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t와 Mortgage 실익비교

● Biz 칼럼 2015. 5. 29. 16:32 Posted by SisaHan

“주거비 기준 모기지쪽이 원금상환액 만큼 유리”

지난 주는 수은주가 급강하하더니 이번주는 또 급상승하는 이변이 생기는 군요.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주 수요일(5월 27일)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일입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예측에 따르면 지난 1월에 하향조정했던 금리(0.75%)를 그대로 유지할 전망입니다. 미국쪽도 당분간 금리 인상을 예상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변동금리 주택모기지를 가지고 계신 고객분들에게는 다소 위로가 될 소식입니다. 왜냐하면 은행 Prime Rate에 연동되어 진 변동금리 모기지 이자율에도 변동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모기지 이자율은 아직은 고정금리 보다는 변동금리가 싸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기간 현행금리가 유지되다고 볼 때 변동금리가 유리해 보이는 군요.


그러면 주택을 구입하려는 실수요자 입장에서 주택구입이 Rent와 비교하여 경제적인 면에서 얼마나 유리한지 궁금해 하시는 고객분들을 위하여 한번 계산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양쪽의 조건은, 월 Rent비 상당액으로 주택유지비를 감당하는것으로 가정하고 모기지 계약기간 초기5년간만 계산해 보기로 합니다. 또 각종비용은 지역,사용용량,주택의 형태에 따라 다를수 있고, 수선유지비는 감안하지 않는 것으로 해 봅니다.
그 경우 Rent비와 동일한 금액인 $1,800범위 내에서 주택모기지, 재산세, 냉난방비, 전기 가스 수도료를 포함한 주택유지비를 지출한다고 가정하면, Rent의 경우 모기지와 재산세, 냉난방비, 전기수도 가스 등 비용이 들지 않아 월 $1,800$로 그칩니다.


반면 주택을 구입하면 32만$의 모기지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이 나옵니다. 이 때 모기지는 $551.74, 재산세 $200, 냉반방비 $100, 전기수도가스 $100등의 월간 평균 비용을 예상하면 총 $951.74의 비용이 들어, 계산상으로는 $848.26만큼 유리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결국 상환기간 25년 기준 주택모기지 32만$을 계약기간 5년의 변동 이자율 2.25% 로 얻었을 때 원리금 상환액이 $1,393.96인데 이중 이자부분 $551.74는 비용으로 없어지지만 원금상환액 $842.22만큼씩 원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원금상환액 만큼씩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금리는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현행 금리체제 하에서는 유리하지만 금리 변동폭이 커질 경우에는 불리해 질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야 하겠습니다.


고객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참고로 현행 모기지 최저이자율을 알려 드립니다.
●3년변동 Closed: P-0.80%, 2.05% ●5년변동 Closed: P-0.85%, 2.0% ● Line of Credit Open: P+0.25%, 3.10% ●1년고정 Closed: 2.59% ●2년고정 Closed: 2.19%, ●3년고정 Closed: 2.15%, ●4년고정 Closed: 2.54%, ●5년고정 Closed: 2.44%.
(*위 금리는 May 25, 2015 현재 각 금융기관의 Special 이자율로 언제든지 예고없이 변경될수 있습니다)
모기지 금리나 각종 융자신청과 관련해 궁금하거나 상담이 필요하시면 모기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진화영 - 모기지 에이전트, Atlantic(HS) Financial >
모기지 상담 및 문의: 647-688-8593, hyjin916@yahoo.ca



[한마당] 왜 그들에게는 묻지않나?

