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과 소망] 잃으면 얻는다

● 교회소식 2014. 1. 30. 17:08 Posted by SisaHan
세상에서 누구든 잃은 것 보다는 얻는 것을, 실패보다는 성공을 원한다. 그런데 지혜서에는 잃으면 얻는다고 하는 말이 있다. 얻는다고 하는 것은 좋은데 잃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쉽다고 생각한다. 잃지 않고 얻을 수는 없을까? 죽지않고 천국가는 법은 없을까?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그런데 잃으면 얻으리라고 하는 진리가 있다. 잃고 얻고를 일직선상에 놓고 있다. 역설적인 교훈이다. 상식으로는 얻으려고 해야 얻고, 가지려고 해야 소유한다. 보통 상식으로는 노력과 결과가 일직선상에 놓여있다. 그런데 잃어야 얻는다고 한다. 죽어야 산다고 한다. 주어야 받는다고 한다.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이해가 되지 않는 논리이다. 얻으려고 애써야 얻는 것이지 버려야 얻는다?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철저하게 깨져야만 생명을 얻고 구원을 얻는다는 진리도 있다.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적어도 생명문제에 관한 한에서는 이성적 헤아림의 문제가 아니다. 잃으면 구원을 얻는다는 진리를 이야기 하신 분은 그리스도이시다. 이 진리 속에 사건 세 가지가 내포되어 있다. 하나는, 메시야 되심을 스스로 인정하심의 문제이다. 메시야라고 하면 왕 중의 왕, 선지자 중의 선지자, 제사장 중의 제사장, 가장 이상적인 왕, 제사장, 선지자 되심을 표현하신 것이다. 사건 그 둘은 인자되심을 밝히심이다. 메시야는 정치적인 개념이 아주 강한 표현이라면 인자라고 함은 종말론적 계시자임을 말씀함이다. 훨씬 높고, 휠씬 우주적이고, 훨씬 더 종말론적인 의미의 존재가 곧 인자인 것이다. 인자라고 하면 지극히 영광스러운 존재인데 고난의 메시야시라니 이것이 충격이라고 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지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본래적으로 그리고 저 종국에는 큰 영광이 있겠으나 현재에는 현실적으로는 십자가를 지는 고통이 따라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심이다.

첫째는 각오하고 십자가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환란과 핍박이 있고, 고난이 있으며 때로는 손해도 있다. 때로는 비관도 있을 수 있다. 그러기에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비상한 각오이다. 특히 타문화권 속에서 살아가는 동포의 삶이라 더욱 그러하다. 둘째,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세상을 살다보면 고난은 우연한 것이 아니다. 선택적인 것이 아니다. 당할 수도 있고 안 당할 수도 있는 것이 아니다. 필연적인 것이다. 그러기에 고난을 당한다고 자살하고 절망한다는 것은 잘못된 인생관의 정립 때문이다. 생애 속에서 항상 길이 평탄하고 모든 일이 형통하고 범사가 복 받는다고 생각하고 살아가면 쉽게 절망하고 만다. 생애 속에 고난의 필수성을 기억하는 사람은 인생을 인내하며 살아가게 된다. 인생을 바로 생각하는 것이 바른 생명관이다. 영생지향적 생명이 바른 생명이다. 너무 절망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 윤형복 목사 - 메도베일한인연합교회 담임목사 >
재단법인 자살예방협회 캐나다대표

 

▶KPCA동노회 성경세미나에서 송병현 교수의 강의를 듣고있는 참석자들.

KPCA동노회 목회자 성경세미나

“한국교회 처한 형상, 사사시대와 똑같다”

연초 목회자들의 학구열이 뜨겁다. 해외한인장로회 캐나다동노회(노회장 고영민 이글스필드교회 담임목사)가 20~21일 이틀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주최한 송병현 교수(Thomas B.Song, Ph. D.) 초청 목회자 성경세미나에 50여 명의 목사와 사모 및 교역자 등이 참석해 강의를 들었다. 백석대 구약학 교수이며 스타선교회 대표를 역임하고 베스트셀러 엑스포지멘터리 주석시리즈를 펴낸 바도 있는 송 박사는 성경의 여호수아서와 사사기 연구를 중심으로 실무에 유용한 내용들을 전해 참석자들에게 도움을 주었다. 그는 올해로 3회째 동노회 성경세미나를 인도했다.
 
송 교수는 첫날 여호수아기, 이틀째는 사사기를 주요 내용으로 교회의 현실과 사명, 나아갈 길에 대해 강의했다. 송 교수는 강의에서 특히 사사기의 어두운 측면들을 들어 “오늘날 한국교회가 처한 형상과 너무나 똑같다”고 지적했다. 즉 ‘교회세습’ 문제와 ‘종교를 사유화하는’ 문제, ‘자격없는 목회자를 세우는 것’, 또 ‘하나님께 서원을 하고도 자기 멋대로 바꾸는 것’ 등이 모두 사사기에 기록된 것들로, 작금의 한국교회와 너무나 맞아 떨어진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광장히 어둡고 절망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사시대를 포기하지 않으신 것처럼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 은혜가 한국교회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송 교수는 이어 “그래서 우리가 반성할 것은 반성하고, 회개할 것은 회개하여 말 그대로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가르치고 추구하는 그런 교회를 이루어나가야 빠르게 우리가 사사시대를 벗어나게 될 것이라고 목회자들의 소명과 역할을 강조했다.
 
< 문의: 905-510-7728 >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85명이 전세계 70억 인구의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가난한 사람들과 맞먹는 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삶과 공정무역 거래, 의료와 교육을 돕는 국제구호단체인 옥스팜은 21일세계경제포럼 제44차 연차총회를 위해 스위스 다보스에 온 파워엘리트를 겨냥한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의 불평등 심화에 대처하고, 부자만이 최고의 교육과 의료체계에 접근할 수 있는 미래를 막아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또 세계의 1% 안에 드는 부유층의 재산은 110조 달러(약 11경 7천183조여 원)으로 35억 명의 전 세계 가난한 계층보다 65배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다며 이런 경제적 자원 집중은 정치 안정을 불안하게 하고 사회 긴장을 조성한다고 지적했다. 옥스팜의 위니 바니아 총장은 “21세기에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열차 객실 하나에 다 앉을 정도의 소수 사람들이 가진 것 정도의 재산밖에 없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라며 “선진국에서의 부의 불평등은 민주주의를 저해하고 후진국에서는 부패를 조장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