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타운에 위치한 갈릴리장로교회 건물은 백년 전 서양 사람들이 지은 것이다. 그 교회의 엣 이름은 ‘Davenport Presbyterian Church’이다. 우리 교회당 전면 왼쪽 벽에는 1차 세계대전에 참여했다가 목숨을 잃은 서양교회 청년들의 이름이 새겨진 동판이 부착되어 있고, 오른쪽 벽에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 교회 청년들의 이름이 적힌 동판이 있다. 비록 우리 갈릴리 교우들의 이름이 적힌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념하는 것이기에 지금도 그 동판을 잘 보관하고 있다.
전쟁에 참여하여 전사한 분들의 이름만 수 십 명이니 아마 살아서 돌아 온 이들까지 합하면 아마 100명도 넘지 않겠나 생각한다. 그러니까 칠 팔십 년 전에는 이 교회에 수백 명의 남녀 청년들이 출석하고 있었던 도심의 큰 교회였던 것이다.
 
그런데 얼마 전 Davenport Presbyterian Church 교인 대표 세 명이 나에게로 찾아 왔다. 그 교회는 현재 교인이 30명 정도 되는데 대부분 노인들이고, 현재 은퇴한 노인들이 사는 건물 지하에 방 한 칸을 빌려서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너무 좁고 불편하여 새로운 예배 장소를 찾고 있으니, 갈릴리장로교회 건물에 와서 예배드릴 수 있도록 선처를 베풀어 달라고 하였다.
오늘날 많은 한인교회들이 서양교회 건물을 빌려 교회를 개척하여 오늘에 이른 것을 생각하며 당연히 이 교회 건물을 지은 사람들에게 예배 처소를 제공하겠노라고 하였다.
그런데 서양교회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백년 전에는 캐나다장로교회가 한국에 선교사들을 보내어 한국교회를 일으킨 훌륭한 교회들이다. 그러나 지금은 교회가 매우 노령화 되어있고, 통계를 보면 매년 교회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왜 노인들만 남아서 교회를 지키다가 그들이 세상 떠나면 교회는 없어지고 마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그들의 자녀들을 다음 세대의 교회 신자로 세우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전쟁 이후에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는 그들의 조상들이 전통적으로 배웠고 지켜왔던 신앙과 교회의 규범 속에서 자녀들을 양육하는 것 대신 물질주의와 쾌락주의와 개인주의 같은 세속적 가치관 속에서 자녀를 키웠기 때문에 이제 그들의 자녀와 손자뻘인 이 세대에 있어서 서양교회는 더 이상 젊은이들이 떠나고 없는 텅 빈 교회가 되고 만 것이다.
요즘 한국에 있는 대학생들의 교회출석률이 4% 미만이라고 한다. 학업과 취업을 위해 바쁜 젊은이들은 교회에 대한 인식도 나빠 교회에 오길 꺼려한다. 게다가 개방된 성과 술 문화에 빠진 젊은이들은 도덕과 절제를 얘기하는 교회보다 쾌락을 장려하는 세상이 편하고 좋은 것 같다.
 
몰락한 서양교회의 한 두 세대 전 과거 모습이 현재 한국교회에 비슷하게 보이고 있다. 우리는 이런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먼 훗날 우리 캐나다의 한인교회가 교인이 없어 교회 문을 닫아야 하는 비극이 오게 해선 안 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지금 우리의 자녀들을 그리스도의 신실한 제자로 세워야 한다. 우리 자녀들이 주도하는 세상이 도래했을 때 오히려 교회가 더 활발하게 하나님의 빛을 발할 수 있도록 부모 된 우리가 먼저 신앙적으로 모범을 보이고 분발해야 할 때다.

< 임수택 목사 - 갈릴리장로교회 담임목사 >


국세청 조사 자선단체들 반발

● CANADA 2014. 8. 25. 18:39 Posted by SisaHan
12개 단체 강력항의‥ “활동에 부정적 영향 끼쳐”

최근 자선단체들에 대한 국세청(CRA)의 강도높은 조사가 잇따르자 국제자선단체들이 이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펜 캐나다(표현의 자유 이슈 집중 자선단체, 토론토), 데이빗 스즈키 재단(환경자선단체, 밴쿠버), 빈곤없는 캐나다(사회정의자선단체, 오타와), 협력개발캐나다협회(남미원조집중 국제자선기구, 밴쿠버) 등 12개 국제 자선단체들은 지난 2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국세청의 자선단체들에 대한 집중세무조사와 관련해 다음달 국세청측에 강력히 항의하기로 결의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연방 하퍼 정부가 지난 2012년부터 자선기금의 정치자금 유입과 관련한 조사를 펼친다는 명목으로 15명의 세무감사원들로 구성된 특별감사팀을 구성, 자선단체들에 대한 특별세무감사를 실시해 온 데 대한 국제기구캐나다위원회에 의한 문제제기로 시작됐다.
줄리아 산체스 상임위원회장은 “현재 상황은 매우 부정적이고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가장 큰 문제는 최근의 감사행위가 오랜동안 시민사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 온 자선단체들의 활동에 대해 시민들로 하여금 근본적인 의심을 하게 하는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자선단체 관계자들은 또 이같은 특별감사가 그동안 하퍼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에 있던 단체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비난하며, 국세청들의 새로운 규정들은 국제자선단체들이 해외 열악한 환경의 사회 구성원들을 돕는 일들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69주년 광복절 기념식이 15일 오후 토론토 한인회관에서 1백여명의 한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기념식은 저녁식사 후 어린이 사물놀이 천둥소리 공연으로 개회, 국민의례에 이어 정관균 총영사가 박근혜 대통령기념사를 대신읽고 이진수 한인회장이 기념사를 한뒤 만세삼창과 광복절 노래제창이 있었다. 이어 애국지사 손병희, 이청천, 강우규 3인의 초상화 헌정과 영상자료 상영, 기념공연 등이 뒤를 이었다.

 
< 문의: 416-383-07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