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보도…미 정부 고위관리 "뉴욕 등 여러 채널 통해 시도"

내주 미 국무·국방장관 한일 순방 북미간 진전 계기 될지 주목

 

블링컨 미 국무장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2월 중순 이후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막후 접촉을 시도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3일(현지시간) 익명의 미 행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관리는 "2월 중순 이후 뉴욕(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을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 정부에 접촉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관리는 "현재까지 평양으로부터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는 아무런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 접근법과 관련, 포괄적인 정책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를 공개적으로 설명하는 데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지난 1월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북한의 핵 개발을 막지 못했다는 문제의식 속에 기존 정책을 다시 들여다보며 검토하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로이터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례 없는 관계를 맺었지만 핵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면서 바이든 정부 관리는 트럼프 말기를 포함해 미국이 여러 차례 관여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북미 간에 1년 넘게 활발한 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관리는 북한의 침묵이 앞으로 몇 주 안으로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고 로이터는 부연했다.

앞서 성 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대행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가 수주 내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미 대선이 끝나고 새 정권이 들어설 때 북한이 도발을 감행해온 전력이 있는 가운데 새로 출범한 바이든 정부의 대북 물밑 접촉 시도는 정책 검토 중에 북한의 도발로 인한 긴장 고조 가능성을 차단하고 대화 테이블로 유도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북한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8년 당선된 뒤 이듬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했으며 그가 재선했을 때는 한 달 뒤 로켓을 쏘아 올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 첫해인 2017년에도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긴장이 고조됐었다.

미국의 대북 접촉 시도 속에 다음 주 이뤄지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한국, 일본 방문이 동맹과의 조율 속에 향후 북미 관계 진전에 중요한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

김 차관보 대행은 전날 블링컨 장관의 순방을 언급하면서 "이는 동맹들이 우리의 과정에 고위급 조언을 제공하는 또 다른 훌륭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검토 내내 한국과 일본에 있는 동료들과 매우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며 "대북정책의 모든 중요한 측면을 검토하면서 그들의 조언을 확실히 포함시키고 싶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맹과 보조를 맞춰 대북 정책을 펼치겠다는 점을 재확인한 뒤 "(이번 순방은) 우리가 현재 진행 중인 대북 정책 검토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외교부 "미 북한 접촉시도 사전에 공유받아"

"한-미, 미국 대북정책 과정 긴밀 소통·공조"

 

외교부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난달 중순 이후 북한과 접촉을 시도했다는 외신 보도와 관련, "미국 측으로부터 관련 사항을 사전에 공유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한미는 미국의 대북정책 과정 전반에서 긴밀히 소통·공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외교 소식통은 "미국이 북한과 접촉·대화하려는 시도는 도널드 트럼프 전 정부 때도 있었던 미국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한미 간에는 충분한 수준의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미 행정부 고위 관리가 "2월 중순 이후 뉴욕(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을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 정부에 접촉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밝혔다고 13일 보도했다.

그러나 이 관리는 "현재까지 평양으로부터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는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접근법과 관련, 포괄적인 정책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를 공개적으로 설명하는 데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고 전했다.

지난 1월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전임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북한의 핵 개발을 막지 못했다는 문제의식 속에 기존 정책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특히 미국이 북한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한국, 일본 방문이 동맹과의 조율 속에 향후 북미 관계에서 중요한 계기가 될 가능성도 있다. 연합뉴스

해리 왕자 부인 마클의 ‘왕실 인종차별’ 폭로 관련
미 경찰에 목 눌려 숨진 흑인 플로이드 사건 빗대
2015년 이슬람 선지자 무함마드 풍자로 테러 당해

 

  엘리자베스 여왕이 해리 왕자의 부인 메간 마클의 목을 무릎으로 짓누르는 만평을 게재한 <샤를리 에브도> 최신호

 

프랑스의 만평 잡지 <샤를리 에브도>가 영국 왕실의 인종차별을 ‘미국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빗대 풍자하는 만평으로 또다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13일 발간된 <샤를리 에브도> 최근호는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이 해리 왕자의 부인인 메간 마클의 목을 무릎으로 짓누르는 모습의 만평(사진)을 게재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백인 경찰의 무릎에 목이 짓눌려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빗대, 메간을 둘러싼 영국 왕실의 스캔들을 풍자한 것이다.

이번 만평의 제목은 해리 왕자 부부가 왕실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한 결정을 뜻하는 ‘왜 메간이 그만뒀는가?’였다. 여왕에 의해 목이 짓눌린 메간은 ‘말풍선’에서 “왜냐하면 내가 더 이상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답하고 있다.

