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타리오 주정부가 COVID-19 예방접종 플랜에 임산부를 우선 순위에 포함시켰다. 이에 온주 산부인과 의사회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온타리오 산부인과 의사회의 회장 콘스탄스 나셀로 박사는 “임산부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실험에서 제외됐었지만 백신이 그들에게 안전하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고 전하며 주 보건당국의 조처를 호평했다. 주 보건당국은 지난 5일 예방접종 계획에 대한 세부사항을 발표하면서 ‘임신’을 COVID-19로 인해 입원하거나 사망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으로 목록에 넣었다. 이 목록에 포함됨으로써 임신한 여성들은 2단계 백신 접종 기간 동안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되었다. 나셀로 박사는 임신 중에 COVID-19에 걸린 사람들은 주로 가벼운 증상을 보였지만 심할 경우 입원을 요구할 수도 있는 위험 요소라고 강조했다. 한편 온타리오 외에 다른 지역 중에서는 서스캐처원 주가 예방접종 계획 2단계에 심장질환을 가진 임산부를 목록에 넣고 백신 우선 순위에 명시했다.
기독교 연합기관인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은 10일 "교회가 코로나19의 공포로부터 이 사회를 치료하고, 모든 국민이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며 화합할 수 있도록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교총은 이날 대표회장 명의 목회서신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코로나19의 완전한 퇴치와 소멸을 위해 기도하며, 지금도 격리 중인 이들과 확진 후 치료받은 이들의 안전한 일상 복귀를 지원하고,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는 의료진들을 격려하며 소상공인들의 힘겨운 손을 붙잡아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교총은 "모든 한국교회는 방역에 최선을 다해주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일부 교회에서 거리두기 지침을 위반해 정부 신문고와 지역사회에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며 "교회를 통해 확산이 이뤄지면 다른 교회의 노력에 방해가 된다는 점을 고려해 조금만 더 조심하며 방역수칙을 준수해 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백신 접종과 관련해 "일부에서 제기하는 백신에 대한 여러 견해가 있으나 이에 동요하지 말아야 한다"며 "순서가 오면 지체 말고 접종을 받으시기를 바라며 현재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기후위기로부터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생명을 지키기 위해 교회와 기독교단체 등이 연대해 구성한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이 출범식을 가졌다.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국기독교연합회관 앞에서 출범식 겸 기자회견을 갖고, 향후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기독교인들의 활동을 이끌고, 교육, 정책홍보, 조직행동 등의 활동 등을 진행할 것을 천명했다.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에는 기독교환경운동연대를 비롯한 녹색교회네트워크, 기독교윤리실천운동, 한국YMCA전국연맹, 성서한국, 기독교환경교육센터살림, 한국YWCA연합회, 기독여민회,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등 24개 단체와 교단을 망라한 39개 교회, 개인 82명이 참여했으며, 향후 홍보활동을 통해 참여 단체와 교회 등을 늘려 외연을 확장할 예정이다. 비록 동참한 단체와 교회가 많지는 않지만 각기 성격과 주요 사업이 다른 기독교 단체들이 '기후위기'라는 중요한 의제를 두고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교계와 일반 사회의 환경운동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은 △기독교인들이 기후위기에 대응에 관심을 갖고, 기후행동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교회와 기독교 단체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구를 조직하고, 기후행동과 기후교육에 나서도록 하며 △국회와 정부가 정의, 평화, 생명에 기반한 기후위기 대응 법안을 만들고 시행토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기로 했다.
#교단과 연합기관에 기후위기 대응 기구 조직 촉구
이날 출범식에서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은 출범선언문을 통해 "지금 기후위기 대응은 그리스도인의 행동만이 아니라 한국의 모든 교회, 교단, 기독교 단체가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라며 "한국의 모든 교회와 기독교 단체는 기후위기 대응 기구를 조직하여 기후위기 비상사태를 온전히 인식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비상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기후위기 기독교 비상행동은 미래세대에 책임을 떠넘기는 정책이 아닌 지금 당장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임시적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인 변화를 지향하는 정의와 평화와 생명에 기반한 기후위기 대응 법안을 국회가 만드는 일에 지혜를 보탤 것"이라며 "정부가 2050년에 앞서 실제적인 탄소제로 사회를 계획하고 만들어 나가도록,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서도 모범이 되는 정부가 되도록 기독교 교회의 힘을 모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활발한 홍보 활동 통해 외연 확장 과제 남아
사회에서는 이미 2019년부터 환경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단체를 비롯한 NGO 및 기관과 개인들이 모여 '기후위기 비상행동'을 발족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교계에서도 기독교환경운동연대의 제안으로 에큐메니칼 단체들이 주축이 되어 조직과 구성, 운동형태 등을 논의하고, 새로운 단체를 만들기보다는 연합체를 만들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날 출범식을 갖게 됐다.
이날 연대발언을 한 민정희 공동운영위원장(기후위기 비상행동)은 "한국교회가 70~80년대 군부독재 정권과 싸우면서 민주화운동 세력을 양성하고, 민주주의 진전의 지렛대 역할을 해왔던 것을 상기하면서, 기독교비상행동의 역할에 대해 크게 기대하고 있다"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윤리적이고 성찰적으로 전환하고 안내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기독교비상행동에게 그런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향후 기독교비상행동의 과제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준비기간이 1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참여 단체와 교회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국교회 내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공감대를 더욱 넓히고 단체의 활동에 대한 홍보도 더욱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지적이 바로 그 것. 이를 위해 기독교비상행동은 각 교단과 연합기관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대와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기독교비상행동은 출범식 후 한국교회연합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방문해 운동의 취지를 설명하고,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