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향우들 이틀 만에 1만2천여 달러 모금

토론토 한인회, 모국 돕기 모금 캠페인 전개 

 


전국 곳곳이 사상 최악의 폭우로 강이 범람하고 산사태가 나는 등 큰 피해가 나 30여명이 죽고 7천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모국의 홍수 피해 이재민과 복구를 돕기 위한 모금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특히 호남지역의 피해가 막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 호남향우회 총연합회가 고향 피해복구와 이재민 돕기 애국 애향모금운동을 시작, 캐나다 온타리오 지역 호남향우들이 10일부터 적극 호응하고 나서 이틀만에 12천 달러가 넘는 성금이 모이는 뜨거운 고향사랑 열기를 선보이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토론토 한인회도 11일부터 모국 수재민 돕기 모금캠페인을 전개, “한인 동포들 역시 COVID-19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어려울 때 함께 힘을 모아 극복해온 저력을 발휘해 십시일반의 미덕으로 모국의 아픔을 함께 나누자고 호소했다.

호남향우회의 경우 11일 오후까지 70여명이 참여, 최소 $100에서 $1,000까지 성금을 쾌척해 단기간에 모두 122백 달러를 모았다. 최종수 회장은 답지한 성금은 모국으로 송금해 세계 호남향우회총연합회를 통해 고향지역으로 보낼 예정이라면서 소액 $20이나 $50도 좋은데 $100 이상씩 참여해 주어 감사하다. 고향 수해복구와 이재민 위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호남향우회와 토론토 한인회의 수재민 돕기 모금 창구다.

호남향우회(문의: 647-981-0404)

수취인: Honam town association.

주소(수표): Apkujung Restaurant,6309 Yonge street.North York On M2M 3X7

송금시 은행명: Korean credit union.

Blanch no: 207828/Institution no.828

SwiftCode: cucxcattvan (central 1 credit union)

계좌번호: 00200208711.

한국에 직접 송금시: 국민은행 계좌번호 562701-04-042952, 예금주: 김원봉(세계호향총연합회)

토론토 한인회(문의: 416-383-0777)

체크 발송시: pay to KCCA, memo: 수재민 돕기 모금

발송주소: KCCA, 1133 Leslie st. North York, ON. M3C 2J6

E-transfer: admin@kccatoronto.ca, pw: kcca, memo: Helping flood victims

문의사항: 416-383-0777, admin@kccatoronto.ca


바이든 보통사람 위한 겁없는 투사 택했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77·왼쪽) 전 부통령이 11비백인 여성인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55·캘리포니아주)을 부통령 후보로 선택했다. 사진은 바이든 전 부통령과 해리스 의원이 지난해 912일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토론회를 끝낸 뒤 대화하는 모습이다. 휴스턴/로이터 연합뉴스

            

오는 113일 미국 대선에 나설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로 비백인 여성인 카멀라 해리스(55·캘리포니아주) 상원의원이 11(현지시각) 결정됐다. 해리스는 미국 역사상 첫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2016미국 최초 여성 대통령을 코앞에서 놓친 힐러리 클린턴 이후 또 한번의 역사적 도전에 나선다.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77) 전 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보통사람을 위한 겁없는 투사이자 이 나라 최고의 공직자 중 하나인 카멀라 해리스를 나의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고 발표하게 돼 큰 영광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지지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코로나19와 경제위기, 인종차별 문제를 들어 지금은 정상 시기가 아니다라고 규정하고, “나와 함께 일할 똑똑하고, 강인하며, 지도할 준비가 된 누군가가 필요하다. 카멀라가 바로 그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해리스는 바이든의 발표 뒤 트위터에 우리 정당의 부통령 후보로 그와 함께하게 돼서, 그리고 그를 우리의 총사령관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바이든과 해리스는 17~20일 열리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후보로 공식 지명된다.

