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민 시인「블루어 연가」출판기념회

● 한인사회 2011. 10. 29. 15:08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이민 삶 쉬고 기댈 문학 외길 작가”
박성민 시인「블루어 연가」출판기념회‥작가정신 격려

시인이며 소설가인 박성민 씨가 펴낸 3번째 시집 ‘블루어 연가’ 출판기념회가 지난 22일 오후 본 한인교회(담임 한석현 목사)에서 캐나다 한인문인협회(회장 원옥재) 주관으로 문협회원과 각계 축하객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행사는 “81년 문협 회원이 된 박성민 작가는 장르를 넘나들며 열심히 창작활동을 해오면서 문학적 재능과 작가정신을 유감없이 보여주셨고, 앞으로는 캐나다내 한국문학을 영문으로 소개하리라는 큰 기대도 갖는다”고 밝힌 원옥재 문협회장의 축하인사로 시작됐다.
 
이어 한석현 목사와 서준경 경동고동참회장의 축하인사, ‘블루어 연가’를 소개한 이금실 씨와 이시현 씨의 시 낭송, 킴벌리 김 회계사의 독후감, 서민정·장계순 회원과 본 한인교회 구자승 씨의 축가 등이 있었다. 토론토대학 동창인 김명세 씨(본 한인교회 장로)는 작가소개를 통해 “3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돈과는 거리가 먼 문학 외길을 걷는 박 선배는 진정한 문인”이라며 “겨울을 이겨낸 나무처럼 이민 삶에서 쉬고 기댈 작가이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아들 박지수 군이 영시 ‘The Island’를 낭독한 다음 직접 마이크 앞에 선 작가 박성민 씨(사진)는 ‘바그다드에 장이 서면’을 감회어린 목소리로 낭송하고 “문협과 참석해 준 분들, 도와준 분들 모두에게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원옥재 회장은 이 자리에서 기념패를 전달했다.   
박성민 씨는 그동안 ‘어머님의 방’,’이제 남은 건’등 시집과 ‘겨울바람이 말했지’ 등 2편의 동인시집, 소설집 ‘캐비지 타운’ 등을 펴낸 바 있다.  ‘블루어 연가’는 ‘겨울 호숫가에서’, ‘토론토’, ’우리 다시 만날 때’등 3부로 나누어 57편의 시가 실려있다.

< 문의: 416-781-4862 >


미, 캐나다인 입국세 부활 분쟁조짐

● CANADA 2011. 10. 29. 15:02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여행객 5.5$ 검색통과 수수료‥ 정부 우려 전달

항공기나 선박으로 미국에 입국하는 캐나다 국적 여행객에 대해 검색세를 부과하려는 미국의 조치가 양국 간 새 무역분쟁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과 함께 1997년 폐지됐던 캐나다 시민에 대한 미 입국 검색세를 부활할 방침인 것으로 24일 확인됐다.
 
미국은 지난 21일 발효된 콜롬비아와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 미국으로 입국하는 캐나다와 멕시코 국적 여행객들에 대해 검색세 면제를 취소한다는 조항을 포함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캐나다는 최근 미 공공사업 발주 시 미국 제품 사용을 의무화한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정책과, 미국 입국 규정을 둘러싼 국경협정을 놓고 분쟁이 깊어지는 가운데 새로운 분쟁 요인을 안게 됐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부활되는 검색세는 항공기와 선박 여행객에게 징수되는 5.5달러(약 6천300원)의 검색통과 수수료로 NAFTA 당사국인 캐나다와 멕시코 국민에 대해서는 1997년부터 면제됐다.
 
하퍼 정부는 미-콜롬비아 FTA에 포함된 이 규정을 ‘해괴한 조항’이라고 부르며 미국의 이 같은 조치를 매우 불쾌하게 여기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에드 패스트 대외무역부 장관은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국경 통과 수수료를 인상하는 것은 여행객들의 부담을 늘리는 것”이라며 “캐나다 당국은 이 수수료의 면제 조치를 폐지한 데 대해 미국 측에 가장 강력한 수준으로 우려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패스트 장관은 이어 “미국 의회를 상대로 캐나다의 우려를 지속적으로 표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연아 상원의원 등 참석 2세들에 진로 조언

● 한인사회 2011. 10. 29. 15:0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11월 4일 명사 초청 강연회

해밀턴 한인회 주최, 5명초청
이글스필드 한인교회서 오후6시

한인 2세들의 주류사회 진출을 조언하고 돕기 위한 명사초청 강연회가 김연아(Yonah Martin) 상원의원을 비롯한 의사, 변호사, 교사, 대기업 직원 등을 초청한 가운데 11월4일(금) 오후 6시 벌링턴의 이글스필드 한인교회(구 해밀톤 한인장로교회: 담임 고영민 목사: 2501 Eaglesfield Dr. Burlington, Brant St & Dundas St)에서  열린다.
 
