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일 오전 1030분 쯤 토론토 다운타운 리버와 던다스 스트릿의 북서쪽 공사장에 설치된 대형 타워 크레인의 지브(긴 회전 기둥)가 넘어지면서 와이어를 떨어뜨려 인근 지역 도로가 막히고 전력공급이 끊겼다.

관계자들은 왜 건설 크레인이 리젠트 공원의 교차로에 떨어졌는지 알아내기 위해 조사하고 있다.

토론토 하이드로는 남쪽 웨슬리 사우스 스트릿부터 리치몬드 스트릿까지, 그리고 셜본 스트릿 이스트 부터 돈 리버까지 정전 상태라고 밝혔다.

토론토 911 구급대원들은 현장에서 가벼운 부상을 입은 2명을 진찰했지만 다행히 중상자나 다른 피해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사고로 인근 도로가 폐쇄되고 TTC는 이 지역의 버스와 전차 노선을 조정해 우회 운행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토론토 시내에서 3주 만에 두 번째 크레인 붕괴사고다.

지난 716, 프론트와 심코 스트릿에 인접한 오피스에 크레인이 쓰러지면서 엔터테인먼트 디스트릭트의 많은 건물들이 부서지고 사람들이 대피해야 했다. 당시 크게 다친 사람은 없었다.

매출은 44% 급감, 화물은 94.6% 급증하반기에도 화물 주력

   

         

대한항공이 코로나19 직격탄에도 불구하고 화물덕분에 2분기 연속 적자를 피했다. 대한항공은 지금껏 2분기 실적이 나온 전 세계 주요 항공사 중 유일하게 흑자를 낸 곳이 됐다.

6일 대한항공이 공시한 2분기 잠정실적을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여객수요 감소로 매출액은 지난해 2분기(3201억원)와 견줘 44% 감소한 16909억원을 기록했다. 대신 화물기를 풀가동하면서 짐만 실어 여객기를 띄우는 등 화물기 공급 극대화 전략을 편 덕에 1485억원 영업이익을 냈다. 당기순손익도 1624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2분기엔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각각 1015억원, 3808억원이었다.

대한항공의 여객 수송실적(RPK·유상여객킬로미터)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92.2% 수직 낙하했지만, 화물 수송실적(FTK·화물톤킬로미터)17.3% 늘었다. 통상 화물 운송의 40~50%를 차지하는 여객기 하부 화물칸(벨리) 수송은 어려워진 대신 화물기 가동률을 22% 늘리면서 전체 화물 공급은 오히려 1.9% 늘어났다. 덕분에 화물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2분기와 견줘 94.6%(5960억원) 늘어난 12259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금까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영국항공·아메리칸항공·일본항공·루프트한자 등 전 세계 주요 항공사 중 흑자를 낸 곳은 대한항공이 유일하다.

대한항공은 하반기에도 여객 수요가 살아나기 어렵다고 보고 화물기 중점 영업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23대의 대형 화물기단 등의 강점을 십분 활용해 방역물품 및 전자 상거래 물량, 반도체 장비 및 자동차 부품 수요 등을 적극 유치하며 수익 극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여객기 좌석을 떼어내 화물기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 박수지 기자 >



손흥민(28)이 잉글랜드 프로축구 토트넘의 '전설들'로부터 2019-2020시즌 팀 내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았다.

토트넘은 5"손흥민이 또 하나의 상을 추가했다"면서 "레전드가 선정한 올 시즌의 선수(Legends' Player of the Season)로 뽑혔다"고 발표했다.

손흥민은 지난달 20일 이번 시즌을 결산하는 자체 시상식에서 4개의 상을 모두 받은 데 이어 팀의 레전드들로부터도 최고의 선수로 뽑히면서 '5관왕'에 올랐다.

앞서 받은 상은 '토트넘 올해의 선수(One Hotspur Player of the Season)''토트넘 올해의 골(One Hotspur Goal of the Season)', '토트넘 주니어 팬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One Hotspur Junior Members' Player of the Season)', '공식 서포터스가 뽑은 올해의 선수(Official Supporters' Clubs Player of the Season)'.

                             토트넘의 손흥민이 지난 20일 구단 시상식에서 올해의 선수4개 부문을 휩쓸었다. 토트넘 트위터

손흥민은 지난해에도 4관왕에 올랐지만 당시 '레전드 선정 올해의 선수'로는 무사 시소코가 선정된 바 있다.

자신의 한 시즌 프리미어리그(EPL) 정규리그 최다 공격포인트(21·1110도움), 공식 경기 최다 공격포인트(30·1812도움) 기록을 새로 쓰며 맹활약한 이번 시즌엔 전설들도 손흥민에게 가장 많은 표를 던질 수밖에 없었다.

1980년대 유럽축구연맹(UEFA), 잉글랜드축구협회(FA)컵 우승 멤버인 그레이엄로버츠는 투표한 토트넘 레전드를 대표해 "이번 시즌 내내 손흥민이 보여준 꾸준함은 눈에 띄었다. 해리 케인의 장기 결장 속에 그의 성장이 필요했는데, 확실히 해냈다"고 평가했다.

