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민 노회장 앞에서 선서하는 (왼쪽부터) 여태동·최종식·김성민 목사.


KPCA 동노회 목사 임직식… “자기목회도 중시”권면

해외한인장로회(KPCA) 캐나다 동노회(노회장 고영민 이글스필드 한인교회 담임목사)는 3월10일 주일 오후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제62회 정기노회 속회를 열어 여태동(영락교회 한어권 중등부), 최종식(참좋은 복된교회 교육부), 김성민(큰빛교회 다운타운, 한어권 중고등부) 전도사의 목사 임직예배를 드렸다.
고영민 노회장의 속회선포로 시작된 예배는 노회서기인 석대호 목사(옥빌 한인교회 담임) 인도로 부노회장 고승록 목사(참좋은 복된교회 담임)의 기도와 영락교회 호산나성가대 찬양에 이어 노회장 고영민 목사가 말씀을 전했다.
 
고 목사는 ‘자기를 목회하라’(엡 5: 28~30)는 제목의 설교에서 “최근 지역에서 목사안수가 남발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문을 연 뒤 “집사나 권사가 어느 날 갑자기 목사가 되는 사례나 신학교 난립 등은 교회와 기독교전체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일로, 의사나 변호사가 통신교육으로 될 수 없듯이 목사도 무분별하게 안수를 주는 것은 안 될 일이며 성직자는 뼈아픈 자기 성찰 및 더욱 엄격한 훈련과 과정을 거쳐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 “우리 노회가 엄중하게 안수하는 전통이 이어지며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 기독교 위상을 높여나가게 되기를 축원한다”고 밝혔다.
고 목사는 이어 임직자들에게 “목회를 교회목회와 자기목회(Self Ministry)로 나눌 때 흔히 교회 쪽에만 신경을 쓰고 자기목회에 소홀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 “목회는 일종의 사람 비즈니스이며, 목회현장의 문제들은 자신이 사람임을 잊는 데서 생겨나는 경우가 많아 어떤 의미에서 교회목회 보다 자신의 육제적·정서적·영적인 것을 잘 돌보고 자신을 사랑하며 보양하는 자기목회가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고 목사는 또 “아내(남편)사랑이 곧 자기사랑인 만큼 하나님과 아내(남편)을 잘 섬기고 거기서 나오는 힘으로 교회와 사회를 섬겨 나가자”고 임직자와 성도들에게 도전을 주었다.
 
이어 임직식은 안수대상자 3인 소개와 서약, 안수, 선포 및 각 교회 담임목사들이 성의를 증정하고 기념패를 수여한 뒤 큰빛교회 윤병준·영락교회 중고등부 찬양팀이 각각 축가를 불렀다. 
직전노회장 이요환 목사(염광교회 담임)는 축사와 권면을 통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목회자로 사명을 다하여 충성된 종이라는 칭찬을 받으라고 당부했다. 예배는 여태동 목사의 축도로 마치고 고영민 노회장은 정기노회 폐회를 선포했다.
< 문의: 905-842-0938 >


교협 확인 방북단은 국경폐쇄로 일정 미뤄

온타리오 한인교회협의회(회장 임현수 큰빛교회 담임목사)와 토론토 한인회(회장 이진수)가 작년 12월부터 지난 1월말까지 공동으로 전개해 모금한 ‘북한 고아 2만명 돕기(동복보내기)’ 성금으로 만든 동복이 북한 주요지역의 고아원에 전달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현지 배포상황을 확인하려던 임현수 목사 등 교협 방북단은 최근의 북한 핵문제로 인한 긴장심화로 국경이 폐쇄됨에 따라 중국 심양에서 대기하다 입북하지 못하고 일정을 미뤄 추후 확인키로 한 뒤 지난 9일 돌아왔다.
 
교협 임현수 회장은 11일 “이번 방문은 처음부터 어려움이 예상되긴 했지만 (유엔 제재 등으로 인한) 북한 내 정치적인 상황 때문에 외부인 입국이 전면 금지돼 들어가지 못하고 일정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그러나 ”고아들에게 전하는 동복은 원단을 구입해 보냈었고, 제조가 끝나 이미 해주와 원산 등 고아원에 2월까지 대부분 전달됐으며 분량이 워낙 많아 일부만 홀딩상태“라면서 ”상황이 풀리면 곧 들어가 전하고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교협과 한인회의 북한 고아돕기 모금운동에는 총24만 7,128달러가 답지했다.

< 문의: 647-209-2500 >

 

Ken Raymer 목사에게서 교단 회원증을 전달받은 김석재 목사.


“영혼구원 사명에 충실한 교회로”

순복음 영성교회(담임 김석재 목사: #1-1Westside Dr. Etobicoke. M9C 1B2)가 캐나다 오순절 교단(The Penticostal Assemblies of Canada: PAOC) 가입 기념예배를 10일 주일 저녁 많은 성도들과 PAOC South east regional director인 Tom Quinn 목사를 비롯한 임원, 임성찬 목사(부활의 교회 담임) 등 한인교회 목회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드렸다.
 
김주엽 전도사가 인도한 찬양으로 시작된 예배는, 강삼구 장로 기도와 김소희 집사 특송에 이어 Tom Quinn 목사가 ‘The Mission of Christ’(눅 19:1~10, 그리스도의 사명)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Tom Quinn목사는 “예수님이 먼 길을 돌아 예루살렘에 가시면서 도둑처럼 나쁜 세리였던 삭개오를 찾으신 것은 잃어버린 영혼을 구원하러 오셨음을 말씀해 주는 것이며, 교회의 핵심사명도 영혼구원”이라고 강조하고 “교회들이 좋은 건물을 지으면서 본질과 멀어져가는 이 시대에 PAOC 가족이 된 순복음영성교회가 영혼구원의 사명에 충실한 교회가 되기 바란다”고 축원했다.
 