해리스는 자메이카 출신 아버지와 인도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50대 비백인 여성이다. ‘해리스 부통령카드는 미국 사회에서 여성과 소수인종의 목소리가 커져가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미국 역사에서 여성이 주요 정당의 부통령 후보가 된 것은 1984년 제럴딘 페라로 전 하원의원(민주당)2008년 세라 페일린 전 알래스카 주지사(공화당)에 이어 해리스가 세번째다. 그러나 비백인 여성은 해리스가 처음이다. 바이든은 지난 3월 일찌감치 여성을 부통령 후보로 정하겠다고 밝혔고, 5월 말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의 무릎에 짓눌려 숨진 뒤 인종차별이 큰 이슈로 떠오르면서 흑인 여성을 선택하라는 요구를 받아왔다.

미 역사상 최고령 대선 출마자인 바이든이 4년 임기만 마치고 재선을 포기할 경우 해리스는 2024년 민주당의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해리스 부통령 카드는 첫 비백인 여성 대통령까지 내다본 선택으로도 볼 수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사설에서 그를 아프리칸 아메리칸(흑인)이라고 밝히면서 해리스는 대통령이나 부통령으로 봉직하는 최초의 여성, 최초의 흑인 여성이 될 것이라며 그럴 때가 됐다고 짚었다.

바이든이 해리스를 러닝메이트로 정한 것은 ‘70대 백인 남성인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지지층의 투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선거전략적 측면도 있다. 50대 해리스는 고령인 바이든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비백인과 여성, 젊은층의 투표율 제고도 노릴 수 있다. 지난 대선 민주당 패배의 한 요인으로 흑인들의 낮은 투표율이 꼽힌다.

인종주의적 태도를 보여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대조를 이루며 통합과 다양성을 부각하는 의미도 있다. 또 해리스는 중앙 무대에서는 초선 의원이라, 워싱턴 정치 40여년 경력인 바이든의 노회한 이미지를 희석할 수도 있다.

해리스는 세 차례 선거에 출마해 캘리포니아주 검사와 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을 지낸 뒤 2016년 연방 상원의원에 당선되는 등 선거 경쟁력과 전투력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에는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뛰어들어 12월 하차하기 전까지 바이든과 경쟁하며 전국적 인지도도 끌어올렸다. 선거분석 뉴스레터인 <새버토의 크리스털 볼>해리스는 검증됐고, 자격을 갖췄으며, 안전한 부통령 선택지라고 평가했다.

트럼프는 기자들에게, 민주당 경선에서 부진했던 해리스를 바이든이 뽑은 것을 보고 약간 놀랐다고 비꼬았다. 그는 트위터에 해리스를 급진 좌파”, “위선자”(phony)로 표현한 비난 동영상을 올리며 깎아내렸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트럼프, 과거 정치후원금 냈던 해리스 향해 급진좌파·위선자

해리스가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 출마했을 때 후원한 적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나란히 서있는 모습.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이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자 자기도 그렇게 보고 있었다면서도 조금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지난달 해리스를 괜찮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이날부터는 급진 좌파딱지를 붙이며 공격으로 돌아섰다. 트럼프가 과거 일반 시민 시절 해리스에게 정치 후원금을 냈던 일도 새삼 화제가 되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연 코로나19 관련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이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50대 비백인 여성인 해리스를 러닝메이트로 발표한 데 대해 묻자 그는 나의 넘버 원 선택지였다그가 어떻게 해나갈지 보자고 말했다. 해리스가 부통령 후보가 될 것으로 예견했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그는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에서 잘 할 걸로 기대됐었는데 매우 매우 못 했다. (지지율) 2% 선에서 끝났고 많은 돈을 썼다그래서 바이든이 그녀를 뽑은 것에 약간 놀랐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2018년 브렛 캐버노 대법관 후보 인준청문회 때 해리스가 상원에서 캐버노를 강하게 몰아세운 것을 가리키며 그는 캐버노에게 엄청나게 못되게 굴었다. 소름끼치는 일이었다나는 그걸 금방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해리스가 지난해 6월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토론에서 바이든의 과거 인종차별적 정책 태도를 공격한 것을 염두에 둔 듯 그는 바이든에게도 매우 매우 못되게 했다. 아마도 포카 혼타스(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에게 트럼프가 붙인 별명)보다 더 못되게 굴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러닝메이트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해리스보다 훨씬 더 좋아한다고도 했다.

