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의 주범은 정부, 이런 경제위기는 ‘정부 재정 위기’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37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해 회의를 시작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우리나라 경제가 ‘침체’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기획재정부가 우리나라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지 반년 만이다. ‘둔화’를 넘어 ‘침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최근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다. 물론 심리적으로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경제는 항상 안 좋았던 것 같다. 그래서 ‘침체’라는 늑대가 나타났다고 해도 양치기 소년의 말처럼 별 감흥 없이 들릴 수 있다.
 

위기를 기회로 잡았던 한국 경제

 
그러나 외환위기 극복 이후 우리나라 경제는 눈부신 성장을 했다. 경제지표만 보면 ‘제2의 한강의 기적’이라 할 만하다. 국내총생산(GDP)은 1998년 3800억달러에서 2020년 1조6천억달러를 초과했다. 무려 330% 급증이다. 같은 기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지디피 평균 증가율은 104%에 불과하다. 디지털 혁명을 주도하며 ‘나홀로 성장세’라는 미국 지디피 증가율도 130%다. 유럽의 제조업 강국 독일은 70%, 영국은 64%, 일본은 26% 성장에 그친다.양적 성장뿐만 아니다. 우리나라의 질적 성장은 더욱 눈부시다. 2000년 우리나라 지디피 대비 연구개발(R&D)비 지출 비율은 오이시디 평균에도 미달했다. 그러나 최근 20년 동안 연구개발비 지출 비율은 미국과 대만을 큰 차이로 따돌리고 이스라엘과 투톱 체제를 확고히 한다. 2000년 우리나라 사회복지 지출액은 지디피 대비 4.4%로 압도적인 꼴찌에서 12%까지 증가했다.
 
2000년대의 눈부신 성장 비결은 무엇일까? 유소년 인구는 줄어들고 아직 노인 인구는 많지 않아 근로가능인구가 황금기인 이유도 있겠다. 나아가 2000년대부터 비로소 우리나라 재정이 정비되고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우리나라 재정의 기틀은 2006년 국가재정법이 제정되면서 마련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우리나라 재정이 자원배분의 효율성, 형평성, 경기 조정 등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1998년 우리나라 정부 전체 지출액(오이시디 기준)은 100조원에 불과했다. 2020년은 660조원이 넘는다. 지디피 증가를 훨씬 뛰어넘는다. 아직도 지디피 대비 국가 지출 규모는 오이시디 평균에 크게 못 미치지만 그래도 눈부신 성장을 한 것은 맞다.
 
결국 우리나라는 1970년대 산업화, 1980년 민주화에 성공했고, 2000년도 이후에는 국가 재정의 기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이런 ‘제2의 한강의 기적’을 통해 구매력 기준 1인당 지디피는 2018년 이미 일본을 추월했다. 실질 1인당 지디피의 일본 추월도 2027년일지 2030년일지는 몰라도 조만간 따라잡을 것 같았다. 우리나라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위기도 겪었지만, 위기 때일수록 오히려 다른 선진국보다 더 빠르게 극복했다. 그야말로 ‘눈떠보니 선진국’이었다.
 

정부의 ‘청개구리 재정정책’

 
 
그러나 올해 상황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국제통화기금( IMF )이 10월 예측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4%다. 미국은 2.1%다 . 21세기 들어서 처음으로 일본 성장률 2%보다 뒤처졌다. 국제통화기금의 선진국 평균 경제성장률 1.5%에도 미치지 못한다. ‘눈떠보니 후진국’이 되는 느낌이다.
 
