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가 전 세계인에게 물어봤더니 응답 1만5038명 중 67%가 1순위로 꼽아 폭력과 분쟁, 차별과 불평등도 우려
시리아·세네갈 출신 작가 사피 사르의 ‘파도에 둘러싸인 섬’. 유네스코 제공
유네스코가 지난해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2030년 지구가 직면할 네 가지 큰 도전을 물어봤다. 응답자의 67%인 1만여명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상실’이라는 답변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답변은 세계 모든 지역에서 인종, 나이 등 인구학적 배경과 무관하게 가장 높게 나왔다.
유네스코는 최근 이런 내용의 ‘2030년의 세계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설문은 지난해 5월28일부터 9월17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돼 1만5038명이 참여했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상실을 가장 큰 도전으로 꼽은 응답자(1만145명)들은 늘어나는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 해양 오염과 해수면 상승, 그에 따른 분쟁 위험 등을 우려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녹색 에너지와 지속 가능한 경제를 위한 투자,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 효율적인 국제 협력 등을 앞세웠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상실 다음으로 2020년 평화로운 세계를 위한 길의 주요한 도전으로 지목된 것은 폭력과 분쟁(44%·6579명), 차별과 불평등(43%·6402명), 식량·물·주택 부족(42%·6280명), 건강과 질병(37%·5578명), 가짜 정보와 표현의 자유(32%·4850명) 순이었다. 이런 응답은 지역과 인구학적 구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과 소수 집단 응답자들이 두 번째 주요 도전으로 차별과 불평등을 꼽은 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원주민 공동체에서는 건강과 질병을 꼽았다.
지구 앞에 놓인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교육, 과학, 국제 협력 등이 우선 순위에 올랐다. 특히 교육은 11가지 도전 가운데 7개 도전에 대한 첫 번째 해결책으로 선택됐다. 특히 교육은 학습과 함께 코로나10 팬데믹 상황에서 가장 우선 재검토가 필요한 사회 영역으로 지목됐다.
유네스코 설문 조사에 응답한 사람들의 성별은 여성 63%, 남성 36%, 그밖의 성 1%이었다. 전체의 57%가 35살 이상이었다. 지역별로는 중남미 응답자 비율이 33%로 가장 높고, 서유럽과 북미 32%, 아시아·태평양권 18% 순이었다.
유네스코는 “이번 설문 조사는 세계 인구 구성을 고려한 표본 조사로 설계되지 않았지만, 스와힐리어와 줄루어 등 아프리카의 원주민 언어를 포함한 25개의 다른 언어로 번역해 다양한 응답자가 참여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김정수 기자
방송 중 눈찢기하는 이탈리아 TV 프로그램 진행자. ‘다이어트 프라다’ 인스타그램 갈무리. 연합뉴스
이탈리아의 유명 TV 프로그램 진행자가 방송에서 동양인을 비하하는 인종차별적 언행을 해 빈축을 사고 있다. 많은 시청자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 이 장면은 13일 밤(현지시간) 이탈리아 지상파 채널 '카날5'(Canal5)에서 방송된 시사 풍자 프로그램 '스트리샤 라 노티치아'(Striscia la notizia - '뉴스가 기어간다'라는 뜻)에서 나왔다.
남녀 진행자인 게리 스코티와 미셸 훈지커는 이탈리아 현지 공영방송 라이(RAI)의 중국 베이징 지국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양쪽 눈을 찢으며 'RAI'를 'LAI'로 어설프게 발음했다.
혀를 떨어 소리를 내는 'R'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동양인을 흉내 낸 것으로, 그동안 흔히 보아온 전형적인 동양인 비하 행태다. 당시 이 프로그램은 460만 명이 시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장면은 패션업계 내부 고발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유명한 '다이어트 프라다'(Diet Prada) 등을 통해 삽시간에 현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퍼지며 거센 논란을 불렀다. SNS에는 "부끄럽다", "불쾌하다" 등 비판적인 반응이 쏟아졌다. 비난 여론이 일자 여성 진행자인 미셸 훈지커는 1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통해 공개 사과했다. 그는 "누군가의 마음에 상처를 줬다면 매우 미안하게 생각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에 민감한 시점임을 깨닫는다. 이를 미처 고려하지 못한 것은 불찰"이라고 적었다.
스위스계 이탈리아인인 훈지커는 배우 겸 모델로 현지에서 비교적 지명도가 있는 인물이다.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트루사르디'(Trussardi) 회장인 토마소 트루사르디의 부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사회주의자당 하원의원을 지낸 게리 스코티와 훈지커가 평소 성 소수자(LGBTQ) 권리와 여권 신장에 앞장서 왔다는 점에서 두 사람이 보인 인종차별적 행태를 더 곱지 않게 보는 시각도 있다. 채널 카날5를 보유한 이탈리아 민영방송사 메디아셋(Mediaset)은 현지 정가의 '추문제조기'로 유명한 우파 정치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창업한 업체로, 지금도 그가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