메간은 지난 7일 미국 <CBS>에서 방영한 오프라 윈프리와의 인터뷰에서 왕실과의 갈등을 폭로했다. 그 중에서 특히 왕실에서 (태어날) 아기의 피부색에 대해 왕실 구성원으로부터 우려스런 말을 듣는 등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내용이 큰 충격을 안겼다.

영국에서는 <샤를로 에브도> 만평에 대한 비난이 터져나왔다. 영국 인종평등 연구소인 ‘러니미드 트러스트’의 최고책임자인 핼리마 베굼은 트위터에서 “만평은 모든 측면에서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메간의 목을 압박하는 조지 플로이드의 살인자로서 여왕? 숨을 쉴 수 없다고 말하는 메간?”이라고 물으며 “이는 인종주의 (비판의) 경계를 확장해, 인종주의를 조소하거나 도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만평은 특히 여왕을 경멸적인 정도로 하얗게 그리고, 붉은 눈, 다리의 털까지 묘사해 영국 왕실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분노를 일으키고 있다고 <가디언> 등 영국 언론이 전했다.

<샤를리 에브도>는 지난 2015년 1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를 조롱하는 만평을 게재했고, 이에 격분한 이슬람주의 과격분자들이 잡지사를 공격해 12명이 사망하는 테러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사건은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다. 정의길 기자

 

토론토, 윈저-에섹스, 킹스턴을 비롯한 온타리오 각 지역의 약국들이 60~64세 이상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했다.

로블로스, 리얼캐나다 슈퍼스토어, 노 프릴스, 포티노스, 제르스 등 로블로스 소재 약국 160곳에 백신이 도착했다고 로블로스 컴퍼니(Loblaws Company)가 밝혔다.

약국에서 백신접종 개시 소식이 빠르게 전해지면서 시민들은 백신을 맞기 위해 현지 약국들로 몰려들었다.
토론토는 지난 3월10일 오후 4시부터 콕스웰 인근 댄포스(Danforth)에 있는 쇼퍼스 드러그 마트에서 워크인 예방접종이 시작됐다. 이 마트에서는 시민들이 저녁 시간까지 긴 줄을 서야 했다. 시민들은 댄포스와 콕스웰에서 백신주사를 맞기 위해 약 90분을 기다렸고, 몇몇은 다음 날인 3월 11일 오전 6시 30분쯤에 도착해 줄을 섰다.
쇼퍼스 드러그 마트는 백신이 있는 장소가 홈페이지에 나와 있고 예약 방법에 대한 안내정보도 나와 있다. 하지만 몇몇 시민들은 예약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프 레거 쇼퍼스 드러그마트 사장은 "캐나다 전역에는 약국이 1만 개 이상 있다. 지역사회 약국들은 매주 약 300만 명의 캐나다 시민들에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의 해리왕자와 아내 매건이 오프라 윈프리 쇼에 나와 인터뷰를 한 후, 해리부부의 영국내 인기가 전례 없이 급락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3월7일 방송된 인터뷰에서 매건은 자살하고 싶을 만큼 힘들었을 때 왕실에서 무시를 당했고, 밝혀지지 않은 한 가족 구성원이 자신의 아들 아치의 피부색이 얼마나 어두울지 물었다고 말했다. 엘리자베스 여왕의 손자인 해리도 부부가 공무에서 물러나기로 한 것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을 한탄했다.
이들 부부의 인터뷰는 1,000년 가까이 된 영국 왕실을 위기로 몰아넣었고, 유고브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리와 매건의 영국내 입지도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1,664명의 응답자 중 48%가 해리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45%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처음으로 부정적 반응이 앞섰다. 이는 일주일 전보다 15% 하락한 수치다.
매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10명 중 3명에 불과했고, 58%는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인터뷰 이후 실시된 다른 여론조사에서는 18세에서 24세 사이의 대다수 사람들은 해리와 매건을 좋아하고 65세 이상의 사람들은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등 세대간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리와 매건 외의 가족 중 유일하게 인기가 떨어진 사람은 해리 왕자의 부친이자 여왕의 후계자인 찰스 왕세자였다. 조사 결과 49%가 그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본 반면 42%는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는 80%의 호감을 받고 있는 엘리자베스 여왕과 응답자들의 4분의 3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윌리엄과 아내 케이트와 대조됐다.
영국에서 실시된 또 다른 여론조사에 의하면 전체 군주제에 대한 지지는 63%였고 선출된 국가 원수를 원하는 사람은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