미 언론은 트럼프와 딸 이방카가 일반인이던 시절 해리스에게 후원금을 낸 전력을 끄집어냈다. 트럼프는 해리스가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 선거에 출마했던 2011년과 20136000달러를 후원했다. 이방카도 2014년 해리스에게 2000달러를 기부했다.

트럼프는 지난달 29일 기자들이 해리스가 부통령 후보가 될 거라는 얘기가 있는데 부통령으로서의 해리스를 어떻게 평가하느냐고 묻자 해리스는 괜찮은 선택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괜찮은 선택일 것이라고 대답한 바 있다.

이런 전력과 무관하게 트럼프와 캠프는 해리스가 부통령 후보가 되자 급진 좌파로 몰면서 공격했다. 트럼프는 트위터에 해리스를 급진 좌파”, “위선자 해리스로 표현한 비난 동영상을 올렸다. 트럼프 재선 캠프의 카트리나 피어슨 선임고문은 논평을 내어 해리스는 조 바이든이 좌파 급진주의자들의 극단적 어젠다로 체워진 빈 껍데기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해리스와 부통령 후보로 맞대결을 벌이게 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이날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선거운동 행사에서 오는 길에 조 바이든이 러닝메이트로 카멀라 해리스를 지명했다고 들었다경쟁에 들어온 걸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 바이든과 민주당은 급진 좌파에 압도됐다“10월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보자고 했다. 부통령 후보간 토론은 107일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바이든 보통 사람 위한 겁없는 투사를 러닝메이트로 선택

해리스, 자메이카·인도 부모에서 태어나선출직 경험과 인지도

미 사상 첫 흑인 여성부통령 후보당선시 첫 여성 부통령

 

오는 113일 미국 대선에 나설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10일 조 바이든 전 부통령으로부터 낙점받은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 AP 연합뉴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77)113일 대선에 함께 출마할 부통령 후보로 비백인 여성인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55·캘리포니아주)11(현지시각) 낙점했다. 해리스는 미 역사상 첫 흑인 여성부통령 후보이며, 당선될 경우 첫 여성 부통령이 된다. 이로써 미 대선은 도널드 트럼프-마이크 펜스팀과 조 바이든-카멀라 해리스팀의 대결로 짜졌다.

바이든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보통 사람을 위한 겁없는 투사이자 이 나라 최고의 공직자 중 하나인 카멀라 해리스를 나의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고 발표하게 돼 큰 영광이라고 밝혔다.

