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이 10일 기준금리를 현행 0.25%로 유지키로 했다고 밝혔다.
캐나다은행은 이날 정례 금리정책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경제 부양 대책을 지속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캐나다은행은 성명에서 경제가 회복하고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유지할 때까지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성명은 올해 1분기 성장이 당초 예상보다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소비자와 기업이 경제 봉쇄와 규제에 적응하면서 경제 복원력이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상 밖으로 활발한 주택시장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성명은 그러나 코로나19 추이의 불확실성이 장기 전망에 부정적이라고 경고하고 지난해 큰 타격을 입은 노동시장의 회복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다고 예시했다. 특히 전파력이 더 강한 변이 코로나19가 경제 회복에 최대 위험 요소라며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이 성장의 발목을 잡고 회복의 걸림돌을 누적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캐나다은행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해 3월 세 차례나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파격적 조치로 기준 금리를 0.25%까지 내린 이후 이를 1년 가까이 유지해 왔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에스엔에스(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경남 양산에 마련 중인 사저에 대한 야당의 공격을 “좀스럽다”는 표현을 동원해 강하게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 등에 “선거 시기라 이해하지만, 그 정도 하시지요. 좀스럽고, 민망한 일입니다. 대통령 돈으로 땅을 사서 건축하지만, 경호 시설과 결합되기 때문에 대통령은 살기만 할 뿐 처분할 수도 없는 땅이지요”라고 글을 올렸다. 이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 사저를 보면 알 수 있지 않나요? 모든 절차는 법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라고 적었다. ‘좀스럽고 민망한 일’이란 표현 등을 사용해 야당의 사저 공격에 대한 부당함과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민의힘은 이날 논평을 통해 ‘대통령 사저 부지의 농지를 원상복구해 농민에게 돌려주라’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 사저 부지는 양산시가 농지 전용 허가를 내준 것이라는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를 토대로 한 논평이었다. 국민의힘 쪽은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엘에이치) 직원들이 3기 새도시 건설이 예정된 농지를 내부정보를 이용해 구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문 대통령이 농지를 활용해 사저를 짓는 것을 문제 삼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해 6월 문 대통령이 퇴임 뒤에는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에 사저를 새로 마련해 지낼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원래 있는 양산시 매곡동 사저는 경호 시설 신축이 어려워 퇴임 뒤 거주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게 청와대 쪽 설명이다. 문 대통령 사비로 매입한 사저 부지는 2630.5㎡(795.6평) 규모다. 이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