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뷰 의뢰 16~17일 전국 1천명 조사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실 제공]

 

국민 10명 중 6명은 '사법농단'에 연루된 법관들의 탄핵소추 추진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이 19일 밝혔다.

이 의원이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천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8.7%'사법농단 연루 법관 탄핵소추에 찬성한다'고 답변했다.

25.6%는 반대한다고 답했다. '모름·기타' 답변은 15.7%였다.

이념성향별로 보수층(46.3% vs 38.2%), 진보층(73.3% vs 17.2%), 중도층(52.2% vs 19.6%) 모두에서 찬성 응답이 더 많았다.

아울러 '사법농단 연루 법관의 사직 후 전관변호사 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금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68.7%로 집계됐다.

'허용해야 한다'18.0%, '모름·기타'13.3%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 의원은 "'세월호 7시간 재판'에 개입한 사실로 기소된 임성근 판사와 이동근 판사가 조만간 퇴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변호사 등록을 막을 방법은 법관탄핵밖에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왼쪽 두번째)416가족협의회, 416연대가 23일 국회 분수대 앞에서 "'사법농단' 사태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임성근이동근 판사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임성근 부산고법 부장판사와 이동근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의혹'을 제기했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일본 기자의 재판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임 판사는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의 재판에 개입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로 재판을 받았지만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합계 21언더파 4라운드 역전극

임성재는 9언더파 공동 56위로

 

재미교포 케빈 나가 18일 하와이에서 열린 피지에이 투어 소니오픈에서 우승한 뛰 활짝 웃고 있다. 호놀룰루/USA투데이스포츠 연합뉴스

 

“12번 홀 보기로 우승은 어려워 보였다. 하지만 이후 3개홀 연속 버디와 18번 홀 버디로 우승을 일궈냈다.”

재미교포 케빈 나(38·한국명 나상욱)18일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와이알레이 컨트리클럽(70·744야드)에서 열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소니오픈(총상금 660만달러) 4라운드에서 5타를 줄이며, 최종합계 21언더파 259(67-66-61-65)1타차 우승을 차지했다.

피지에이 투어 5승을 일군 케빈 나는 상금 1188천달러(131100만원)를 챙겼다. 피지에이닷컴은 실수할 여지가 없었던 12번 홀 보기를 극복하고 마지막 홀 버디로 마침표를 찍었다라고 전했다. 2011년 피지에이 투어 첫 우승을 차지한 케빈 나는 20187월 밀리터리 트리뷰트 우승부터 찰스 슈와브 챌린지, 슈라이너스 아동병원 오픈 등 최근 4년간 승수를 쌓고 있다.

3라운드에서 9언더파를 기록하며 추격의 발판을 마련한 케빈 나는 이날 공동 2위로 시작해 전반 9개홀에서 2개의 버디를 추가했다. 하지만 12번 홀(4)에서 3퍼트로 보기를 기록하며 경쟁에서 밀리는 듯했다. 그러나 케빈 나는 포기하지 않았다. 13번 홀(4), 14번 홀(4), 15번 홀(5)에서 잇따라 버디를 잡으며 단독 선두로 나섰다. 이어 마지막 18번 홀(5)에서 세컨드 샷이 홀컵 뒤 러프로 떨어졌지만 세번째 샷으로 바짝 붙인 뒤 버디를 추가하며 우승을 확정했다. 크리스 커크(미국), 호아킨 니만(칠레·이상 20언더파 260)을 한 타 차로 제쳤다.

대회 뒤 인터뷰에서 18년의 투어 경험을 역전 우승 원동력으로 꼽은 케빈 나는 한국어로 응원해주셔서 감사하다. 우승해서 기쁘고, 언젠가 또 한국에서 뵙겠다며 한국 팬들에게 인사를 전했다. 브렌던 스틸(미국), 웨브 심프슨(미국), 마크 리슈먼(호주)이 공동 4(19언더파 261)에 올랐다.

한국 선수 중엔 이경훈(30)19(15언더파 265), 김시우(26)는 공동 25(14언더파 266), 임성재(23)는 공동 56(9언더파 271)에 자리했다. 2라운드까지 선전했던 최경주(51)71(5언더파 275)로 대회를 마쳤다. 김창금 기자

 

애국지사 고 이준수 안장식.(20.11.02.)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않은 독립유공자 묘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개정안은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않은 순국선열 및 사망한 애국지사의 묘지 소재 및 현황 등에 관해 실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독립유공자 16410명 중 4500여명이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고, 나머지 12천여명의 묘지는 국내·외에 산재해 있다.

