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핀치 유니버시티 교회 25~29일 뮤직 캠프

2009년부터‥분위기 바꿔
악기 익히며 희망도 함께
관심과 자원봉사 참여를

토론토 제인&핀치에 위치한 유니버시티 장로교회(담임 김진혁 목사: 1830 Finch Ave W.)가 지역 사회를 위해 시작한 무료 음악교실 ‘Reaching Up Music School’의 Summer Camp가 25일(월)부터 29일(금)까지 열린다.

유니버시티 교회는 흑인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알려진 지역특성을 감안해 2009년 9월부터 학생들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 레슨을 시작, 음악과 악기 지도를 통해 소통과 화합의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번 여름캠프도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어린이와 학생은 물론 어른들까지 참가하는 이들에게 발성에서 듀엣 및 합창과 피아노, 바이올린, 드럼, 댄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음악과 함께 하나님의 사랑을 전한다. 유니버시티 교회는 캠프 참가학생 외에 학생들을 지도할 자원봉사자들도 구하고 있다.
유니버시티 교회의 ‘Reaching Up Music School’에는 지금까지 17명의 자원봉사 교사들이 40여명의 학생들을 지도해 소외된 어린이와 학생들에게 음악적 소양과 희망을 길러주고 있다.

지난 6월 28일에는 특히 제1회 Piano Workshop이 열려 피아노 레슨을 받은 학생 8명과 김혜정, 배천경 두 자원봉사 교사가 그동안 배우고 익힌 것을 함께 나누며 조언을 해주는 뜻깊은 연주무대를 마련, 학생들과 부모들의 큰 호응과 찬사를 받기도 했다.
유니버시티 교회 김애령 코디네이터와 자원봉사자들은 “음악을 함께 나누고 익히며 즐기는 시간을 통해 소외받고 배움의 기회를 얻지 못했던 학생들에게 배울 수 있고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고 싶은 마음”이라며 많은 이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했다.

< 문의: 647-746-7380 >

Big Fishing Club 31명 뉴욕 출조 다녀와


무더위를 잊은 ‘꾼’들의 원정이 짭짭한 손맛과 수확을 낚아 올렸다.
한인 ‘강태공‘들의 모임인 낚시 동호회 ‘빅 피싱 클럽(Big Fishing Club: 회장 김종욱)’이 창립 후 첫 행사로 기획한 뉴욕 롱 아일랜드 원거리 출조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31명의 회원이 참가하는 호응 속에 풍성한 수확을 거둬 돌아왔다.
김종욱 회장은 18일 “좋은 날씨로 광어,돔,농어 등 푸짐한 수확을 거뒀고, 파란 바다 위에서 장대한 일출을 음미하며 펄펄 뛰는 대어를 낚아 올리는 즐거움과 싱싱한 활어회 맛에 모두들 피곤도 잊은 일정이었다”며 “다만 낚시 허용 크기가 20.5인치(52cm) 이상이어서 회원들이 많은 고기를 놓아주며 아쉬워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이번 출조를 낚시전문점 Bronte Outdoor가 주관하고 ALL TV와 센츄리 21 New Concept 이 협찬했다고 밝히고 “첫 행사여서 일부 시행착오도 있었으나 앞으로 보완해 더욱 보람있는 동포 강태공들 행사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문의: 416-409-9039 >

금값 ‘천정부지’

● WORLD 2011. 7. 31. 06:34 Posted by SisaHan
온스당 1600$ 돌파

금값이 온스당 16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재정위기에 시달리는 유럽의 유로와 국가부채 한도 증액 문제가 걸려 있는 미국 달러를 대신해 금이 안전자산으로 계속 선호되는 까닭으로 해석된다. 일본의 엔화 등도 안전자산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18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값은 지난 주말보다 온스당 12.3달러 올라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인 1602.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값은 장중 한때 온스당 1607.9달러까지 치솟아 장중 사상 최고가도 갈아치웠다. 이날 상승으로 금값은 10 거래일 연속 올랐으며, 최근 2주간의 상승률은 8.2%에 이른다.
금값은 세계 금융위기를 계기로 각국에서 통화·재정 팽창정책이 확산되자, 2008년 하반기 온스당 700달러대에서 상승세를 이어왔다.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8월2일까지 국가부채 한도 증액에 대한 의회의 동의를 얻어내지 못할 경우 채무불이행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전망을 배경으로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유럽 국가들 사이에 재정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도 유로를 대신해 금같은 안전자산으로 투자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금 외에도 일본의 엔화 등이 안전자산으로서 값이 오르고 있다. 19일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는 오후 3시 현재 달러당 79.01~79.02엔에 거래돼 연중 최저치인 78엔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로이터> 통신은 “스위스 프랑, 노르웨이 크로네, 싱가포르 달러 및 오스트레일리아 달러도 ‘안전 통화’로 여겨져 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가치로 보면 금값은 1980년대에 사상최고치였다. 당시 금값은 온스당 850달러 선으로 현재 달러가치로 환산하면 2400달러 수준이었다.