올해 경제지표를 자세히 분석해보자. 경제성장률(지디피 증가율)은 ‘소비+투자+순수출’이다. 이들이 늘면 지디피도 증가한다. 올해 수출은 3분기(누적)까지 7.2% 증가했다. 수입 증가율 2.9%를 크게 상회한다. 수출은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문제는 내수다. 올해 3분기까지 투자(총고정자본형성)는 -0.38% 역성장했다. 소비(최종소비지출)는 불과 0.16% 증가했다. 1.6%가 아니다. 소비가 3분기 동안 0.16%만 증가한 건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다.결국 최근 경기 침체의 주범은 소비와 투자에서 발생한 내수 위기다. 3분기 누적 소비 증가율이 0.16%를 하회했던 시기가 언제일까? 바로 외환위기, 카드대란 위기, 금융위기, 코로나19 위기 외에는 없다. 즉 내수는 1997년 이후 이런 위기 때를 빼고는 꾸준히 증가했다.
 
그럼 2023년 위기의 이름은 무엇일까? 이건 외국에서 시작된 것도 아니고 진원지도 명확하지 않다. 나는 이를 ‘정부 재정 위기’라고 명명하고 싶다.코로나19 위기의 경우 민간소비가 감소(-6.4%)할 때, 정부는 지출을 늘려(2.3%) 소비 감소를 방어했다. 금융위기 때도 민간소비 감소(-2.9%)를 정부 지출 증가(5.6%)로 완화했으며, 카드대란 위기도 민간에서 발생한 불을 정부가 진화했다.
 
그러나 2023년 경제위기의 진원지는 민간이 아니다. 혹자는 가계빚으로 인한 민간소비 감소를 2023년 위기의 진원지라고 평하지만 민간소비는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0.84% 증가했다. 다만 정부소비가 -1.56% 역성장해서 내수 경기 악화의 주범이 됐다. 올해 민간투자 증가율은 0.62%, 정부투자는 무려 -5.63%로 전체 투자 증감률은 -0.38%다. 결국 2023년 경제위기의 주범은 정부이며 이런 경제위기는 ‘정부 재정 위기’라고 불러야 한다.
 
국가 살림 원칙은 가정 살림 원칙과 반대다. 가정은 수입이 늘면 지출을 늘리고 수입이 줄면 허리띠를 조여야 하지만 국가 재정은 내수가 나쁘면 지출을 확대하고 내수가 좋으면 지출을 줄여 경기 조절 역할을 해야 한다.더 큰 문제는 지금부터다. 2023년 정부 지출이 왜 줄었을까? 세수가 줄었다고 정부가 당장 지출도 줄일 수 있을까? 국가 살림은 주먹구구가 아니다. 올해 지출 용처와 규모는 모두 2022년 말 국회에서 예산 심의 때 이미 확정됐다. 여야는 그야말로 백척간두의 정치투쟁을 통해 2023년 639조원의 지출을 확정했다. 임의대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근거는 전혀 없다. 만약 세수 부족으로 지출을 줄이고 싶으면 국회에 감액추경을 요청해야 한다.
 
그러나 현 정부는 감액추경 등 국회의 동의 없이 임의로 지출을 줄이고 있다. 그 결과가 바로 2023년 ‘정부 재정 위기’다.특히 기재부는 지방정부에 23조원의 교부세 등을 올해 지급하지 않는다고 한다. 국회가 확정한 금액을 추경조차 없이 지방정부에 지급하지 않을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전혀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행정안전부는 23조원의 교부세 감액을 공문 한장 없이 전화 등의 비공식적 절차로 통보하고 있다. 그런데 야당은 아무런 지적도 반응도 없다. 경기가 어려우니 이미 국회가 확정한 금액이라도 정부가 충실히 지출하기만을 바라는데 이조차 언감생심이다. ‘눈떠보니 후진국’이 되는 느낌이 계속 드는 이유다.       <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목회 칼럼] 단절도 타협도 아닌 선한 싸움을!

● 칼럼 2023. 11. 5. 15:49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기쁨과 소망]  단절도 타협도 아닌 선한 싸움을!

 

송민호 목사 (토론토 영락교회 담임목사)

 

예수 믿는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집니다. 내가 하나님 앞에서 누구인지, 하나님은 나를 누구라 부르시는지, 믿지 않는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보는지 등,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늘 생각하며 살아갑니다. 이렇게 정체성에 민감한 이유는 예수의 제자로 살아가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서 제자의 길을 가려 할 때 우리의 노력을 방해하는 세력이 너무도 많습니다.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살고 싶은데, 그렇게 살지 못하도록 막는 힘이 너무 강합니다. 우리는 반드시 진리를 고수해야만 합니다.  

