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이후 최고위급은 아니다철저한 은거?


 

지난 201811월 귀임을 앞두고 돌연 잠적했던 북한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가 한국에 입국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연합뉴스

 

전직 고위관계자 남북관계 중요 변수 아냐

탈북민 출신 태영호 의원 무분별 보도 유감

 

201811월 이후 행방이 묘연하던 조성길 전 이탈리아 주재 북한 대리대사가 지난해 7월 한국에 들어왔다고 뒤늦게 알려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국민의 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6일 밤 조성길 전 대사는 작년 7월 한국에 입국해서 당국이 보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조 전 대리대사의 한국행 여부에 대해 공식·비공식을 불문하고 아무런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특정 탈북민의 한국 거주 여부를 공개·공식적으로 확인하지 않는 원칙의 연장선이다.

조 전 대리대사는 귀임을 앞둔 20181110일 이탈리아 대사관을 벗어나 부인과 함께 종적을 감춘 뒤 지금껏 행방이 묘연했다. 조 전 대리대사의 직급은 ‘1등 서기관이지만, 20179월 북한의 6차 핵시험 뒤 이탈리아 정부가 유엔 제재를 이유로 문정남 당시 대사를 추방한 뒤 대리대사구실을 해왔다. 이탈리아 정부는 조 전 대리대사의 딸이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지난해 2월 밝혔다.

여러 언론 매체는 조 전 대리대사의 한국행을 두고 황장엽 이후 최고위급 망명이라거나 남북관계에 큰 파장을 일으킬 대형 사건이라고 성격 규정하지만, 사실관계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우선 황장엽 이후 최고위급 망명이라는 성격 규정은 이미 알려진 점에 비춰봐도 비춰봐도 사실에 어긋난다. 직급을 기준으로 할 때, 조 전 대리대사는 1등 서기관으로, 영국 주재 대사관의 공사로 일하다 한국으로 온 태영호 국민의 힘 의원보다 직급이 낮다. 한국에 있다는 사실을 당사자와 정부 모두 철저하게 공개하지 않는 다수의 고위급 탈북민의 존재를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대리대사는 직급이 아니라 임시 임무. 북한의 외교에 밝은 소식통은 7북에선 대사가 공석일 때 그 하위 직급자한테 임시대리대사의 임무를 임시로 부여한다고 전했다. 북한 대사관의 직제는 원칙적으로 대사-공사-참사-서기관등의 순으로 이뤄지는데 북한 대사관엔 재정 사정 탓에 공사와 참사가 없이 대사-서기관3~4명의 외교관만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흔하다고 다른 소식통이 전했다. 소식통은 조성길은 고위급이 아니고 그냥 외교관이라며 굳이 다른 탈북민과 차별성을 찾자면 한국에 온 사례가 많지 않은 북한 외무성 소속 정식 외교관이라는 사실이라고 짚었다.

조 전 대리대사의 한국행이 남북관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리라는 전망을 두고는 섯부르다는 지적이 많다. 태영호 의원의 선례와 비교하면 당사자와 정부의 행보에 차이점이 분명하다.

태 의원의 한국 입국 사실은 2016817일 당시 박근혜 정부의 통일부가 대변인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까지 탈북한 북한 외교관 중 최고위급이라며 언론에 대대적으로 알렸다. 태 의원도 왕성한 공개 활동을 해왔다.

반면 조 전 대리대사는 20197월 입국 이후 15개월째 당사자나 정부 모두 입을 꽉 닫고 있다. 조 전 대리대사는 국내 탈북민 사회에도 일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그의 철저한 은거엔 북쪽으로 송환된 어린 딸을 포함한 재북 가족이 가급적 불이익을 덜 받게 하려는 고려가 작용한 듯하다. 조 전 대리대사와 “20년 지기라는 태 의원은 조성길은 아버지와 장인이 모두 대사를 지낸 외교관 집안 출신이라고 언론에 말한 적이 있다.

