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빛 돌며 2~3년 더 숙성된 깊은 맛…“아름다워” 절로 나오는 감탄

타닌이 부드럽고 꽃향기도 더 많이 나…“기후변화에도 잘 자라는 식물 연구할 것”

 

 

"음, 아름답네요. 지구에서 숙성된 와인과는 맛, 향, 색깔 모두 확실히 다릅니다."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 1년간 숙성된 프랑스 보르도의 레드 와인을 맛본 연구진들이 감탄사를 연발했다. 와인의 숙성 정도도 지구에서보다 더 빠르게 이뤄져 깊은 맛을 낸다는 평가도 나왔다.

25일 영국 인디펜던트, 미국 CNN 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프랑스의 보르도에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주에서 가져온 프랑스 메를로 품종의 '샤토 페트루스' 와인과 지구에서 보관해온 같은 제품을 놓고 블라인드 테스트가 벌어졌다.

이는 세계 최초로 무중력의 우주에서 1년가량 숙성한 와인의 맛은 어떤지 확인하는 자리였다.

앞서 룩셈부르크 스타트업 '스페이스 카고 언리미티드'는 2019년 11월 농업 연구를 목적으로 민간 우주탐사업체 스페이스X의 화물선 '카고 드래건'에 와인 12병을 실어 보낸 후 14개월만인 지난 1월 14일 지구로 가져왔다. 와인들은 438일 19시간 동안 지구 궤도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무중력 상태로숙성됐으며, 우주에서 약 3억㎞를 이동했다. '우주 와인'과 지구에서 숙성된 같은 종류의 와인을 2개의 잔에 따라 맛을 본 전문가들은 우주 와인에 대해 "밝은 벽돌색이다", "루비색도 띤다", "가장자리는 약간의 갈색빛이 도는 붉은 벽돌색이 드러나고 옅은 분홍빛도 보인다"는 등 평가를 하였다.

와인 전문가 제인 앤슨은 "우주 와인의 중심부 색깔은 뚜렷하지만, 가장자리는 벽돌색을 띤다. 지구의 와인보다 조금 더 숙성됐고, 타닌이 더 부드럽다. 꽃향기가 좀 더 나는 경향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 와인'은 숙성 기간이 2∼3년 더 지난 것처럼 느껴진다면서 "만약 오늘 밤 당장 와인을 먹어야 한다면 우주 와인이 좀 더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와인 판매업자는 "숙성 기간에서 확실히 차이가 난다. 두 와인 중 하나는 확실히 더 진한 색깔과 향을 띤다"고 말했다.

니콜라스 곰 스페이스 카고 최고경영자(CEO)는 "우주 와인은 색깔도 다르지만 맛도 독특하다. 좀 더 숙성된 지구의 와인 같긴 하지만 그래도 다른 맛이 난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이끄는 필리프 데리어트는 "우주에서 와인 숙성은 지구와 다른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어떤 요소가 향과 맛, 침전물, 기포에 영향을 미쳤고 다르게 만들었는지 알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를 위해 우주에서 가져온 나머지 11병의 와인과 포도 줄기 320개를 연구소로 보내 분석할 예정이다.

곰 CEO는 이와 관련 "식물들이 기후변화와 중력의 영향 없이 잘 자라도록 자연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것"이라면서 "유기농이면서 건강한 미래 농업을 펼쳐나갈 수 있는 해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미얀마를 위해 밝힌 대학가 촛불

● COREA 2021. 3. 27. 09:33 Posted by SisaHan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미얀마 시민들에 대한 군부 쿠데타 정권의 탄압이 극에 이르고 있다. 지난달 19일 경찰의 총격으로 첫 희생자가 발생한 이래 300여명에 이르는 시민이 목숨을 잃었고, 급기야 집에서 아버지 품에 안겨 있던 7살 어린이가 총에 맞아 숨지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지난 24일 저녁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 로욜라 동산에서 미얀마의 민주화와 평화를 위한 기도회가 열렸다. 미얀마 청년 세명과 서강대 재학생이 함께한 이 기도회에서 김상용 서강대 교목처장과 참석자들은 쿠데타에 항거하다 희생당한 미얀마 시민들을 추모하고, 군경의 폭력 중지와 불법 구금자 석방을 촉구했다.