레위기 18장에 보면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단단히 주의를 주십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그들이 반드시 마음에 새겨야 할 말씀을 주신 것입니다. 

너희는 너희가 거주하던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며 내가 너희를 인도할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 너희는 내 법도를 따르며 내 규례를 지켜 그대로 행하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레 18:3-4).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고 가나안 땅의 풍속도 행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특히 이스라엘 민족이 들어가 살게 될 가나안 땅의 풍속은 매우 어지러웠습니다. 레위기 18장을 천천히 읽어보면 얼마나 잘못된 성문화가 만연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조목조목 다 열거하시면서 이스라엘 민족이 따라가서는 안 될 것을 분명히 하셨습니다. 
여기에 우리에게 주시는 메시지가 있습니다. 예수 믿기 전에 가졌던 그릇된 풍속을 다시는 따라가지 말아야 하며, 예수를 믿고 난 후에 다가올 무서운 유혹이 있으니, 모두 다 물리쳐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예수 믿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어떠한 유혹이나 타협도 거부하고 하나님의 말씀, 즉 불변하는 진리를 고수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세상과 타협하지 않겠노라며 세상과의 결별을 선언하며 도피해서는 안 됩니다. 세상과 단절하고 수도원으로 들어가 남은 생을 마치기보다는 어두운 세상에서 빛이 되며, 부패하고 타락한 사람들 사이에서 정직과 순결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예수를 믿고 따르는 올바른 제자의 삶을 살기 위해서 매일매일 성령의 인도하심과 도우심을 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도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세상이 험합니다. 말씀 안에서 지혜를 달라고, 기도 속에서 능력을 달라고 주님께 구하시기를 바랍니다.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키는 우리 모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No retreat, no compromise, but a good fight!

We who believe in Jesus are deeply concerned about our identity. Each one of us constantly thinks about who we are before God, how God sees us, and how non-believers view us. We have to be sensitive about our identity because it is not easy to follow Jesus in a secular world. So many forces work against us when we try to follow Jesus. Sometimes, we feel weak and lonely to identify ourselves as followers of Jesus Christ.
 
But Jesus stressed that we must deny ourselves, take up our cross, and follow him daily. God told the Israelites the same thing: when they get to the land full of milk and honey, be sure not to follow the world's ways. 

"You must not do as they do in Egypt, where you used to live, and you must not do as they do in the land of Canaan, where I am bringing you. Do not follow their practices. You must obey my laws and be careful to follow my decrees. I am the Lord your God" (Lev. 18:3-4).

God made it clear to the Israelites that they should not follow the ways of Egypt or Canaan. Life before was full of idols. Life ahead was going to be full of idols, also. When we read Leviticus 18, we come across the gravity of the sins in Canaan (primarily sexual deviations). God detailed each one of them and made it clear: the Israelites were NOT to follow the evil practices of the land of Canaan.
 
There is a strong message from Leviticus 18: We'd better be ready for the cultural onslaught. Temptations and compromises are real, but God's people must stand firm and fight them off. Isolation and separation are NOT the answer. Instead, God's people must engage with the fallen culture and be the light where there is darkness. God calls us to shine before the perishing world. Yes, keeping honesty, integrity, and purity always before us, we must walk the talk before the watching world. In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we must "fight the good fight, finish the race, and keep the faith." May the Lord bless all of us as we take a stance in the world.

한-캐 수교 60주년 기념공연 

'우리 가곡의 향연'을 주제로 

 

 

클래식의 명가예멜합창단(이사장 조성원, 단장 김기훈, 지휘 이민영)이 만산홍엽의 늦가을 밤에 아름다운 음의 향연을 펼친다.