● 칼럼 2015. 5. 29. 16:31 Posted by SisaHan

전선의 지휘관은 적의 포성이 들리지 않으면 잠을 이루지 못한다. 불확실하고 위험한 상황이 되면 우연과 도박에 운명을 걸어야 하는 군 지휘관의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이야기다.
군사사상가 클라우제비츠는 이를 ‘전장의 안개와 마찰’이라고 했다. 전쟁터에서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인간을 상대로 하는 전쟁이 동물을 상대로 하는 사냥과 다른 것은 그 불확실성과 높은 위험에 있다. 역설적으로 이 점이 전쟁에 대해 어설픈 민간인보다 군인이 더 신중해지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전쟁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민간인들은 전쟁을 마치 사냥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문제로 생각한다. 조지 부시 대통령과 럼스펠드 국방장관이 불과 13만명의 병력으로 이라크를 침공하려고 했을 때 미국의 대다수 정통 군사지도자들은 이를 극력 반대했다. 그 여파로 에릭 신세키 육군 대장이 경질되었다.
선조 임금과 권율 도원수가 부산에 있는 왜군을 치라고 했을 때 이순신은 이를 극력 반대했다. 그 여파로 이순신은 봉고파직되고 고문을 받았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군인이 전쟁광이고 호전적이라는 고정관념은 맞지 않는다. 통찰력이 있는 군인이라면 호전적인 민간인 대통령이 적보다 더 무서운 법이다.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부 7년을 되돌아보면 마치 북한을 사냥하듯이 다루고 싶어하는 어설픈 안보논리가 지배한 시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말로 이상한 것은 군대 갈 나이만 되면 이상한 병을 앓아서 그 핑계로 병역을 면제받은 사람들이 북한에 강압적인 군사논리를 앞서서 전파해왔다는 점이다.
군에 대해서는 털끝만치도 모르는 대통령, 국무총리, 여당 대표, 국정원장, 비서실장, 안보전략비서관 등등 이제는 일일이 수를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게다가 면제 사유를 보면 폐결핵, 하악관절염(턱뼈관절염), 수핵탈출증(허리디스크), 근시, 만성담마진(만성두드러기) 등 청와대와 정부·여당은 내과, 안과, 외과 종합병동이라고 불러도 될 허약체질 집단이다. 이런 약골들이 어떻게 국정을 이끌었는지 이해하기도 어렵지만, 아예 대놓고 고의로 징병검사를 연기하여 고령으로 면제되거나 석사장교로 단 하루만 군생활을 한 여러 여당 실세들 사연을 보면 정신이 아찔해진다.


그나마 군대생활 했다는 한 국무총리는 장교로 재직하는 동안에 석사학위를 마친 ‘꽃보직’이었다. 권력 실세들 중에 의병 전역자, 심지어 의가사 제대자도 부지기수다. 국내 정치에서 야당에 대한 종북몰이를 주도하고 북한에 강압적인 군사정책을 주장한 이들이 주로 이런 병역 특혜자들이라는 사실은 뭘 의미하는 걸까?
남들 고생할 때 빠른 출세 길을 먼저 찾아간 용의주도함을 보이면서도 전쟁과 군대의 본질에 대한 감수성이 빈곤한 집단문화, 안보로 장사하는 그들이야말로 국가안보를 동물 사냥처럼 인식한다는 이야기다. 그렇지 않다면 군대생활 제대로 한 국무총리 한 명을 탄생시키는 게 이렇게 어렵지는 않았을 것이다.
가수 유승준이 병역 기피로 국내에서 매장되었다가 이제 와서 귀국하겠다고 하니까 여론이 난리다. 병무청은 유씨 주장의 허구성을 들춰내며 괘씸죄를 묻고 있다.


그렇다면 같은 잣대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에게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유승준은 안 되는데 왜 황교안은 되느냐는 의문에 답을 듣고자 한다. 대부분 완치가 되는 만성두드러기가 왜 황교안에게는 불가능했는지, 그런 중증 환자가 어떻게 사법시험을 보고 출세가도를 달린 것인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이런 허약체질들이 국정을 이끌면 국방이 괜찮겠느냐는 더 절박한 의문에도 답이 필요하다. 이런 답을 하지 않고 또 무슨 국가안보와 공안을 말할 것인가?
< 김종대 -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 >



밀알교회에서 KODIA 기독학부모 세미나를 인도하는 이학준 박사.