로버츠는 "손흥민은 팀에 많은 걸 주고, 열심히 하는 선수다. 그리고 항상 미소짓고 있다"면서 "우리는 그가 올해 상을 받을 최고의 선수라고 생각했고, 그는 철저히 그럴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칼럼] 검찰 중립성과 노무현의 후회

● 칼럼 2020. 8. 7. 02:52 Posted by SisaHan

[칼럼] 검찰 중립성과 노무현의 후회

 

검찰의 정치적 독립과 정치적 중립은 다른 문제였다. 검찰 자체가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으면 정치적 독립을 보장해주어도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는다.”

자서전 <운명이다>에 나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말이다. 딜레마다. 민주공화국의 헌법 원리에 따라 선출되지 않은 권력은 선출된 권력이 통제해야 한다. 그러나 검찰은 준사법적 기관이라는 이유로 독립성을 보장해줘야 한다. 그런데 독립성을 보장한다고 중립성도 저절로 따라오는 건 아니다. 오히려 독립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편향되게 검찰권을 행사할 자유의 공간이 열리는 셈이다. 여기에서 검찰이 응집된 조직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움직이면 통제받지 않는 권력이 되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 뒤로는 한동안 이런 딜레마를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검찰이 보수정권과 결탁해 독립성과 중립성을 스스로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 다시 검찰개혁이 추진되면서 데자뷔가 펼쳐지고 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3일 신임 검사 신고식에서 한 독재·전체주의발언은 분명히 정치적 중립성의 원칙을 깬 행위다. 비록 주어를 명시하지 않은 교묘한 문장으로 빠져나갈 틈을 만들기는 했지만, 정치권이 일제히 정부·여당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하며 떠들썩한데도 윤 총장이 며칠째 침묵하는 걸 보면 의도를 지닌 발언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야당이 최근 정부·여당에 대한 정치공세용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이 어색한 문맥 속에 도드라지게 박혀 있는 것을 우연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 단어들에 현실정합성이 있다고 봤다면 이 또한 정치적 편향을 드러낸 것에 다름 아니다.

설령 정치적 의도가 없었다고 해도 평가가 달라지진 않는다. 검찰에 관한 유럽연합의 원칙을 정한 로마헌장을 보면 검사는 독립적이고 중립적어야 하며 그렇게 보이기 위해서도최선을 다해야 한다. 중립성과 배치되는 정치적 행위를 삼가야 한다”(6)는 원칙이 제시돼 있다. 사법적 정의는 실현돼야 할 뿐 아니라 외관상 실현되고 있다는 믿음을 주는 게 중요하다는 오래된 법언대로다. 윤 총장의 행위는 이런 원칙을 벗어났다. 윤 총장이 차기 대권주자 선호도 조사 대상에 계속 오르는 것도 외관상의 중립성을 해친다. 스스로 원한 일은 아니라고 해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누가 검찰의 중립성을 믿을 수 있을까. 그 후과는 검찰에도, 사회 전체에도 치명적이다. 윤 총장은 지난 2월 전국 지검장 회의에서 이런 말을 했다. “검찰의 정치적 중립은 생명과도 같다. 검사가 정치적으로 편향된 것은 부패한 것과 같다.” 이 말에 윤 총장 스스로 답해야 할 때다.

검찰의 중립성을 어떻게 담보할지는 오래된 숙제다. 1997년 국회는 검찰총장은 퇴임 후 2년 동안 공직에 임명되거나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없다는 검찰청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그 몇해 전 김도언 검찰총장이 퇴임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여당 후보로 총선에 출마해 당선된 일이 있었다. 그러나 이 조항은 당시 김기수 검찰총장의 헌법소원으로 위헌 결정을 받았다. 헌법재판소는 검찰의 정치적 중립은 검찰총장을 비롯한 모든 검사가 이에 대한 확고한 소신 아래 구체적 사건의 처리에 있어 공정성을 잃지 않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며 제도적 장치의 의미를 소홀히 다뤘다. 하지만 검찰의 중립성을 한 인간의 선의에 맡긴다는 게 얼마나 허망한 일인지는 이후의 검찰사가 증명해준다.

윤 총장은 신임 검사 신고식에서 법의 지배를 강조했다. 법의 지배의 반대는 사람에 의한 지배다. 검찰이야말로 총장 개인의 뜻에 따라 여당 편이 되기도 하고 야당 편이 되기도 한다. 법의 지배로 중립성을 담보하려면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집중된 검찰권과 총장의 권한 분산, 민주적 통제 강화 등으로 견제와 균형을 제도화해야 한다. 이것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뒤늦게 깨달았던 딜레마의 해법이다.

·경 수사권 조정과 공수처 설치를 밀어붙이지 못한 것이 정말 후회스러웠다. 이러한 제도 개혁을 하지 않고 검찰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려 한 것은 미련한 짓이었다. 퇴임한 후 나와 동지들이 검찰에 당한 모욕과 박해는 그런 미련한 짓을 한 대가라고 생각한다.”(<운명이다> 중에서)

< 박용현 한겨레신문 논설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