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일부 진행 늦춰

소규모 시험 구체자료 공개 안돼 추가검증 필요

 

미국 제약회사인 일라이 릴리가 치매 관련 신약 임상시험 결과 신약 처방 그룹에서 치매 진행 속도가 느려졌다고 발표했다.

 

미국 제약회사인 일라이 릴리가 자신들이 개발 중인 실험적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신약이 치매 진행을 지연한다는 2상 임상시험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다만, 소규모 임상시험이고 자료가 완전히 공개되지 않은 한계가 있어 추가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뉴욕 타임스>11일 일라이 릴리가 자신들의 실험적인 치매 신약 도나네맙(donanemab)에 대해 272명을 상대로 진행한 2상 임상시험 결과, 신약을 처방받은 그룹이 사고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 같은 치매증상이 위약(플라세보) 처방 그룹보다 32% 진행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임상시험은 한 그룹은 2년에 걸쳐 도나네맙을 4주에 한 번씩 주사로 투여하고, 다른 한 그룹은 위약을 투여해 비교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이 임상시험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이 뇌 신경세포의 표면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설과 관련이 있다. 도나네맙을 투여한 그룹은 6~12개월에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사라졌다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치매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원인이 알츠하이머다.

그러나,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라는 가설에는 논란이 있다. 그동안 제약회사들이 수십억달러를 들여서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들이 개발됐지만 효과가 없었다.

일라이 릴리 발표 자체도 치매 진행 속도가 느려진 환자 숫자 등 구체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3상 임상시험 등에서 이번 시험의 결과가 다시 확인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조기원 기자

 

일 해상보안청 선박 자국 EEZ라고 주장하며 조사 활동

일본 언론 한국 해경 중단 요구에도 조사 활동 이어가

 

일본 해상보안청 측량선 쇼요해상보안청 누리집

 

일본 정부 선박이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 안이라고 주장하며 해양 조사를 하는 것에 대해 우리 해경이 중단을 요구했으나, 일본 선박이 조사 활동을 계속한 사건이 발생했다.

12일 일본 <아사히신문> 등은 “11일 오전 325분께 나가사키현 고토열도 남서쪽의 메시마 서쪽 139해상에서 일본 해상보안청 측량선 쇼요를 향해 한국 해양경찰청 선박이 무선으로 조사 활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이 나가사키현 고토열도 남서쪽이라고 한 이 해상은 제주도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일본 언론들 보도에 따르면 한국 해양경찰청 선박은 쇼요에 접근해 이곳은 한국 영해다. 해양과학 조사를 위해서는 한국 정부의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조사 중단 요구는 오전 920분까지 6시간 동안 계속되다가 잠시 멈춘 뒤 낮 125분께 한국 쪽에서 다른 선박이 접근해 오후 450분까지 반복됐다고도 일본 언론들은 보도했다.

하지만 일본 쪽은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라며 한국의 요구를 거부하고 조사 활동을 계속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기자회견에서 해상보안청 측량선은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안에서 정당한 조사를 했다한국 쪽의 중지 요구 등은 수용할 수 없다고 외교 경로를 통해 전달했다고 말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조사 활동을 다음 달까지 계속할 예정이다. <요미우리신문>배타적경제수역 내에서 해양 조사를 하고 있는 일본 측량선에 대해 한국 선박이 중단을 요구한 것은 지난해 8월에도 있었다고 보도했다.

배타적경제수역은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370.4)까지 자원의 독점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유엔 해양법상 수역으로, 인접국 간 수역이 겹칠 경우 상호 협의로 정하게 돼 있다. 김소연 기자

 


외교부 "우리 EEZ내 일본 측량선 퇴거 요구는 정당한 법 집행"

 

외교부는 12일 제주 동남쪽 해상에서 전날 조사를 벌이던 일본 측량선에 대해 한국 해양경찰청이 퇴거 요청을 한 데 대해 "정당한 법 집행"이라고 밝혔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있었던 해경선과 일본 측량선의 대치 상황과 관련, "관계기관에 따르면 이번 일본 측 선박의 조사활동 수행 위치는 우리 측 배타적경제수역(EEZ) 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최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국제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서 우리 정부의 관할수역에서 정당한 법 집행 활동을 상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일본 정부가 외교채널을 통해 항의해 온 사실이 있다며 "우리는 일본 측에 우리 관할 수역이고 (해경이) 정당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측에 사전 동의를 득하지 않은 일본 측 해양조사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요구를 분명히 했다"라고도 했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오전 325분께 나가사키현 고토(五島)열도 남서쪽의 메시마 서쪽 139해상에서 일본 해상보안청 측량선 '쇼요'(昭洋)를 향해 한국 해양경찰청 선박이 무선으로 조사 활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 측이 자국의 EEZ라며 한국 측 요구를 현장에서 거부하면서 한국 해경선과 일본 측량선이 한때 대치하기도 했다.

한국 해경선과 일본 측량선이 대치한 해상은 한국과 일본의 양쪽 연안에서 200해리 범위에 있는 제주 동남쪽 해상이다.



온타리오 런던의 한 병원 네트워크가 COVID-19 팬데믹 기간에 여러 차례 해외 여행을 한 최고 경영자(CEO)를 해임했다.
런던 보건 과학센터는 폴 우즈 박사가 12월 연휴를 포함해 지난해 3월 이후 5 차례에 걸쳐 미국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우즈 박사의 여행사실은 지난 금요일(8) 밝혀졌고 그가 사과했으나, 당시 병원 네트워크 측에서는 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11일 네트워크 측은 병원과 지역사회의 우려로 우즈 박사를 회장 겸 CEO 직에서 즉시 떠나도록 했다고 밝혔다.
병원 네트워크는 이사회 측이 우즈 박사의 여행을 미리 알리지 않았고 그의 여행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즈 박사는 지난 8일 국외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그가 가장 최근에 해외로 떠났을 때, 런던 병원 네트워크 중 하나인 University Hospital에서는 COVID-19 관련 23명의 사망자가 나왔고 150명 이상의 환자와 직원들이 발병했었다.  



정부가 백신 접종 준비에 박차를 가하면서 다음 주 중 다운타운의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MTCC)에 대규모 COVID-19 백신 클리닉이 문을 열 예정이다.

지금까지 COVID-19 백신은 온타리오의 19개 병원에서만 접종이 실시되었지만, 시 당국은 올 봄부터 비의료 환경에서도 백신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 18일부터 다운타운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내에 백신 클리닉을 열기로 했다

토론토의 COVID-19 방역 지휘관인 소방서장 매튜 페그는 111일 가진 브리핑에서 매일 250회분의 COVID-19 백신이 클리닉에서 투여될 것이라면서 백신 클리닉 시설 확장으로 접종작업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백신 클리닉이 적어도 6주 동안 운영될 것이며 이를 계기로 온타리오 내에 대규모 예방 접종 시설을 추가로 개설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온타리오에서는 지금까지 매일 1만 명이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애썼지만 올 봄에는 하루 15만 명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페그 서장은 "이러한 클리닉을 만들어, 접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것은 큰 사업이라고 말하고. “여기에는 수많은 시설과 물류 계획, 인력 배치 계획, 보안 및 안전 계획, 그리고 필요한 모든 운영 절차와 의료 감독 등이 포함된다"라면서 클리닉을 빨리 열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토론토 시 당국은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MTCC)의 백신 클리닉이 오픈하면 일주일 내내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문을 열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111일 현재 토론토에는 하룻사이 978명이 새로 확진되고 14명의 추가 사망자가 발생해 중환자실 115명을 포함, 입원 환자가 433명인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