이학준 박사 기독학부모 리더쉽 강연
“설리반·히딩크 같은 부모들 되어야”

북미 한인기독교교육연구소 (KODIA: Korean Diaspora Christian Education Institute: 소장 노승환 밀알교회 담임목사)가 마련한 ‘이민사회에서 자녀를 키우는 기독학부모 리더쉽’세미나와 사역자들을 위한 청소년교재 출간기념 교재활용 세미나가 5월23일 오전과 오후 밀알교회에서 풀러신학교 교수이며 KODIA 자문위원인 이학준 박사를 강사로 열렸다.
이날 학부모 세미나에서 이학준 박사는 “자녀들은 누구 손에 의해 교육되어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설리반 선생이 지도한 헬렌 켈러, 히딩크를 만난 박지성이 빛을 발했듯이 부모들은 하나님이 기독학부모로 부르신 소명을 깨닫고 하나님 손에 붙잡혀 신앙을 업그레이드 하면서 설리반과 히팅크 같은 부모가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하나님은 가장 중요한 삶의 자리인 가정에서 기독학부모들이 참된 리더쉽을 발휘하기를 원하시며, 그 리더쉽은 가정의 신앙과 자녀의 믿음생활을 위해 새로운 삶의 방식, 즉 신앙의 문화를 창조해가는 것이고, 이는 하나님의 성품과 은총을 닮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기독학부모 리더쉽은 반드시 교회와 파트너쉽을 통해 온전히 세워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박사는 이어 “기독학부모 리더쉽 회복을 위해서는 일상 속에서 창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자녀의 열정(Passion)을 찾고 존중해 주며, 공적 정신 즉 도덕과 질서를 지키며 이웃을 위해 사는 공익의 정신을 키워주고, 청소년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이민교회 Korean Canadian Christian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문화적인 이해와 통합으로 인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기독학부모 리더쉽을 세워나가는 요령으로 △자녀와 깊은 대화를 나눌 공간과 시간을 마련하고, △강의가 아닌 듣고 질문하는 훈련, △의미있는 대화를 위한 옳은 수단 강구, △민감한 주제의 대화 피하지 않기, △자녀가 대화를 원치않으면 이벤트 활용 등 창조적이 되라, △신앙을 공유하고 다른 기독학부모들에게 조언 구하기, △‘의심’과 ‘고민’에 대해 이야기 하며, △대화할 수 있는 정기적 의식(Rituals) 만들기 등을 실천해 보라고 권했다.
이어 오후에 열린 청소년교재 2년차 출간 기념 ‘Living Between, Living Together 교재활용 세미나’는 청소년부 담당 교사와 목회자, 사역자 등을 대상으로 이 박사가 교재를 활용한 교회교육의 방향과 실제에 대한 폭넓은 조언을 들려주었다.
이 박사는 미국 기독교연구소 G2G 소장으로 차세대교육을 연구하면서 KODIA와 함께 교재 ‘Living Between’ 및 ‘Living Together’와 학부모교재 ‘사다리가 되어주는 부모’의 편집책임을 맡아 출간을 도왔다.


한편 “이같은 신앙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작업은 이민교회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역사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KODIA 소장 노승환 목사는 이번에 발간된 ‘Living Together’ 교재에 대해 “지난 해 발간된 ‘Living Between’에 이어 청소년 주일학교용 2년차 교재로, 건강한 신학적 배경과 사회학, 교육학, 심리학 등 다른 여러 학문적 연구를 통합해 만들어졌고 우리 자녀들에게 익숙한 미디어 자료들도 많이 활용하였다.”고 소개하고 “무엇보다 이 교재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Text)이 우리 자녀들의 독특한 삶의 정황(Context)과 만날 것이며, 우리 자녀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자신에게 오늘 내 삶의 자리에서 주시는 말씀으로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청소년 및 학부모 교재는 KODIA에 연락하면 구할 수 있다.


< 문의: 416-226-5308, www.kodiaedu.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