바이든은 201546살 나이에 뇌암으로 세상을 뜬 아들 보 바이든과 해리스가 각각 델라웨어주와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으로 일할 때의 인연을 언급했다. 바이든은 카멀라는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을 할 때 보와 긴밀하게 협력했다. 나는 그들이 거대 은행들을 잡고, 일하는 사람들을 고양시키고, 여성과 어린이들을 학대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봤다그때 나는 자랑스러웠고, 지금도 이 선거운동에서 그를 나의 파트너로 갖게 되어 자랑스럽다고 적었다. 바이든은 지지자들에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함께, 여러분과 함께, 우리는 트럼프를 이길 것이라고 적었다. 바이든은 낙점 사실을 발표하기 90분 전에 해리스에게 전화해 알렸다고 <시엔엔>(CNN)이 바이든 쪽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바이든이 해리스를 러닝메이트로 정한 것은 ‘70대 백인 남성인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외연을 넓히기 위한 선택이다. ‘50대 비백인 여성인 해리스는 고령인 바이든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여성과 비백인 계층의 표심에 호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해리스는 1964년 자메이카 출신 이민자인 아버지와 인도 출신 이민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흑인과 아시안의 혈통을 동시에 물려받았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검사를 거쳐 주 검찰총장을 지낸 뒤 2016년 상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초선 의원이다. 선출직 공직을 수차례 경험했기에 선거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해리스는 이번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해 대중적 인지도도 끌어올렸다. 특히 지난해 6월 당내 경선 첫 텔레비전 토론에서 과거 인종 통합 교육을 위한 버스 통학 제도에 바이든이 반대했던 전력을 끄집어내 맹공격하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바이든이 부드러운 이미지라면, 해리스는 투사형 스타일로 분류되기 때문에 트럼프-펜스팀에 맞선 공격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인 바이든이 81살이 되는 4년 뒤에 재선에 도전하지 않을 경우, 그때에도 50(59)인 해리스는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조 바이든 전 미국 부통령(왼쪽)과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이 2019731일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두번째 토론을 시작하기 전 악수하는 모습. 디트로이트/로이터 연합뉴스

해리스는 바이든의 낙점 발표가 나온 뒤 트위터에 글을 올려 우리 정당의 부통령 후보로 그와 함께하게 돼서, 그리고 그를 우리의 총사령관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는 조 바이든은 일생을 우리를 위해 싸우며 보내왔기 때문에 미국 국민을 통합시킬 수 있다대통령으로서, 그는 우리의 이상에 부응하는 미국을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과 해리스는 12일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처음으로 함께 연설할 예정이다.

바이든은 지난 3월 여성을 부통령 후보로 정하겠다고 밝혔고, 5월 말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의 무릎에 짓눌려 숨진 뒤 인종차별이 큰 이슈로 떠오르면서 흑인 여성으로 선택하라는 요구를 받아왔다.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군으로 해리스 외에도 수전 라이스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캐런 배스 하원의원이 거명됐다. 인디언 혈통을 주장하는 백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역시 백인인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도 여성 후보군에 들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경기도 조사단, 행정처분 이어 수사 의뢰 검토

 

후원금 운용 문제로 논란을 빚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 나눔의 집(경기 광주시)을 상대로 한 집단 후원금 반환 소송의 대리인 김기윤 변호사(가운데)위안부 할머니 기부금 및 후원금 반환소송대책 모임을 대표해 후원인 강민서(맨 오른쪽), 김영호씨가 지난 64일 오후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소장을 접수하기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지원시설인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이 거액의 후원금을 모은 뒤, 이를 할머니들에게 직접 사용하지 않고 주로 땅을 사거나 건물을 짓기 위해 쌓아둔 것으로 드러났다.

송기춘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나눔의 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송 단장은 나눔의 집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88억원의 후원금을 모집했다그러나 이 과정에서 나눔의 집 법인이나 시설은 기부금품법에 의한 모집등록을 하지 않아 후원금 액수와 사용 내용 등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고 등록청의 업무 검사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1천만원 이상의 기부 금품을 모집하려는 사람은 등록청(10억원 초과인 경우 행정안전부)에 등록해야 한다.

조사 결과, 후원금은 나눔의 집 시설이 아니라 운영법인 계좌에 입금됐다. 이렇게 모인 후원금 88억여원 중 할머니들이 생활하고 있는 나눔의 집 양로시설로 보낸 금액(시설 전출금)2.3%2억원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운영법인이 재산조성비로 사용한 후원금은 26억여원으로 파악됐다. 재산조성비는 토지매입과 생활관 증축공사, 유물전시관 및 추모관 신축비, 추모공원 조성비 등으로 쓰였다.

