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를 앞두고 남북 실무접촉이 진행중이다. 그런데 남북 공동입장 때 한반도기를 드는 문제를 비롯해 벌써부터 야당과 보수언론의 사사건건 트집 잡기가 심하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를 비롯한 야당 인사들은 한반도기 드는 것을 이런저런 이유로 반대만 한다. 도대체 북한 선수들이 태극기를 들고 입장하란 건지 묻고 싶을 정도다.


국제스포츠대회에서 남북이 공동입장한 것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시작으로 2007년 창춘 겨울아시아경기대회까지 모두 9차례 있었다. 그때마다 남북은 한반도기를 함께 들고 입장했다. 국내에서 열린 국제대회인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 2003년 대구 유니버시아드에서도 한반도기를 사용했다. 국제대회에서 ‘한반도기’는 남북화해의 상징이 된 지 오래다. 그것이 어찌 태극기를 홀대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는가.


대규모 예술단 참가를 놓고도 벌써 시비다. 북한 공연이 체제 선전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마도 북한은 그러고 싶어 할 것이다. 북한은 이번 기회를 통해 남한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이미지를 제고하고, 대북 제재를 조금이라도 누그러뜨리려 애쓸 것이다. 하지만 북한이 공연을 통해 ‘체제’를 선전한다 해서 우리나라 국민 중 혹할 사람이 과연 몇이나 있겠는가. 아직도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자신감이 그렇게 없는 것일까. 공동입장, 단일팀, 예술단 참가 등에서 확정도 안 된 세부안을 놓고 사사건건 시빗거리 찾느라 혈안이 된 듯한 속 좁은 자세가 보기 딱하다.


남북이 만나면 조금은 큰 소리도 나고 불편함도 생기는 게 사실이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9년간 갈등만 키워왔으니 더욱 그렇다. 이젠 그런 걸 겪어내면서 서로에 대한 이해를 키워나가야 한다. 그것이 ‘평화와 공존’으로 한 걸음씩 내딛는 자세일 것이다. 조금의 불편함이나 양보 없이, 어떻게 만남을 이어갈 수 있겠는가. 개최국답게 너그럽고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할 때다.


몸상태·골밀도 등 고려‥ 꾸준히

● 건강 Life 2018. 1. 30. 20:20 Posted by SisaHan

운동 어떻게

새해의 결심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운동이다. 건강한 몸을 만들려고 하는 사람부터, 감량이나 몸매 관리 등 여러 목적으로 헬스클럽에 등록하거나 수영, 달리기 등을 시작하는 이들도 많다. 전문의들은 어떤 운동이든 자신에게 맞는 종류를 골라 단 10분이라도 꾸준히 해야 한다고 권장한다.
운동을 시작하거나 멈췄던 운동을 다시 하려면 나이와 신체 상태, 골밀도 등을 고려해 알맞은 종목과 강도를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관절이나 근육의 건강을 지키면서 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20~30대, 신체에 활력 줄 전신·근력운동
40대 이후, 기초대사량·균형감 향상 주력

◆ 먼저 20~30대는 오랜 시간 앉아서 공부나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동 부족이나 잘못된 자세로 건강을 상하기 쉽다. 또 하이힐과 키높이구두 착용 등도 척추나 관절 건강을 해치는 요소다. 이 나이대에는 비교적 활동적인 전신 운동으로 신체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수영, 계단 오르기, 요가, 축구 등 에너지 소비가 많고 전신을 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종목이다. 관절 등에 특별한 통증과 질환이 없다면 스피닝이나 헬스클럽의 기구를 이용한 근력 운동도 좋다. 한 자세로 오래 근무하는 직장인은 경직된 근육을 유연하게 하는 플라잉 요가, 필라테스 등 움직임이 큰 스트레칭 운동도 효과적이다.

◆ 40대부터는 우리 몸의 노화가 가속화되면서 많은 질병이 발생하는 시기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근육량 역시 40살 이후 빠르게 감소한다. 이 때문에 체력 소모가 큰 강도 높은 운동보다는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초보자라면 1㎏ 아령이나 500㎖ 물을 채운 페트병 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한 근력 운동으로 관절 주위 근육을 자극하는 것이 좋다. 몸무게 관리를 위해서는 수영,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오래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도 권할 만하다.

◆ 50~60대는 부상을 방지하면서 체력을 유지시키는 운동이 좋다. 50대 여성은 폐경기를 지내면서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뼈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남성은 무릎이나 어깨 등의 관절에 질환이 생기는 사람도 있다. 무리한 운동보다는 부상 방지에 힘써야 하는 이유다. 근육의 유연성을 돕고 균형감을 기를 수 있는 체조, 요가 등 맨몸 운동과 고정식 자전거를 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에 누적돼 있는 질병이 통증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60대는 체력 유지를 하면서도 관절 등을 보호해야 한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 등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는 만큼 관절에 부담이 가지 않는 종류가 좋다. 아울러 심장이나 폐 등 신체 전반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단전호흡, 평지 걷기, 체조 등을 하루 30분가량 꾸준히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소망기도원 축복성회

● 교회소식 2018. 1. 30. 20:15 Posted by SisaHan

토론토 소망기도원(원장 서인구 소망교회 담임목사, 원목 유재혁 목사)은 지난 1월4일부터 7일 주일까지 문이삭 선교사(PCA 와싱톤 수도노회 목사)를 강사로 2018 신년 축복성회를 열고 은혜를 나눴다.

‘삶으로 증명하라’는 주제로 가진 이번 축복 성회는 주일인 7일 소망교회 집회까지 모두 8차례 열려 문 선교사가‘네가 나를 사랑하느냐?’(요 21: 15~17), ‘주의 길을 예비하라’(눅 3: 1~6) 등의 말씀을 전해 새해를 말씀과 뜨거운 기도로 시작해 삶으로 그리스도인의 능력을 증거하는 값진 한 해를 다짐하는 집회가 됐다. 한편 소망교회는 문이삭 선교사와 박 에스더 선교사 부부를 협력선교사로 지원하기로 했다.


< 문의: 905-683-3623, 416-391-3151 >


영락 목회자 성경세미나

● 교회소식 2018. 1. 30. 20:12 Posted by SisaHan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교수)는 ‘엑스포지멘터리 주석’ 시리즈 저자인 송병현 교수(백석대 구약학) 초청 목회자 세미나를 1월16일(화)~17일 이틀간‘에스겔서 강해’를 주제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목회자 외에 사모와 신학생 등이 참석해 이틀간 진지한 분위기 속에 구약 에스겔서에 대한 송 교수의 강해를 들으며 함께 은혜를 나눴다.

< 문의: 416-494-0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