보훈처는 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에 자료를 요청해 독립유공자의 친족이나 묘지 관리자 등과 연락체계를 갖춰 이들 묘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보훈처는 실태조사로 확인된 독립유공자 묘지에 대해서는 유족과의 협의를 거쳐 국립묘지 이장을 추진하고 현지에 계속 묘지 보존을 원할 경우 보수 및 유지관리를 지원하게 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이번 국무회의 의결에 따라 공포된 뒤 여섯 달이 지난 날부터 시행된다. 박병수 기자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교단, 목회자 600명 설문조사 결과

 

201838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50주년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한 목회자들이 기도를 하고 있다.

 

한국 개신교회 목회자 99%는 교회 내부 혁신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단이 낸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 신 생태계 조성 및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목회자(목사와 부목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86%한국교회에 혁신이 얼마나 필요한가라는 질의에 매우 필요라고 답했다. ‘약간 필요12.9%필요하다는 의견이 전체 98.9%를 차지했다. 한국교회의 혁신이 전혀·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은 0.6%에 불과했다.

주요 개혁 대상으로는 목회자라는 답이 3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개별 교단·총회·노회28.4%, ‘기독교 관련자 모두’ 23.2%, ‘기독교 기관·연합 단체’ 7.4% 등의 순이었다.

가장 중요한 혁신과제 1·2순위로는 개인의 경건 생활 회복·생활 신앙교육’(24.4%), ‘자기 교회 중심성·비공공성 탈피’(20.3%)가 각각 꼽혔다. 코로나19 사태 속에 불거진 한국교회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안 1위로는 교회·예배의 본질 재정립’(43.7%), 2위로는 교회 중심의 신앙에서 생활신앙 강화’(23.5%)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목회자들은 코로나19 사태로 겪는 가장 어려운 점으로 다음 세대 (신앙) 교육 문제’(29.8%)를 꼽았다. ‘교인들의 소속감 약화’(16.8%), ‘교인들의 주일 성수 인식 (부족)’(16.1%), ‘출석 교인 수 감소’(14.7%), ‘재정 문제’(11.9%) 등도 주된 고민이라고 답했다.

설문조사가 이뤄진 지난해 1122~123일 기점으로 응답에 나선 목회자들의 예배 형태는 현장·온라인 예배 병행’(61.2%)이 가장 많았다. ‘현장 예배만하는 경우는 26.4%, ‘온라인 중계 없이 설교 영상만 제공하는 경우가 12.4%였다. 응답자의 55.4%는 코로나19 사태 종식 후 교인 수가 감소할 것 같다고 내다봤고, 감소 비율로는 2030%를 예상하는 경우가 37%로 가장 높았다.

이에 앞서 작년 1114~23일까지 만 19세 이상 전국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29.9%개신교 신뢰도 회복을 위해 우선 개혁해야 할 것으로 교회 지도자들의 삶을 꼽았다. ‘사회와의 소통·사회적 공익 추구’(20.1%), ‘교인들의 삶’(13.4%), ‘불투명한 재정사용’(10.2%)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혁신과제로는 자기 교회 중심성·비공공성 탈피’(20.0%), ‘교단의 정치행태 혁신’(18.5%), ‘개인의 경건 생활 회복·생활 신앙교육’(15.9%)이 꼽혀 목회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신도들이 희망하는 앞으로 개신교 모습 3가지로는 투명한’(39.0%), ‘포용적인’, ‘윤리적인’(38.3%) 모습이 꼽혔다. 반면 보수적인’(4.6%), ‘진보적인’(3.5%)이라는 답은 크게 낮아 개신교가 정치적 이념과 거리두기를 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이후 교회 출석자 기준으로 주일 예배를 드리기 위해 어떻게 출석할 것 같은지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하게 갈 것 같다66.5%로 많았고, ‘더 자주 갈 것 같다’(14.2%), ‘덜 갈 것 같다’(14.1%)순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후 선호하는 주일 예배 유형으로는 교회에 출석해서 예배드림77.4%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현장 예배를 드리지 않고 온라인예배를 드리거나 번갈아 가면서 드리겠다17.7%로 조사됐다.     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