나머지 후원금은 이사회 회의록 및 예산서 등을 살펴봤을 때 국제평화인권센터, 요양원 건립 등을 위해 비축한 것으로 보인다고 민관합동조사단은 설명했다. 할머니에 대한 정서적 학대 정황도 발견됐다. 일부 간병인은 할머니, 갖다 버린다”, “혼나봐야 한다등 언어폭력을 가했고, 특히 의사소통과 거동이 불가능한 중증환자 할머니에게 집중됐다고 송 단장은 설명했다.

또한, 나눔의 집은 입·퇴소자 명단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고 할머니들의 그림과 사진, 국민들의 응원 편지 등을 포댓자루나 비닐에 넣어 건물 베란다에 방치했다. 이 중에는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자료도 있었다. 1역사관에 전시 중인 원본 기록물은 습도 조절이 되지 않아 훼손되고 있었고, 2역사관은 부실한 바닥공사로 바닥 면이 들고 일어나 안전이 우려되는 상태였다.

이 밖에 이사회 의결 과정에서 부당행위도 발견됐다. 나눔의 집은 법인 정관상 이사의 제척제도를 두고 있는데도 이사 후보자가 자신을 이사로 선임하는 과정에 참여해 이사로 의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는 추후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최종 조사 결과를 받아 검토한 뒤 경찰에 수사 의뢰하고 사회복지사업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한 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처분할 예정이다.

나눔의 집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달 6일부터 22일까지 행정과 시설 운영, 회계, 인권, 역사적 가치 등 4개 반으로 나눠 나눔의 집 운영법인과 나눔의 집 시설,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및 국제평화인권센터 등에 대해 조사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송기춘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조영선 변호사(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 정희시 경기도의회 의원, 이병우 경기도 복지국장을 공동단장으로 경기도와 광주시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1992년 설립한 사회복지법인 나눔의 집에는 현재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5명이 생활하고 있으며, 이 할머니들의 평균 연령은 95살이다. < 김기성 기자 >


37개 회원국 가운데 최초 상향, 코로나 방역·확장 재정에 점수

 

빈센트 코엔 OECD 사무국 경제검토과장이 11일 발간한 ‘OECD한국경제보고서를 정부세종청사와 연결된 화상으로 낭독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2%에서 -0.8%로 상향 조정했다. 오이시디가 지난 6월 회원국 전체 전망을 밝힌 이후 미국 등 4개국에 대한 개별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성장률을 올린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오이시디는 11‘2020 오이시디 한국경제보고서를 발표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코로나19 2차 확산이 없을 경우 -0.8%로 내다봤다. 2차 확산이 발생할 경우에는 -2.0%로 예상해 기존 전망보다 0.5%포인트 올렸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 -0.8%는 지난 6월 전망 때와 마찬가지로 37개국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다.

오이시디는 2년마다 회원국의 경제동향·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해 보고서를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5월에 발표될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8월에 나왔다.

오이시디는 코로나19에 대한 방역과 확장적 재정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일체의 봉쇄조처 없이 방역 성과를 거두면서 경제적 피해도 최소화했다다른 회원국에 비해 고용·성장률 감소 폭이 매우 작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재정 여력을 적절히 활용해 코로나 19의 영향을 방어하고 있다재정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오이시디는 세계 경기침체가 한국의 회복을 더디게 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세계 경기침체로 코로나192차 확산이 없다고 가정하더라도 수출과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며 수출지향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은 해외 수요의 추가적인 위축과 글로벌 가치사슬의 장기적인 붕괴에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이런 오이시디 평가는 부문별 성장률 전망치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전체 경제성장률 전망치(-0.8%)0.4%포인트 올랐지만, 수출 전망은 오히려 나빠졌다. 2차 확산이 없을 경우 수출은 -5.7%로 기존 전망(-2.6%)보다 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총투자(-0.7%2.9%)는 증가세로 전환되고, 민간소비(-4.1%-3.6%)는 둔화 정도가 완화돼 성장률을 지탱할 것으로 분석됐다. < 이정훈 기자 >