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박근혜, 리더인가 팔로어인가

● 칼럼 2012. 2. 20. 15:07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새누리당이 13일 전국위원회 의결로 새단장을 마무리지었다. 당명과 로고, 정강·정책을 바꾸고 새출발을 선언했다. 총선 목전의 부산한 치장을 국민이 변신으로 봐줄지, 본디 모습을 알아채지 못하게 하려는 변장으로 치부할지 모르지만, 보수정당도 외면할 수 없을 정도로 국민의 변화 요구가 거세다는 점은 분명해졌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도 새출발에 대한 기대에 설렌 듯했다. 전국위 연설에서 “당의 겉모습과 속 내용을 확 바꾸고 공식적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역사적인 날을 맞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짧은 연설에서 ‘새로움’이란 표현을 10차례나 사용했다.
 
그런데 박 위원장은 당을 바꾸는 데 무슨 기여를 했을까. 별로 없다. 오히려 변화에 반대하며 저항하다가 대세에 떠밀려 할 수 없이 수용한 게 대부분이다. 비대위 구성과 박근혜의 전면 등장도 그의 결단에 따른 게 아니었다. 그는 인기없는 여당의 얼굴로 나서기를 머뭇거렸다. 최고위원 3명의 동반사퇴로 지도부 공백이 초래돼 추대 분위기가 한껏 무르익은 뒤에야 나섰다. 당명과 로고 개정도 쇄신파의 재창당 요구를 거부하다가 찾은 절충점이었다. 
그는 정강·정책 개정에 대해 “새로운 시대정신과 국민 눈높이에 맞춰 당이 나갈 비전을 새롭게 바꾸는 것”이라고 상찬했다. 실천이 문제지만 정강·정책에 경제민주화 조항을 넣은 데 대해선 평가가 좋다. 이걸 박 위원장이 주도했나? 아니다. 
박 위원장은 꺼렸고 김종인 비대위원이 사퇴 배수진을 친 끝에 관철했다는 게 정설이다. 박 위원장은 지난 연말 소득세 최고구간을 신설해 최상위 부유층의 세금을 늘리는 방안에도 끝까지 반대하다가 의총에서 다수가 찬성해 대세가 결정된 뒤에야 반대론을 접었다. 그러고도 본회의 표결에는 불참했다.
 
정강·정책에 ‘유연한 대북정책’과 ‘인도적 지원’을 삽입한 것 등도 전향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천안함 발언’을 문제 삼아 조용환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 선출안을 부결시키면서 이런 평가가 무색해졌다. 박 위원장이 눈짓으로라도 가결 신호를 보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조차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천안함 문제의 ‘출구전략’을 모색하는데 박 위원장은 요지부동이다. 친박의 한 중진 의원은 “김 위원장 사망 당시 조문 기회를 활용하지 못한 게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이 남북관계 변화를 주도할 기회를 놓쳐버렸다는 탄식이다. 
박 위원장이 변화를 주도한 게 있다. 지도부 회의 방식이다. 지도부가 아침 공개회의에서 마이크를 잡고 돌아가며 한마디씩 하는 것은 한국 정당의 유구한 전통이다. 진보정당들도 이 전통은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 비대위 공개회의는 박 위원장 말이 끝나면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한다. 다른 비대위원들 앞에 있는 마이크는 무용지물이다.
 
박 위원장은 국민만 바라보고 정치하겠다고 누차 얘기했는데, 그를 뺀 다른 비대위원들은 공식회의 자리에서 국민에게 공개발언할 기회조차 원천봉쇄당한다. 쇄신보다 퇴행에 가까운 변화다. 
박 위원장은 이제 명실상부한 정치 주류다. 10년간의 야당생활에 이어 여당 의원이 된 18대에도 대통령의 견제를 받는 비주류였으나 지금은 대통령이 눈치를 살펴야 하는 여당의 유력 대통령 후보이자 대표다. 그에겐 이제 힘이 생겼다. 바꾸려고 마음먹으면 정책이든 행태든 얼마든지 과감하게 바꿀 수가 있다. 
변화를 거부하다 대세로 확인된 뒤에야 수용하는 것은 리더보다 팔로어에 가깝다. 
그가 변화를 망설이며 지키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여당의 대통령 후보 자리를 지킬 수는 있을 것이다. 그 이상은 아니다. 