이번 강연회는 해밀턴 한인회(회장 주점식)가 주최하고 이글스필드 한인교회가 장소를 기꺼이 제공해 열리게 됐다. 초청연사로는 한인 유일의 연방의원인 김연아 상원의원이 주강사로 연설하며, 정제욱(의사), 박재헌(변호사), 신가람(교사), 강일웅 씨(삼성직원) 등 20~30대가 패널강사로 출연해 함께 경험과 노하우를 들려준다. 또 제이슨 케니(Jason Kenny) 이민장관과 데이비드 스위트(David Sweet), 조 다니엘(Joe Daniel) 하원의원 등도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밀턴 한인회 주점식 회장은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때에 동포 2세들에게 조금이라도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오다 김 상원의원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번 행사를 열게됐다”고 밝히고 “동포 자녀들에게 ‘하면된다’는 의욕과 도전을 불러일으키는 기회가 되도록 많은 참석과 독려를 바란다”고 부탁했다. 당일 교회까지 셔틀이 운행되며, 행사 후 다과도 제공된다.
 
< 문의: 905-630-6304, 905-741-5850 >


[한마당] 내가 믿는 대한민국의 정통성

● 칼럼 2011. 10. 29. 14:57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내가 초등학교를 다니던 섬에는 군대를 두 번 갔다 온 청년이 있었다. 어렵게 의무복무를 끝내고 돌아왔는데, 또다시 징집영장이 나왔다. 입대 환송회까지 열어주었던 면사무소의 병사계가 그의 복무기록을 찾아내지 못했다. 그는 자기도 모르게 섬의 권력자였던 한 유지의 아들을 대신해서 군대에 갔던 것이다. 청년의 집안에는 이 일을 해결할 만한 능력자가 없었고, 그 내막을 알고 여기저기 수군거리는 사람은 많았지만 일을 바루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없었다. 그는 속절없이 군대를 다시 가야 했다. 그러나 몸은 튼튼해서 두 번째 복무도 무사히 마치고 귀향할 수 있었으니, 내가 지금 이야기하려는 또 하나의 경우보다는 훨씬 더 다행한 편에 속한다.
 
중학교를 다닐 때 우리 가족은 목포의 변두리 동네에서 살았다. 옆집 청년이 제대를 석 달 앞두고 마지막 휴가를 나왔다. 나는 그때 내 발이 세 개는 들어갈 군화를 처음 신어 보았다. 청년은 신실해 보였고 친절한 사람이었다. 군대를 제대하면 식당에서 조리사로 일할 것이라고 했다. 그가 귀대한 후 편지가 한 번 왔다. 시내의 큰 식당에 찾아가서, 자신에게 일자리를 주겠다던 약속을 다시 상기시켜 달라고 적혀 있었는데, 그 편지를 내가 그 집 사람들에게 대신 읽어주었기에 그 내용을 정확히 기억한다. 그러나 청년은 제대 날짜를 넘기고도 돌아오지 않았다. 한 달이 지나도 오지 않았고, 다섯 달이 지나도 오지 않았다. 청년의 어머니가 어렵사리 노자를 구해 전방부대를 찾아갔지만,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어야 했다. 청년이 탈영을 해서 자기들도 행방을 모른다며, 청년의 어머니를 도리어 죄인처럼 다루더란다. 아들이 무슨 일로 부대에서 사망했겠지만 탈영병으로 처리되는 바람에 보상을 받기는커녕 불명예를 뒤집어쓰고 살아야 했던 그 부모들도 지금은 저세상 사람이 되었겠다.
 
오랫동안 잊고 살아온 일들인데, 요즘은 잠자리에서 깨어나 눈을 뜨면 문득 그 사람들이 생각나 나도 모르게 한숨을 뱉게 된다. 몸이 허해지면 옛날에 아프던 자리에 다시 통증이 온다더니 그 말이 틀린 것 같지 않다. 눈앞의 참혹한 광경은 두 눈을 부릅뜨고 마주볼 수 있다 해도, 옛날의 마음 아팠던 기억에는 손발이 묶여 있으니 어쩔 도리가 없다. 이럴 때는 내가 우선 나를 위로하려고 애써야 하는데, 고작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지금은 옛날과 많이 달라졌다고 혼자 말해보는 것뿐이다. 그러나 많이 달라지기까지 어떤 일이 일어났던가. 사일구를, 유신시대를, 부마항쟁과 광주민주화운동을 새삼스럽게 말할 필요는 없겠다. 
나는 이 나라가 진실로 억울한 사람들의 원을 풀어주고, 말할 수 없는 고통 속에 사는 사람들을 그 고통에서 해방해 줄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처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더 나이가 들어, 제도 속에 들어가 어쭙잖게라도 남을 가르치는 자리에 들어섰기에, 그 책임을 어디에 전가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러서도, 젊은 날의 기억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굳게 믿는다. 공식적으로 이 나라를 세운 것으로 되어 있고, 또한 지배해온 사람들이 동상이나 기념관을 세워 추앙할 수 있는 사람들이어서가 아니라, 그 밑에서 핍박받은 사람들이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겠다는 염원을 버리지 않았고, 그래서 ‘옛날과 많이 달라진’ 세상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는 어느 나라가 그 하늘에 여섯 마리의 용이 날았기 때문이 아니라, 제 나라의 글자를 만든 임금이 있었고, 어떤 도를 실천하려는 선비들이 있었고, 인간답게 살기를 애쓰는 백성들이 있었기 때문에 정통성을 얻었던 것과 같다.

< 황현산 고려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