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광고 보이콧에 페북 주가 8.3%↓…3개월 만의 최대 낙폭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종차별 반대시위 관련 게시글을 손대지 않기로 했다가 대기업들의 광고 보이콧을 당하는 바람에 하루만에 재산이 8조원 넘게 증발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페이스북 주가가 26(현지시간) 하루 만에 지난 3개월 내 최대 낙폭인 8.3% 떨어져 시가총액이 560억 달러(672천억원) 증발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이 여파로 페이스북 주식을 보유한 저커버그의 재산도 이날 72억 달러(86천억원)가 증발해 총 823억 달러(987천억원)로 줄었다. 이에 따라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에 이어 세계 3위 갑부였던 저커버그는 프랑스 패션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에 밀려 4위로 내려앉게 됐다.

이같은 폭락은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페이스북에 게재하는 광고를 끊겠다고 잇따라 선언한 것이 악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이 인종차별 반대시위를 비난하는 트럼프 대통령 게시글에 대해 "최대한 많은 표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세계 최대 광고주 중 하나인 유니레버를 포함해 미국 통신회사 버라이즌, 의류 업체 노스페이스 등이 광고 보이콧에 나섰다.

저커버그는 한발 물러나 증오나 폭력을 선동하는 정치인의 게시물은 삭제하고, 공공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에는 표지(label)를 달겠다고 밝혔다.


       

익명 당국자 인용 보도러 외무부 미 정보기관의 저열한 선전전

 

러시아 정보기관이 탈레반 측에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살해를 사주했던 것으로 미 정보당국이 파악했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26일 보도했다.

익명의 당국자들에 따르면 미 정보당국은 러시아군 정보기관인 정찰총국(GRU) 산하 '29155'라는 조직이 지난해 미군 및 연합군을 살해하는 대가로 탈레반과 연관된 아프간 반군 세력에 비밀리에 포상금을 제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무장세력은 실제로 러시아로부터 포상금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아프간에서 전투 중 사망한 미군은 20명에 이르는데, 이 중 러시아의 사주와 연관된 사례는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특히 미국이 이미 수개월 전 이같이 결론지었다는 게 당국자들의 전언이다. 이 정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보고됐으며, 지난 3월 말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측도 관계 부서들과 이를 논의했다고 한 당국자는 밝혔다. 그에 따르면 이때 미 당국은 러시아에 외교적 항의, 제재 부여 등의 대응안을 마련했지만, 실제로는 현재까지 백악관은 어떤 조치도 허가하지 않았다.

백악관이 이같이 대응을 미루는 이유에 대해 이들 당국자는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다만 "오는 11월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탈레반과 평화협정을 맺어 치적으로 내세우려는 상황"에서 러시아 배후설이 불거진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이 같은 배후설이 사실이라면, 러시아 첩보 기관이 서방군 공격을 계획한 최초의 사례일 것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인지한 것이 없으며, "누군가 언급한다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NYT에 밝혔다. 자비울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 역시 탈레반은 그 어떤 정보기관과도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러시아가 이런 작전을 펼친 동기는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2018년 시리아에서 미군에 의해 러시아 용병 등 수백명이 사망한 일에 대한 복수라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2915520183월 영국 솔즈베리에서 일어난 러시아 출신 이중간첩 세르게이 스크리팔 독살 시도의 배후로 지목되기도 한 조직이다.

러시아 외무부는 27NYT 보도가 미국 정보기관의 저열한 선전전이라고 반박했다. 외무부는 자국 타스 통신의 논평 요청에 "미국 정보기관이 언론에 흘린 또 다른거짓 정보에 주목했다"면서 "이 순진한 (정보) 유출은 미국 정보기관 선동가들의 낮은 지적 수준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그럴싸한 뭔가를 생각해 내는 대신 이 같은 헛소리를 고안해 내고 있다"면서 "20년간에 걸친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실패로 이끈 정보기관에서 무엇을 더 기대하는가"라고 비꼬았다. 외무부는 이어 아프가니스탄 내 미국 정보기관 요원들이 마약 거래, 공공사업 수행 계약과 관련한 리베이트(뇌물)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라면서 오히려 역비난을 퍼부었다.

 

 

              

전직 대통령·노벨상 수상자 등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호소' 발표

 

세계 지도층 인사 500여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독재가 나타나고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전직 대통령, 노벨상 수상자, 영화배우 등 국적도 배경도 다르지만 독재 정권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코로나19 위기를 악용하고 있다는 우려에 동의했다.

이들은 25일 공개한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호소' 서한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전 세계에 걸쳐 사람들의 생명과 삶을 위협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자유 민주주의 미래를 위협하는 정치적 위기이기도 하다"고 밝혔다고 미국 NBC, CNN 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어 "권위주의 정권들은 위기를 활용해 비판을 잠재우고 정치적 고삐를 죄려 하고 있다"면서 "의회는 배제되고, 언론인들은 체포돼 수모를 겪고, 소수자들은 희생양으로 내몰리며, 가장 취약한 계층은 새로운 위기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이 억압된 나라에서 현재의 전염병 대유행이 시작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면서 "책임감 있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억압될 때 그 결과는 치명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발생 사실을 은폐해 사태를 확산했다는 비판을 받는 중국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스웨덴의 국제민주주의선거지원기구(IDEA) 등이 주도한 이 편지에는 민주주의 관련 기관 70여곳, 노벨문학상 수상자 13, 주요국 전직 대통령 62명을 포함해 500여개 단체 및 개인이 서명했다.

미국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 페르난도 엔리케 카르도소 브라질 전 대통령, 영화배우 리처드 기어, 나이지리아 출신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월레 소잉카 등이 동참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 오준 전 유엔 대사 등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