예멜합창단은 오는 11월25일 토요일 저녁 7시 토론토 한인장로교회(67 Scarsdale Rd, North York, M3B 2R2)에서 가을 정기연주회를 갖는다. 이번 연주회는 특히 한국과 캐나다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이벤트 콘서트로 열어 ‘우리 가곡의 향연’을 주제로 화려하고 수준높은 합창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예멜은 이번 연주회에서 “한국의 정서와 소리가 담긴 아름다운 가곡들을 담아 아름다운 우리만의 곡조들로 풍성하게 채울 것”이라며 “귀에 익숙한 가락부터,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과 정한 등을 주제로 울림이 있는 우리의 시상을 아름답게 표현한 현대 한국 작곡가들의 가곡까지 아름다운 곡들로 청중의 가슴에 감동을 선사하려 한다”고 의욕을 보였다.

연주회는 2019년부터 호흡을 맞추기 시작한‘탁월한 신세대’이민영 지휘자가 한층 무르익은 지휘봉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노련한 이현탁 피아니스트가 반주를 맡아 수고한다. 예멜은 특히 이번에 그동안 열정적으로 합창단을 이끌어 온 이재수 단장의 짐을 덜어주며 새로 김기훈 단장 체제로 가다듬고 합창연습에 몰두, 또 다른 신선한 장을 열어가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예멜은 “지휘자 이민영 음악감독 아래 다양한 프로그램과 감동적인 연주로 보다 높은 비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합창예술의 새로운 장을 향하고 있다.”면서 “음악을 사랑하는 예멜의 단원들이 토론토 한인 동포들에게 기쁨과 위로가 될 수 있도록 마음을 담아 준비하는 ‘우리 가곡의 향연'에 뜨거운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예술의 메아리예멜은 1998년 창립이후 해마다 수준높은 정통 고전음악 연주로 품격을 이어오며 클래식팬들의 사랑을 바탕으로 동포사회 음악예술을 선도해 온 합창단이다. 티켓은 $30, 학생은 $15 이다.

                                                                                 < 문의: 647-999-9160 >

모국 내년 총선 11월12일부터 유권자 등록 시작

● COREA 2023. 11. 5. 15:38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국외부재자 신고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 내년 2월10일까지 

토론토 총영사관 재외선관위 위법 예방 안내센터 설치, 본격 가동

 

 

내년 모국 제22대 국회의원 총선(4.10)을 150일 앞둔 11월12일(일)부터 국외부재자 신고와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이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토론토 재외선거관리위원회가 ‘재외선거 위법행위 예방‧안내센터’를 설치, 공직선거법 위반행위에 대한 예방활동에 나섰다.

토론토 재외선거관리위원회는 ‘위법행위 예방·안내 센터’가 지난 10월18일부터 내년 5월10일까지 운영된다면서 오는 선거운동 기간 중 한국 국적이 없는 사람 등 공직선거법 제60조에 따라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사람은 국외에서도 선거운동을 해선 안되므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 위반할 경우 다양한 제재와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10월18일 첫 위원회의를 개최한 토론토 재외선관위는 외부공모로 선정된 한재민 씨를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 위원에는 강선미 선거영사와 공관장 추천 이승형 코트라 부관장, 정당추천 위원인 유영범 씨(국민의 힘) 등으로 구성됐다.

재외선관위는 재외투표소 운영 및 관리, 선거범죄 예방‧단속, 선거관리사무 감독 등을 담당한다.

모국 제22대 총선 투표일은 내년 4월10일(수)이며, 재외선거는 3월27일(수) 부터 4월1일(월)까지 진행된다. 앞서 투표에 참여하기 위한 국외부재자 신고는 오는 11월12일부터 내년 2월10일까지, 재외선거인 등록신청도 내년 2월10일까지 해야한다. 신고 및 신청은 인터넷(ova.nec.go.kr)이나 공관방문, 우편, 전자우편(ovtoronto@mofa.go.kr)으로 할 수 있다.               < 문의: 416-920-3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