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실업률 전망치 높이고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낮춰

 

19일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에서 트레이더들이 거래를 하고 있다. 뉴욕/AFP 연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동시에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상향 조정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연준은 19일(현지시각)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이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렸던 지난 1월 29일 회의에 이어 2회 연속 동결이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2.75%)과 미국 간 금리 차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이 공개한 최신 경제 전망을 보면 19명의 정책 결정자 중 11명이 올해 최소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지난해 12월 최소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했던 15명보다 줄어든 수치다.

 

연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2.5%에서 2.7%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인상 조치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2026년과 2027년에는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은 실업률 전망치를 높이고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낮췄다.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하며, 기존에 사용했던 “물가 안정과 고용 증가 사이의 위험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표현을 삭제했다.

 

연준은 지난해부터 인플레이션 억제와 경기 둔화 방지를 동시에 고려하는 균형 잡힌 정책을 추진해왔다. 인플레이션은 2023년 1월 5.5%에서 올해 1월 2.5%까지 하락하는 등 상당한 진전을 보였다. 이에 따라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금리를 총 1%포인트 인하했다.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성장률 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 규제 완화와 에너지 가격 인하 조치는 경제 성장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지만, 정부 지출 축소와 대규모 관세 정책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투자 결정도 지연시키고 있다.

 

연준은 향후 관세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지난해 대부분의 기간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며 인플레이션 둔화에 기여했지만, 최근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

올해부터 브런치 모금회로... 젊은 음악예술가 팀‘온기’(ON GI) 출연

 

 

올해로 창립 28주년을 맞이한 성인 장애인공동체(KCPCAC: 회장 이성민)가 운영기금 마련을 위한 봄 연례행사인 후원모금 브런치 음악회 ‘2025 동행’을 4월12일(토) 오전 10시30분부터 낮 12시까지 토론토 한인회관(1133 Leslie St. North York)에서 개최한다.

올해 모금 음악회는 참석자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동안 조찬모임으로 갖던 것을 시간을 늦춰 오전 10시30분부터 브런치 동행 모금음악회로 개최한다.

 

프로그램은 올해도 회원과 봉사자들이 직접 만들어 정성껏 차려 제공하는 브런치 메뉴와 후식을 함께 하며 공동체 활동보고와 계획을 소개하고 다채로운 음악공연 등으로 꾸민다.

 

공연에는 ‘동행 모금회를 위해 결성한 젊은 음악예술가들의 팀‘온기’(ON GI)가 출연해 국악 크로스 오버 성격의 독특하고 흥미로운 음악무대를 펼칠 예정이다. 팀‘온기’는 판소리 소리꾼 이상아, 플롯과 피아노를 전공한 현지혜, 한국 전통타악기인 장구 전공 김은지 씨 등 한국과 캐나다에서 전문적이고 다양한 커리어를 쌓아 온 3인의 프로 예술가들로 구성돼 있다.

공동체는 이번 브런치 음악회도 장애회원과 가족,봉사자와 후원자들이 하나가 된 유대와 연합, 나아가 역량을 펼쳐 보이는 데 주안을 두고 행사를 꾸민다고 밝혔다.

 

티켓은 $50이며, 재정적 도움을 위해 순서지 광고게재나 일반 후원금 접수도 받는다. 성금후원은 수표(Pay to: KCPCAC, 25 Centre Ave., North York, ON M2M 2L4), 혹은 e-Transfer(torontokcpcac@outlook.com) 등으로도 후원할 수 있다. $100 이상의 후원금은 세금공제 영수증이 발행된다.

 

1997년 창립 이후 토론토 인근의 한인 지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성인장애인 공동체는 2014년부터 후원모금을 위한 ‘동행’음악회를 연례행사로 열고 있다.

 

공동체는 “‘동행’은 단체 운영에 있어 중요한 행사로, 올해도 봉사자들이 직접 준비하는 브런치와 수준 높은 무대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많은 분들이 오셔서 공동체 장애 회원들과 함께 동행해 주실 것을 정중히 요청드린다”면서 “모금회와 여타 후원에 적극 참여하셔서 사랑으로 동행해 달라”고 거듭 따뜻한 성원을 당부했다.

                                            < 문의: 416-457-6824, torontokcpcac@gmail.com >

 

2.27 총선 당선... 3월18일 퀸스파크서 주의원 선서... 한인 30여명 참석해 축하

 

지난달 27일 치러진 온타리오주 총선에서 4선에 성공한 조성준 주의원의 공식 선서식이 3월18일 퀸스파크 주 의사당에서 열렸다.

조 의원은 선서식에서 “한인사회와 지역구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온타리오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또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의정 포부를 밝혔다.

 

이날 선서식에는 한인사회 인사 30여 명이 참석해 조 의원의 4선을 축하하고 그의 지난 의정 활동을 되돌아보며 공로를 치하하는 한편 향후 성공적인 의정활동을 기원했다.

 

한 참석자는 “조 의원은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온타리오주 전체를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는 정치인”이라며 “앞으로도 그의 리더십이 더욱 빛을 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성준 의원은 1991년 메트로폴리탄 토론토 시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이후 시의원 8선, 주의원 4선에 성공하며 총 12번의 선거에서 승리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018년부터는 온타리오주 노인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돼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복지 정책 강화와 한인사회 등의 노인단체 지원에도 앞장서 왔다.

                                                        < 문의: 416-988-9314, raymond.cho@pc.ola.org >

“(한국 교회가) 이념을 신앙화했다. 정치를 우상화했다”

  

                  류영모 전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 한교총 제공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 대표회장을 지낸 류영모 목사는 18일 “교회가 정당이 대변인이 됐다. 한국 교회는 당당한 위엄과 권위를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특정인을 지목하지 않았으나, 전광훈 목사 등 개신교계 일부 인사가 최근 사실상의 정치 집회를 주도하는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류 목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새문안교회에서 열린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제3회 나부터 포럼’에서 “한국교회가 역사의 중심, 사회의 중심에 서기는커녕 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류 목사는 “(한국 교회가) 이념을 신앙화했다. 정치를 우상화했다”면서 “2025년은 물리적 파괴가 아니라 영적 파괴, 교회 신뢰의 파괴, 정신적 파괴, 하나 된 국민이 확증편향으로 쪼개진 사회”라고 말했다. “(교회가) 상대 지도자와 이념을 악마화했다”고도 했다.

 

현 정권과 시국에 대한 개신교계의 우려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는 지난 11일 “정치권에 있는 무속의 영향을 아주 심각하다”며 “기독교계에서는 무속 신앙과의 영적 전쟁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이 무속에 심취했다는 의혹에 대해 “핵심 인물 중에 한 사람이 무속인이었다는 것은(기독교인 입장에서) 심히 유감”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 목사는 “무속 신앙에 빠질 경우 현실을 무시하게 된다”며 “교회에서는 계속 경고해야 한다”고 했다.      < 경향 윤승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