<임석규 - 한겨레 신문 정치부 정치팀장>


토론토 아버지학교 제20기

● 교회소식 2012. 2. 18. 19:4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12일 주일 오후 이글스필드 교회에서 열린 아버지학교 준비모임 스탭들의 기도 모습.


3월16일부터 이글스필드 교회


‘가정을 세우는 사람들’을 기치로 내건 두란노 아버지학교의 ‘토론토 제20기’ 강좌가 3월16일(금)~17일과 토요일인 24일, 31일 각각 오후 5시30분부터 10시30분까지 이글스필드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 2501 Eaglesfield Dr., Burlington, L7P 3Z7)에서 열린다.
아버지학교 운동본부 토론토 운영위원회(위원장 김민규 나아이가라한인교회 장로) 주관으로 개최하는 이번 20기 강좌는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이 세상의 어떠한 성공도 가족의 소중함을 대신할 수 없다’는 슬로건 아래 아버지의 사명과 영성, 바람직한 가정 등을 주제로 3주에 걸쳐 나흘간 총 20시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통상 2주 동안 주말 이틀씩 개강해온 아버지학교가 3주에 걸쳐 진행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참가자들의 생업 등 시간적 편의를 고려해 토요일 개강을 늘린 것이다. 
이번 강좌에도 그동안 아버지학교를 수료한 30여명이 스탭으로 참여해 프로그램 진행을 돕는다. 
참가자는 80명을 모집하며, 등록비는 교재와 식사비를 포함해 $150이다.
아버지학교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경적인 아버지상을 제시하고 가정과 교회 및 사회에서 사명을 감당해 나갈 수 있도록 격려와 훈련으로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켜 나가는 영적운동으로, ‘강력한 성령운동’ ‘삶의 실천운동’ ‘평신도 운동’을 3대 특징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 각지에서 개강해 큰 반향을 얻고있다.
아버지학교 운동본부는 이번 20기 강좌를 위해 지난 5일 주일부터 매 주일 오후 이글스필드 한인교회에서 봉사자 준비모임과 기도회를 열고있다.

< 문의: 905-704-8046, 905-482-9676 >


영적 기드온 300 청년 용사로!

● 교회소식 2012. 2. 18. 19:39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제3차 청년연합 기도회가 3월2일 저녁 염광교회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 해 11월 큰빛교회에서의 2차 기도회,


3월2일 저녁 염광교회서 청년연합 3차 기도회


토론토 청년연합 제3차 기도회가 오는 3월2일(금) 저녁 7시30분 염광교회(담임 이요환 목사)에서 열린다. 
이번 기도회는 지난해 5월 토론토 영락교회에서 열린 첫 기도회에 이어 11월 큰빛교회에서 뜨겁게 열린 바 있는 2차례 청년연합 기도회를 잇는 3차 기도회로, ‘기드온의 300용사’(삿 7,8장)라는 동일 주제로 각 교회 청년들과 코스타 및 유스코스타 팀장, 스태프 등을 중심으로 청년 사역자들이 모여 시대적 사명을 일깨우고 토론토 성시화의 불길을 댕기며 조국과 열방을 품고 기도하는 비전으로 열린다.
 