‘80년 광주’와 닮은꼴인 미얀마 민주화 투쟁에 함께하려는 이들은 재한 미얀마인과 30여개 한국 시민단체가 만든 ‘미얀마 민주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지와 후원에 동참할 수 있다. ‘해외주민운동연대’(KOCO)에 민주화 지지 영상을 전자우편으로 보내면 미얀마어로 번역해서 미얀마 시민에게 전달해준다.

지난 17일 이후 미얀마에서는 친군부 매체를 제외한 모든 매체가 폐간되었다. 그럼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취재와 보도를 이어가는 ‘미얀마 나우’에 직접 후원할 수도 있다. 영구집권을 위한 군부 쿠데타 정권의 총칼에 맞서 목숨 걸고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오늘의 광주’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해야 할 일이 있다. 장철규 기자

영국기관 4곳 개인 9명…위구르족 인권 문제 조사 기관과 관련인들

 

25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위구르족들이 중국 정부에 반대하는 팻말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이스탄불/EPA 연합뉴스

 

중국이 서부 신장 지역의 위구르족 인권 문제와 관련해 영국의 기관과 개인을 제재했다.

중국 외교부는 26일 성명에서 영국의 기관 4곳과 개인 9명을 제재했다며 이들과 그 가족이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에 입국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중국 국민과 기구가 이들과 거래하는 것도 금지했다.

차이나 리서치 그룹, 보수당 인권위원회, 위구르 조사위원회, 에섹스 코트 체임버스 등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조사하는 기관들과 관련된 개인들이다.

이번 제재 조처는 영국이 지난 22일 유럽연합(EU), 미국, 캐나다 등과 함께 신장 지역 인권 탄압을 이유로 대중국 제재를 한 데 대한 보복으로 이뤄졌다. 앞서 중 외교부는 22일 당일 유럽연합 기관 4곳과 개인 10명에 대해 제재 조처를 했다.

중 외교부는 영국이 신장과 관련된 거짓말과 잘못된 정보로 중국 개인과 기관을 제재했으며,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했다고 비판했다. 중 외교부는 또 중국 주재 영국 대사를 초치해 엄중 항의했다고 밝혔다. 중 외교부는 “중국은 국가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려는 결심이 확고부동하다”며 “영국이 잘못된 길을 계속 가지 않을 것을 경고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추가로 단호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민간 부분도 지난 22일 서구권 국가들의 중국 제재 이후 각종 서구 브랜드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중국 게임회사 텐센트는 자사 모바일 게임인 ‘왕자영요’에서 영국 패션기업 버버리와 협업해 내놨던 의상(스킨)을 제거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의류업체인 ‘에이치앤엠’(H&M)과 아디다스, 나이키, 뉴밸런스, 유니클로 등 신장 강제노역 의혹과 관련해 우려를 표명했거나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도 불매운동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기업들의 우려 표명 등이 이뤄진 지난해에는 별다른 논란이 되지 않았지만, 이번 국가간 제재를 계기로 다시 불똥이 튄 것이다. 최현준 기자

 

북한 미사일 발사 성명에  ‘동해’ 표기

일본 “일본해다” 요구에 미국 쪽 정정

 

동해/일본해 병기를 주장하고 있는 한국 정부의 홍보 자료 <동해>(2014)

 

미군 인도·태평양사령부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성명에서 ‘동해’로 표기한 것을 ‘일본해’ 등으로 표기했어야 했다며 정정했다고 <교도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지난 25일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후에 낸 성명에서 “우리는 동해상(the East Sea)으로 발사된 북한 미사일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해당 수역을 ‘동해’로 표기했다.이에 대해 사카이 마나부 일본 관방부장관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일본해(the Sea of Japan)가 국제적으로 확립된 유일한 호칭이라는 것이 우리나라(일본) 입장”이라며 미국 정부에 일본의 입장을 전달해 정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동해’ 표기와 관련해 일본의 요구를 받아들여 “‘일본해’ 또는 ‘한반도 동쪽 바다’로 표기했어야 했다”며 정정문을 발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김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