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 "소속·직책 알 수 없어"…한국 외교부 "답할 입장 아냐"

구매하기
몽골 주재 북한대사관  [연합]

 

태형철 북한 사회과학원장이 이끄는 북한 대표단이 지난 8월 하순 몽골 울란바토르를 방문했을 당시 북한 통역원이 한국대사관을 통해 망명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25일 보도했다.

 

망명한 통역원 소속과 직책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북한 당국이 주민들의 외국 방문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어서 어느 정도 사회적 지위가 있는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는 전했다.

 

한국 외교부는 이와 관련한 질의에 "답할 입장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교도는 "북한은 몽골 주재 대사 교체를 발령했다"며 "이번 사안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책임을 추궁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통역원이 망명했을 당시 태 원장은 학술기관 수장으로서 7년 만에 몽골을 방문했다. 그는 몽골에서 '적대적 두 국가' 방침과 통일 포기에 대한 견해를 설명하고 지지를 구했다.

 

당시 북한은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앞두고 우방국과 관계 강화, 내부 단속을 추진하고 있었다.

 

북한 매체는 태 원장의 몽골 방문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체제에서 외교관 등 엘리트의 탈북이 이어지고 있다"며 "북한은 한국을 적국으로 규정했지만, 외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엘리트 중에는 폐쇄적 체제에 회의감을 품은 사람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2016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였던 태영호 전 의원, 2023년 쿠바 주재 북한대사관 정무참사였던 리일규 씨가 각각 한국으로 망명했다고 소개했다. 

                                                                                < 도쿄=연합 박상현 특파원 >

 "한때 가장 가까운 동맹으로 여겨졌던 두 나라가 서로 멀어지게 됐다"

 
                                                   교황 레오 14세 [AP=연합]

 

교황 레오 14세가 24일(현지시간) 미국과 캐나다의 관계 악화에 대해 이례적으로 우려를 표명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레오 14세는 이날 바티칸에서 열린 회의에서 "캐나다와 미국은 우리가 여기 있는 순간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때 가장 가까운 동맹으로 여겨졌던 두 나라가 서로 멀어지게 됐다"고도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캐나다의 관세 반대 광고를 빌미로 양국 간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데 대한 반응으로 풀이된다.

 

교황의 이번 발언은 가톨릭교회의 개혁작업을 논의하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시노드·Synod)에서 캐나다 주교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교황은 시노드가 미국과 캐나다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며 "이것이 바로 공동합의성(synodality)과 경청, 대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자 우리 일상에 어떻게 실제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가톨릭교회의 수장이 국제 무역 문제나 특정 국가의 정치에 대해 논평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레오 14세는 이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었다.

 

다만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처우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는데, 이로 인해 일부 보수 성향 가톨릭 신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레오 14세는 가톨릭교회 역사상 첫 미국인 출신 교황이다.      < 이신영 기자 >

지난 10일 연방정부 설립인가 통보... 장학사업 향후 지속추진 기반

비영리자선단체 등록도 추진.. 장학기금 기부 세금감면 영수증 가능

 

지난 3년동안 향우자녀들에게 2만여 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해 온 온타리오 호남향우회(회장 최부열)가 장학재단 설립과 함께 자선단체 등록을 추진, 앞으로도 지속적·안정적으로 2세들을 위한 장학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호남향우회는 이에따라 연방정부에 장학재단 설립을 신고, 지난 10월10일자로 법인설립을 허가받았다. 법인은 ‘Honam Scholarship Foundation (호남장학재단)’이라는 명칭으로, 설립인가와 함께 Corporation number(법인번호)와 Corporation key 및 Annual return filing period 등 법인 관리정보도 통보받았다. 이로써 향우회 장학재단이 정식 출범하게 됐다. 호남향우회는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자선단체(Charity) 등록도 아울러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향우회의 비영리자선단체 등록이 허가될 경우 세금감면 혜택을 주는 자체 영수증 발급이 가능해져 장학금 기부자들이 세금감면에 활용할 수 있는 영수증을 향우회가 발급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보다 많은 향우들의 도네이션으로 이어져 앞으로 향우 손-자녀들에게 지속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호남향우회는 그동안 향우들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십시일반으로 모은 장학금을 매년 정기총회 혹은 대보름잔치 때 장학위원회가 선정한 향우 자녀 차세대들에게 지급해 향학열을 북돋워 왔다.  그러나 성금기부액이 일정하지 않고, 세금감면용 영수증 발급도 불가능해 장학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없지 않았다. 이같은 사정을 알게 된 한 독지가가 최근 향우회를 자선단체로 등록할 경우 장학기금으로 10만 달러를 기부하겠다는 쾌척의사를 밝혀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그 독지가는 특히 “장학사업을 적극 후원하는 뒷배가 되겠다”는 약속과 아울러 관련 절차 안내와 전문변호사도 소개, 장학재단 설립과 비영리자선단체 등록 추진에 가속이 붙었고, 이번에 재단설립 인가를 받게 된 것이다.  비영리자선단체 등록은 통상 약 6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향우회는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으로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호남향우회는 지난 10일자로 설립 인가된 장학재단의 운영이사진을 구성, 6명의 이사에 당연직인 향우회장을 포함, 최부열·이병룡·김남수·최영범·김윤희·이승재 향우를 선임했다.  이사회는 이사장에 이병룡,  총무 이승재, 그리고 재무에는 김윤희 향우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 문의: 905-580-3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