환영사에서 PAOC 임원(Secretary-Treasurer) Ken Raymer 목사는 “PA OC의 Sou th east지역은 315개 교회에 교인수가 6만8천명에 이른다”고 소개,“가입을 환영하고 축하한다”면서 Lorrie Gibbons 지역회장을 대신해 교단회원증을 김석재 목사에게 전달했다. Sectional Pastor인 Isaac Takyi DeGraft목사는 “서울에서 본 기도운동 보다 더 뜨거운 교회가 가족이 되어 기쁘다”며 “PAOC에서 함께 영혼구원과 교회비전을 이루자”고 축하했다. 또 한인은퇴목사회 김용출 회장은 “뜨거운 교회가 뜨거운 교단에 가입하고 연합하게 됨을 축하한다”고 전했다.
이어 김석재 목사에 대한 PAOC의 안수식이 열려 Tom Quinn목사․임성찬 목사의 집례로 김 목사의 서약과 안수 및 기름부음을 통해 교단 목회자로 인정하고 충성된 섬김을 다짐하는 순서가 진행됐다.
 
인사말에서 김석재 목사는 “그동안 유일의 성령사역을 하는 교회로 핍박과 수모도 겪으며 힘든 시간이었으나 하나님이 인정하시고 역사하셔서, 5월 한국 순복음총회 때 전세계에 알릴 사례로 삼겠다는 연락이 왔고, 또 PAOC도 가입하게 되어 이제 두 날개를 달게 됐다“면서 ”영혼구원의 오순절적인 교회로 사명 완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예배는 심상대 목사(부활의 교회 원로)의 축도로 마쳤다.
< 문의: 416-414-9191 >

 
우리 가족은 나의 목회지를 따라 2000년에 미국을 떠나 캐나다 토론토에 정착했다. 그 당시 미국 영주권을 유지하려고 했다면 그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양쪽 나라가 이중국적을 합법적으로 인정할 뿐만 아니라 그 당시에는 911사태가 일어나가 전이어서 미국과 캐나다 국경을 출입할 때에 출입국 기록을 남기지 않고, 통과시키는 때였으므로 우리 가족은 비록 캐나다에 살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미국에 살고있는 신분이었다.
그렇게 한 2년 살다가 그 후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여 받으면 그 다음엔 세계 어디에 나가 살든지 미국 시민권자로 평생 살 수 있었고, 은퇴 이후에는 캐나다와 미국 두 나라에서 주는 사회복지 혜택과 연금을 받으면서 여생을 편히 살 수도 있을 것 같았다. 게다가 우리 아이들을 생각하면 그들이 장래 영어 하나로 말이 다 통하는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살 수 있는 두 나라의 합법적인 지위를 물려줄 수 있는 것이어서 어렵게 얻은 미국 영주권을 가능하면 아이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런데 이것을 심각하게 어려운 일로 만드는 것은 법적인 장애보다는 진실성에 대한 양심이었다. 한번은 아이들과 함께 미니밴을 운전하여 미국으로 들어가는데 미국 관리가 간단한 질문을 내게 했다. “어디에 다녀옵니까?” “며칠 있다가 옵니까?” “거기선 무슨 일을 했습니까?” 나는 영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대답을 하였다. “예, 토론토에 다녀옵니다.” “기간은 일주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캐나다 방문 목적은 여행이었습니다.”
물론 그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우리 아이들도 우리가 이미 캘리포니아를 떠나 이곳 캐나다 토론토에 이사 와서 살고 있음을 다 알고 있었다. 나는 목사로서 양심의 가책을 느꼈고, 부모로서 자식들 앞에 못할 짓을 한다고 생각되었다. 결혼 후 첫 아들을 얻고, 이름 짓느라 무척 고심한 끝에 ‘바름’이라고 지었다. 나나 아들이나 그 이름을 부르고 들을 때마다 하나님과 사람 앞에 바르게 살자는 뜻에서 였다. 그런 내가 그까짓 미국 영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잠시나마 거짓말 했던 것이 매우 부끄럽게 느껴졌다.
 
그래서 아이들을 불러 모으고 내 결심을 설명하였다. “얘들아! 아빠가 많이 잘못했다. 그 까짓 미국 영주권을 유지하려고 거짓말을 했구나. 아빠는 거짓말하면서 너희에게 영주권을 물려주느니 차라리 영주권은 없어도 진실을 물려주고 싶구나. 그래서 미국 영주권을 포기하기로 했단다. 너희들도 그리 알았으면 좋겠다.”
그 후 한국 신문에서는 임신부들이 미국에 와서 아이들을 낳고 아이들에게 미국 시민권을 물려주는 젊은 부모들의 원정출산이 많이 보도되었다. 그러나 나는 지금도 미국 영주권을 포기한 일을 후회하지 않는다. 20년 전 영어도 할 줄 모르고, 돈도 가진 것 없이 아이들 셋 데리고 미국에 건너와 지금까지 공부하고, 목회하고, 아이들 키우면서 오직 하나님 은혜로 잘 살아왔다. 거기 비하면 우리 아이들은 여기서 자라 영어도 잘 하고, 이곳 문화에도 익숙하지 않는가? 그들에게 앞으로 미국 영주권이 필요하다면 하나님은 어떤 방법으로든 그들에게 주실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 임수택 목사 - 갈릴리 장로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