흡수통일 배제를 공언하며 2018년 세 차례 정상회담 등 남북관계를 개선하려 애쓰는 문재인 정부로서도 조성길 한국행을 국내 정치 목적으로 활용할 이유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지적이다. 전직 고위 관계자는 조성길의 한국행이 사실로 공식 확인되더라도 남북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중요 변수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태 의원은 조성길 본인의 동의 없이 관련 사실이 언론을 통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에 유감을 표한다딸을 북에 두고온 아버지의 심정을 헤아려 언론이 집중 조명과 노출을 자제했으면 한다는 내용의 입장문7일 발표했다. 이제훈 기자

   

“부부 함께 한국에 들어와, 당국이 보호 중”             


2018년 잠적했던 북한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가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의 고위급 외교 인사가 한국행을 택했다는 점에서 남북 관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국회 국방위 소속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성길 전 대사는 작년 7월 한국에 입국해서 당국이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됐다고 밝혔다.

조 전 대사대리의 직급은 '1등 서기관'으로, 2017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이유로 이탈리아 정부가 문정남 당시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를 추방한 이후 대사대리를 맡았다. 하지만 임기 만료를 앞두고 201811월 돌연 사라진 뒤, 2년동안 정확한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잠적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탈리아 등 외국 정부의 신변 보호를 받으며 제3국으로 망명을 타진 중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2월에는 이탈리아 외교부가 조 전 대사대리의 미성년 딸이 북한으로 송환된 사실을 공식 확인하기도 했다.     장나래 기자


토론토 이토비코의 중학교에서 COVID-19 확진자가 8명이나 발생했다. 토론토시 보건당국은 그러나 모두 학교 밖에서 감염됐기 때문에 발병 선언과 폐쇄조치를 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토비코의 Martin Grove Collegiate Institute측은 학부모들에게 편지를 보내 지난 주말 이후 3건의 새로운 확진 사례가 확인되어 총 8명의 확진자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이 학교의 확진자 수치는 다른 공립학교들 보다 훨씬 많은 확진 사례다. 하지만 이 학교는 여전히 수업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공중 보건당국은 발병 관련 선언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학교와 관련된 사례도 있지만 철저한 조사를 통해 감염이 학교 밖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발병 선언은 특정 학교에서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양성 환자가 있을 때 할 수 있으며 적어도 그 중 한 건은 학교에서 감염되었어야 한다.
현재 온타리오 주의 학교에서는 500명 이상의 COVID-19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3개 학교가 재학생 발병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휴교 중이다.


Guelph대, 캠퍼스 폐수 COVID-19 검사로 발병 사전확인 연구

● CANADA 2020. 10. 7. 09:46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Guelph 대학 연구진은 COVID-19 감염자들이 증상발현에 앞서 배설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점을 주목, 대학 캠퍼스의 폐수를 검사해 대학 구성원들의 감염 조짐을 조기 감지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의 한 교수는 사람이 감염 증상을 보이기 일주일 전 쯤부터 배설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발견했다면서 폐수 검사를 통해 사람들의 코로나 바이러스 수치를 감지해 감염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폐수에서의 바이러스 검출이 대학에서의 잠재적인 감염에 대한 조기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각 캠퍼스의 폐수를 검사하고 있으며, 결과에 따라 COVID-19 발병사례의 초기 징후를 확인할 수 있을지, 새로운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 테스트는 여러 캠퍼스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토론토 제인과 핀치 인근서 뺑소니, 보행자 중상

● CANADA 2020. 10. 7. 09:4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60대로 보이는 남성이 5일 오전 토론토 제인과 핀치 인근에서 뺑소니 사고를 당해 중상을 입었다.

이날 오전 7 15분쯤 제인과 그랜드라빈 드라이브(Grandravine Drive) 근처에서 도로를 건너던 한 남성이 차량에 치어 중상을 입고 병원에 이송됐다. 이 남성을 친 차량은 그대로 도주했다. 경찰은 60대 남성으로 추정되는 피해자가 머리를 다쳐 외상센터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도주한 차량을 수배하는 한편 목격자들을 찾고있다. 또 교통서비스부 대원들이 현장에 출동해 사건을 조사했다. 경찰은 달아난 용의 차량에 대한 정보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