[한마당] 인권위 ‘추락사’와 MB 정부

● 칼럼 2011. 7. 31. 06:31 Posted by SisaHan
MB정부 출범 후 쇠락을 거듭해 오던 현병철 위원장 체제의 국가인권위원회가 끝내 자멸의 길을 택한 모양이다. 인권위는 지난 2월28일 인권위 노조 부지부장인 계약직 조사관을 계약해지 형태로 사실상 해고한 데 이어, 이에 항의해 1인시위를 벌였던 동료 11명을 징계위에 회부해 이번주 징계심사를 벌인다고 한다. 현병철 위원장이 ‘직접’ 징계를 요청하고, 노조원 자격이 되지 않는 고위급인 5급 조사관 세명에 대해서는 고등징계위원회에 ‘중징계’를 요구했다고 한다.
해고된 강인영(43)씨는 인권위 10년 역사의 최대 성과로 꼽히는 서울중앙지검 피의자 사망사건과 서울구치소 수용자 사망사건을 담당했고, 최근 5년간 성차별 및 성희롱 업무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았던 베테랑 조사관으로 알려져 있다. 60여명의 동료들이 인권위 내부 게시판에 글을 올려 강씨의 복직을 요구하고 14명이 릴레이로 1인시위에 나섰던 것을 보면, 그가 인권위에서 어떤 평판을 얻어 왔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물에 빠진 동료를 구하려고 11명이 강물에 뛰어들었다가 줄줄이 익사할 위기에 빠진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MB 정부 출범 후 인권위에는 바람 잘 날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년 전 인권위의 조직 축소를 비판하며 안경환 전임 위원장이 도중에 물러났고, 문경란·유남영·조국 등 세명의 인권위원이 인권위의 권력 눈치 보기를 비판하며 줄줄이 사퇴했다. 뒤이어 인권위 전문·자문·상담위원들의 사퇴와 전직 인권위원, 전직 인권위 직원, 600여 시민단체, 300여명의 법학자·변호사 등의 항의성명이 잇따랐고 급기야 인권상 수상자들이 수상을 거부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번 사건은 처리 결과에 따라 MB 정부 출범 후 거듭해 온 인권위의 추락사에 마지막 ‘한 점’을 찍을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며 인권위를 떠받쳐 온 현장 조사 실무자들을 상대로 인권위원장이 ‘전쟁’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조금 심하게 말하면 현병철 위원장의 ‘임무’가 인권위를 공중분해시키는 데 있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다.
MB 정부 임기 말까지 계속되고 있는 인권위의 수난을 지켜보노라면, 이명박 대통령이 정권 재창출 의지를 접은 것은 ‘거의 확실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도무지 민심을 얻으려는 ‘시늉’이라도 내고 있는지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권력의 재생산은 무엇보다 민심을 얻으려는 노력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민심의 경고를 들으면 해오던 정책도 ‘궤도 수정’을 하는 게 정상이다.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참패를 해도, 4.27 재보선에서 중징계를 받아도, 7.4 전당대회에서 친이계가 몰락을 해도, ‘흔들리지 않고 국정수행을 하겠다’고 다짐한다.
‘민심’을 따르기보다 자신의 ‘뚝심’을 더 믿는 것을 리더십으로 오판하지 않고는 있을 수 없는 행동이다. 민심을 하늘처럼 떠받드는 ‘민주주의 철학’이 없는 지도자임을 확인하고도 선거 때만 ‘잠시’ 주인이 되는 노예의 처지를 곱씹지 않을 국민은 없다.

대통령이 내건 ‘친서민’ 구호도 애초 민심을 얻으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문제는 바로 그 친서민의 핵심에 인권이 있음을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인권을 일컬어 가장 많은 신자를 거느린 일종의 ‘세속종교’라 부르는 것은 인권에 대한 보편적 믿음과 인권이 수행하는 권익보호 역할이 그만큼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인권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호받아야 하는 계층이 바로 국가의 도움이 없이 자력으로는 차별에 맞서 싸워 이길 수 없는 사회적 약자인 서민들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인권위의 몰락은 곧 친서민 정책의 포기이며 정권양도선언이나 마찬가지다. 오죽하면 여당 의원인 정두언 의원이 대통령의 정권 재창출 의지가 의심스럽다고 했겠는가?
인권을 적으로 삼는 정권이 결코 성공할 수는 없다. MB 정부가 남은 임기나마 국민의 고통을 헤아리고 민심을 얻으려고 한다면 현병철 위원장부터 교체하고 인권위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데서 시작하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

< 갈상돈 고려대 학문소통연구회 연구교수·정치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