기도회는 청년연합 찬양팀(염광교회 안형준 목사 인도)의 찬양과 경배에 이어 말씀의 시간, 그리고 중보기도의 시간으로 이어진다. 중보의 시간은 4명의 사역자가 인도해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위해 (가족, 직장, 학교, 교회 등), △토론토와 캐나다를 위해, △조국을 위해 (남한과 북한), △열방을 위해 (지역교회를 넘어 하나님의 Kingdom Church) 합심 기도한다. 중보기도 후 찬양하며 헌신과 결단의 시간을 갖고 축복과 파송의 시간으로 마무리 한다.
이날 기도회는 3월13~15일로 예정된 Youth KOSTA 2012 준비와 성공 개최를 위한 기도도 함께 드린다.  
코스타 총무인 김지연 목사(토론토 유학생선교회 대표)는 “기드온 300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민족을 하나로 만들었던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가 청년 연합 기도회를 통해 지속되고  ‘마중물’이 되어 지기를 소망하며 ‘영적 기드온 300 용사’로 나아가는 기도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 문의: 647-800-0481 >  


동부 정체…캐나다 무게중심 서부로

● CANADA 2012. 2. 18. 19:28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온주 서쪽지역 인구 동부 첫 추월… 이민자 정착 변화 반영


캐나다 국내 인구가 서부로 몰리는 현상이 뚜렷해져 온타리오를 중심으로 한 동부시대의 종언을 예고하고 있다.
연방 통계청은 2011 인구센서스 결과를 발표, 지난 해 5월 현재 총인구가 3천350만명으로 집계됐다면서 이같은 무게중심 서부이동을 밝혔다.
센서스에 따르면 캐나다 인구는 지난 번 2006년 센서스 때보다 5.9% 증가해 G8(주요8개국) 국가 중 가장 큰 인구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히 인구의 서부 이동 현상이 두드러져 앨버타, 브리티시컬럼비아(BC) 주 등 온타리오주 이서(以西) 지역의 인구가 퀘벡주 등 동부 지역 인구를 처음으로 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주별로는 온타리오주에 전체 인구의 38.4%가 거주해 인구 수위 자리를 지켰으나 인구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이민자들이 서부 지역을 정착지로 정하는 경향이 새로운 추세로 자리잡으면서 이전과 달리 온타리오주 이민 유입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데다 젊은 층을 비롯한 기존 주민들의 타지역 이주도 겹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인구 중 30.7%는 서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퀘벡주와 대서양 연안 지역에는 30.6%가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온타리오주가 여전히 최대 주이기는 하지만 무게중심이 서부로 이동하는 추세가 뚜렷해 졌다는 사실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체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 지역의 주민 증가도 뒤따랐다. 특히 동부의 각 주 정부가 적극적인 이민 유치 정책을 편 결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의 인구 감소 추세가 멈췄고,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PEI)주와 뉴펀들랜드 주 인구도 증가세를 보였다. 서부 지역의 경우 앨버타 주 인구 증가율이 폭발세를 나타냈으며 사스캐처원 주도 전국 평균을 웃도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부에는 이민자 유입이 부쩍 늘고 있고, 일자리를 찾아 젊은 세대의 이주가 많아지면서 출산율도 함께 높아졌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이와 함께 인구의 도시 집중 속도도 빨라져 대도시 지역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크게 높은 7.4%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캐나다 인구 중 10명 중 7명 꼴로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서 “대도시 집중은 인구 센서스 때마다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른 캐나다 3대 도시는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로, 이 곳에 전체 인구의 35%가 몰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비해 농촌 지역은 정체 상태를 보여 인구증가율이 1.7%에 그쳤다.
 
서부캐나다재단 로저 기빈스 회장은 서부 강세 현상에 대해 인구 증가와 함께 정치와 문화 현상도 서부 이동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캘거리 출신 스티븐 하퍼 총리의 재선이 이루어지고 집권 보수당의 하원 과반 다수 점유 성공도 가능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또한 경제 리더십도 토론토의 절대적 지위가 캘거리와 밴쿠버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기빈스는 특히 세계 경제 중심이 미국과 유럽에서 아시아로 옮겨가는 가운데 캐나다도 태평양 교역의 관문인 서부 해안이 전통적인 동부 대서양보다 중요해 졌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