스 쪽은 설명했다. 또 GV80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상대로 한 전방충돌방지시스템 테스트와 전조등 평가에서도 각각 상급, 양호 이상 등급을 받았다.

 

제네시스 쪽은 “GV80에 적용된 전방충돌방지, 차선 유지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등 첨단 운전자 안전 기술과 센터 사이드에어백을 포함한 에어백 10개, 견고한 섀시 구조 설계 등이 최고 안전등급을 받은 비결”이라고 꼽았다.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는 1959년 설립된 차량 관련 비영리단체로 해마다 차량 수백대의 충돌 안전성 등을 종합 평가해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해 출시된 GV80가 미국 안전보험협회 충돌 안전성을 평가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제네시스 모델 가운데 G70 스포츠세단과 G90 플래그십 세단이 톱세이프티 픽 플러스 등급을 받았다.

 

제네시스 GV80는 지난달 골프스타 타이거 우즈가 이 차량을 타고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의 한 도로의 내리막길에서 대형 전복 사고를 내고도 골절상에 그친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당시 사고를 조사한 비야누에바 보안관은 “차량 앞쪽은 완전히 파손되는 등 모든 게 완전히 부서졌다”면서도 “(GV80의) 차량 내부가 거의 온전해 우즈가 생존할 수 있었다. 그렇지 않았으면 치명적 사고가 됐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제네시스 쪽은 “운전자 안전은 제네시스 차량에서 최우선 고려 사항”이라며 “제네시스는 앞으로도 고객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석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